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해양 기자재용 강재의 내식성에 미치는 분체도장 중 산화물 첨가의 영향
Effect of Oxide Particles Addition to Powder Coating on Corrosion Resistance of Steel Used as Marine Equipments 원문보기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v.19 no.2, 2020년, pp.100 - 107  

박진성 (순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류승민 (순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정영재 (순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김성진 (순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mand for powder-coated steel used in the marine industry is increasing owing to their superior corrosion resistance. However, the powder coatings used in commercial products can deteriorate easily by the penetration of brine. In an attempt to suppress brine penetration into the powder coating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체도장 층 내부로의 수분 유입과 침투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기존 분체도장 층 내 미세 결함 및 기공을 제거하고 수분 침투가 가능한 경로를 차단할 수 있는 산화물 입자를 첨가하되 첨가 입자의 종류에 따른 분체 도장의 건전성 및 수분의 침투 억제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첨가 입자에 따른 분체도장의 장기 부식 거동을 침지 및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실험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높은 내식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첨가 산화물 입자의 조건을 도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체도장 층 내부로의 수분 유입과 침투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기존 분체도장 층 내 미세 결함 및 기공을 제거하고 수분 침투가 가능한 경로를 차단할 수 있는 산화물 입자를 첨가하되 첨가 입자의 종류에 따른 분체 도장의 건전성 및 수분의 침투 억제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첨가 입자에 따른 분체도장의 장기 부식 거동을 침지 및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실험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높은 내식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첨가 산화물 입자의 조건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체도장은 어떤 방식을 의미하는가? 일반적으로, 분체도장은 고체분말을 필요에 따라 적절한 경화제 필러 등과 배합하여 피도물에 도착시키는 방식을 의미한다 [9]. 이러한 분체도장은 도장 공정이 매우 간단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도물에 도장되지 않은 도료는 회수되어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 도장방식으로 평가되고 있다.
도장법의 장점은? 최근, 조선・해양 산업영역에서는 적용되는 기자재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소지금속을 보호할 수 있는 표면처리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1-5]. 특히, 금속소재를 대상으로 한 방식방법 중 대략 65% 이상을 차지하는 도장법은 처리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금속 기반의 도금방식과는 달리 표면이 부도체 특성을 나타내어 표면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한 부식반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6-8]. 하지만, 기존의 도장 방식은 균일한 도장이 힘들며 인체에 해로운 유기용제 및 반응성 단량체가 포함되어 있어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존재하였다.
조선・해양 기자재용 분체도장 내 첨가된 산화물 입자가 수용액성 염화물 환경 내 수분 침투에 따른 도장층의 열화 저항성 및 열화에 따른 전기화학적 부식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평가하기 위해 도장층의 표면 및 단면 형상 관찰, 침지 및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실험을 수행한 실험의 결과는 어떤 결론을 도출하였는가? 세 가지 산화물 입자 (SiO2, TiO2, SnO2)가 각각 첨가된 분체도장층의 경우 각 산화물 응집체의 크기가 상이하였고, 이에 따라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실험을 통해 도출된 도장막 내 기공 저항 및 물분자 흡착을 통한 capacitance, 그리고 도장/금속 계면의 전기화학반응 저항 및 전기화학반응에 대한 capacitance 등의 값들에 있어 큰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중성의 염화물 수용액 내 상온조건에서 수행된 경우와 보다 가혹한 조건에서 수행된 경우, 각각에 있어 분체도장 재시편들 간 부식저항성의 경향이 상이하게 도출되었다. 일련의 실험결과와 분석을 토대로, 분체도장층을 구성하는 산화물 입자들의 크기가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포할수록 도장층 내 수분의 침투에 대한 저항이 증가하고, 도장층/소지금속 계면의 전기화학반응에 따른 도장층 열화를 지연 및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조선・해양 기자재용 강재의 고내식 특성 보증 및 산업적 적용성 확대를 위해 평균입도가 상대적으로 조대한 분체 도장층 내 첨가되는 산화물 입자들의 종류, 크기, 분포 등의 특성제어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 Hu, M. Muhammad, M. Wang, R. Ma, A. Du, Y. Fan, X. Cao, and X. Zhao, Mater. Lett., 265, 127256 (2020). https://doi.org/10.1016/j.matlet.2019.127256 

