$\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영장 활동공간 내 유해인자 노출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Exposure Distribution to Hazard Factors in Indoor Swimming Pool Activity Areas in Gwangju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6 no.2, 2020년, pp.150 - 158  

이윤국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김난희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최영섭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김선정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박주현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강유미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배석진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서계원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김종민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is design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DBPs (disinfection by-products) in pool water and in air and to estimate the carcinogenic potential through the evaluation of inhalation exposure. Methods: The subjects were six indoor swimming pools with many users in Gwangju. Sampl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6곳의 수영장을 대상으로 수영장 수영조 욕수 내 소독부산물 농도와 수영장 내 실내공기질 중 소독부산물 농도를 파악하고, 호흡에 의한 노출위험을 평가하여 발암가능성을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실내수영장 이용자에게 쾌적하고 위생적으로 안전한 환경이 확보되도록 수영조 욕수 수질 및 수영장 내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6곳의 실내 수영장을 대상으로 수영장 욕조수 내 소독부산물 농도와 수영장 내 공기중 소독부산물 농도를 파악하였으며 THMs의 호흡으로 인한 위해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수영장 내 실내공기질 중 THMs 농도를 이용하여 호흡에 의한 발암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미국 환경청(US EPA)의 발암잠재력(carcinogenic slope factor)을 이용하였으며, 아래의 모델식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6곳의 수영장을 대상으로 수영장 수영조 욕수 내 소독부산물 농도와 수영장 내 실내공기질 중 소독부산물 농도를 파악하고, 호흡에 의한 노출위험을 평가하여 발암가능성을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실내수영장 이용자에게 쾌적하고 위생적으로 안전한 환경이 확보되도록 수영조 욕수 수질 및 수영장 내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환기는 염소 등 소독제 냄새를 제거하고 온·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이용자에게 쾌적한 실내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기란? 이는 실내수영장 내 환기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환기는 염소 등 소독제 냄새를 제거하고 온·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이용자에게 쾌적한 실내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대부분 수영장의 환기방식은 자연환기만으로는 적절한 환기량을 얻을 수 없으므로 송풍기를 이용한 기계적인 방법을 통해 환기를 하게 된다.
수영장에서 실제 호흡량을 고려한 위해성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기 수행된 수영장 내 실내공기질에 대한 연구는 1회 또는 단기간 동안 측정하거나 짧은 측정횟수로 인해7,8) 수영장 내 실내공기질의 정확한 실태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수영하는 경우 일상적인 휴식보다 10~12배 정도, 일반 작업보다 6~7배 정도 많은 호흡량이 필요하므로 호흡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해물질의 인체 흡입량도 늘어나므로 이용자들의 건강보호를 위해 실제 노출정도를 평가하고 실제 호흡량을 고려한 위해성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THMs 평균농도를 이용한 발암성평가 결과의 한계점은? 4명)으로 WHO 허용위해수준(발암가능성이 100만명 당 1명)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노출빈도(주 3회)와 노출지속시간(30년)으로 가정하여 보수적인 노출계수를 적용하여 계산하였으므로 실제로는 노출정도가 다소 과장되어 평가될 수 있다. 그리고 유해물질 노출에 따른 발암성 평가는 개인의 건강상태, 수영 습관, 유전적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8) 또한 평균 체중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노출계수를 적용한 위해성 평가이므로 상대적으로 유해인자에 취약한 어린이, 노약자 등 민감 계층에 대해 구별된 위해성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oyce SD, Hornig JF. Reaction pathway of trihalomethane formation from the halogenation of dihydroxyatomatic model compounds for humic acid.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1983; 17:202-211. 

  2. Reckhow DA, Platt TL. MacNeil AL, McClellan JN. Formation and degradation of dichloactonitreil in drinking water. J. IWA. AQUA. 2001; 50: 1-13. 

  3. Kim HK, Shim JH, Lee SH. Formation of disinfection by-products in chlorinated swimming pool water. Chemosphere. 2002; 46: 123-130. 

  4. Lee J, Ha KT, Zoh KD. The Characteristics of THMs Production by different disinfection methods in swimming pools water. Kor. J. Env. Hlth. 2006; 32(2): 171-178. 

  5. Jeon DY, Kim HJ, Jung SY, Lee SM, Lim YS. Characteristics of disinfection by-products of swimming pool waters in busan. The annual report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al. 2007; 17(1): 93-102. 

  6. Lee MH, Jeon MJ, Kim HJ, Eom SW, Choi HY. Characteristics of by products from three different disinfection technologies applied to indoor swimming pool in seoul. J.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2008; 11(4): 268-274. 

  7. Lee YK, Lee SM, Choi IW, Kim SH, Seo IS. A study of air quality in indoor swimming pool. Proceeding of the 45th meeting of KOSAE. 2007: 542-543. 

  8. Park HD, Park HH, Shin JA, Kim TH. Assessment for inhalation exposure to trihalomethanes(THMs) and Chlorine and efficiency of ventilation for an indoor swimming pool. J. Env. Hlth. Sci. 2010;36(5): 402-410. 

  9. USEPA: Guidelines for carcinogen risk assessment. Risk assessment forum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EPA/630/P/03/001F, 2005. 

  10. Jang JY, Jo SN, Kim S, Kim SJ, Cheong HK. Korean Exposure Factors Handbook,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Korea, 2007. 

  11. Jo GU, Lee SH, W W, Yoon SH, Kim NH, An SS, Jung SK, Kim DS, Cho YG.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by disinfection methods in indoor swimming pool water-focusing on Bromate, Chlorate and Chloride-. J.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2015; 18(2): 101-111. 

  12. Savitz DA, Andrews KW, Pastore LM. Drinking water and pregnancy outcome in Central North Carolina; Source, amount, and trihalomethane levels. Environ. Health Perspect. 1995; 106: 592-596. 

  13. Trussel RR, Umphres MD. The formation of trihalomethanes. J. AWWA. 1978; 70: 604-612. 

  14. Singer PC. Control of disinfection by-products in drinking water. J. Environ. Eng., 1994; 120: 727-744 

  15. Elena R, Gugliemaina F, Guerrino P, Gabriella A. Bromate, chlorite, chlorate, haloacetic acids, and trihalomethanes occurrence in indoors swimming pool waters in Italy. Microchemical Journal. 2014; 113:23-29. 

  16. Aggazzotti G, Fantuzzi G, Righi E, Predieri G. Blood and breath analyses as biological indicators of exposure to trihalomethanes in indoor swimming pool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1998;217: 155-163. 

  17. Jo WK, Hwang YM. Chloroform in the air of indoor swimming pools and the outdoor air near the swimming pools in a city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1994; 3(3):253-261. 

  18. Lee J, Ha KT, Zoh KD. Characteristics of trihalo-methane(THM) Production and associated health risk assessment in swimming pool waters treated with different disinfection methods.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2009; 407: 1990-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