  2. S. M. A. Shibli and F. Chacko, Appl. Surf. Sci., 257, 3111 (2011). https://doi.org/10.1016/j.apsusc.2010.10.125 

  3. J. S. Park, H. J. Lee, and S. J. Kim, Korean J. Mater. Res., 28, 286 (2018). https://doi.org/10.3740/MRSK.2018.28.5.286 

  4. J. W. Lee, B. R. Park, and S. J. Kim, Korean J. Met. Mater., 57, 77 (2019). http://dx.doi.org/10.3365/KJMM.2019.57.2.77 

  5. R. Sako and J. Sakai, Surf. Coating Tech., 219, 42 (2013). https://doi.org/10.1016/j.surfcoat.2012.12.050 

  6. Y. M. Lee and J. W. Baek, A Case Study on Life Cycle Cost of Coating System for Steel Railway Bridges (2009). http://www.yooshin.co.kr/upload/16_9_0.pdf 

  7. X. Zhang, R. Ma, A. Du, Q. Liu, Y. Fan, X. Zhao, J. Wu, and X. Cao, Appl. Surf. Sci., 484, 814 (2019). https://doi.org/10.1016/j.apsusc.2019.04.158 

  8. D. Zhu and W. J. V. Ooij, Prog. Org. Coat., 49, 42 (2004). https://doi.org/10.1016/j.porgcoat.2003.08.009 

  9. M. Smikalla, A. Mescher, P. Walzel, and N. A. Urbanetz, Int. J. Pharm., 405, 122 (2011). https://doi.org/10.1016/j.ijpharm.2010.12.001 

  10. Z. Du, S. Wen, J. Wang, C. Yin, D. Yu, and J. Luo, J. Mater. Sci. Chem. Eng., 4, 54 (2016). https://doi.org/10.4236/msce.2016.43007 

  11. Y. Takeshita, T. Sawada, T. Handa, Y. Watanuki, and T. Kudo, Prog. Org. Coat., 75, 584 (2012). https://doi.org/10.1016/j.porgcoat.2012.07.003 

  12. E. Dogan and A. E. Acar, Prog. Org. Coat., 76, 513 (2013). https://doi.org/10.1016/j.porgcoat.2012.11.007 

  13. S. Sathiyanarayanan, S. S. Azim, and G. Venkatachari, Appl. Surf. Sci., 253, 2113 (2006). https://doi.org/10.1016/j.apsusc.2006.04.005 

  14. X. Lv, K. Wang, Y. He, and X. Cui, Constr. Build. Mater., 214, 441 (2019). https://doi.org/10.1016/j.apsusc.2006.04.005 

  15. S. Zhang, J. You, C. Kennes, Z. Cheng, J. Ye, D. Chen, J. Chen, and L. Wang, Chem. Eng. J., 334, 2625 (2018). https://doi.org/10.1016/j.cej.2017.11.014 

  16. Q. Zhou and Y. Wang, Prog. Org. Coat., 76, 1674 (2013). https://doi.org/10.1016/j.porgcoat.2013.07.018 

  17. F. Deflorian and S. Rossi, Electrochim. Acta, 51, 1736 (2006). https://doi.org/10.1016/j.electacta.2005.02.145 

  18. A. N. Pham and T. D. Waite, Geochim. Cosmochim. Ac, 72, 3616 (2008). https://doi.org/10.1016/j.gca.2008.05.032 

  19. A. P. Grosvenor, B. A. Kobe, and N. S. Mcintyre, Surf. Sci., 565, 151 (2004). https://doi.org/10.1016/j.susc.2004.06.210 

  20. F. P. Moreno, M. A. Jakab, N. Tailleart, M. Goldman, and J. R. Scully, Mater. Today, 11, 14 (2008). https://doi.org/10.1016/S1369-7021(08)70203-7 

  21. J. H. Park, T. H. Yun, K. Y. Kim, Y. K. Song, and J. M. Park, Prog. Org. Coat., 74, 25 (2012). https://doi.org/10.1016/j.porgcoat.2011.09.012 

  22. T. N. Lo, T. S. Lui, and E. Chang, Mater. Trans, 45, 3065 (2004). https://doi.org/10.2320/matertrans.45.30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