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의 알고리듬은 어떤 연관 비디오를 추천하는가: 유튜브의 K POP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What Do The Algorithms of The Online Video Platform Recommend: Focusing on Youtube K-pop Music Video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4, 2020년, pp.1 - 13  

이영주 (서울과학기술대 IT정책전문대학원) ,  이창환 (서울과학기술대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일반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에 적용되는 추천 알고리듬을 이해하고자 유튜브에서 K-pop 뮤직비디오의 콘텐츠 특성과 재생 시 추천되는 연관 비디오(related video)의 관계를 규명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어떤 비디오가 연관 비디오로 추천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K-pop 재생 시 비디오의 좋아요 수가 추천 순위에 영향을 주었으며 대부분 같은 채널에 속하거나 동일한 기획사에서 제작한 비디오가 연관 비디오로 추천되었다. 그리고 연관 비디오의 네트워크 분석 결과, K-pop 뮤직비디오의 네트워크가 강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연관 비디오의 네트워크 분석에서 BTS의 뮤직비디오가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K-pop간의 네트워크가 강하기 때문에 K-pop을 검색 쿼리로 입력해서 비디오를 시청할 때는 연속적으로 K-pop을 즐길 수 있지만, 반대로 다른 장르의 비디오를 시청할 때는 K-pop이 연관 비디오로 추천되지 못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commendation algorithm applied to the online video platform,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K-pop music videos and related videos recommended for playback on YouTube, and analyses which videos are recommended as related videos...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 이외에 뮤직비디오가 내포하는 사회문화적 차원의 심층적인 분석과 동영상이 소비되는 맥락에 대한 분석이 요구되는 지점이다. 그럼에도 K pop의 재생시 추천되는 17,000여 개의 연관 비디오 데이터를 실증적으로 분석 했다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다음으로 유튜브에 업로드된 K-pop 뮤직비디오의 콘텐츠 특성, 즉 조회 수, 좋아요 수와 댓글 수의 차이에 따라 연관 비디오로 추천되는 순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3억 이상으로 조회 수가 가장 많은 비디오의 연관 순위는 10.
  • 이에 본 연구는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토대로 하는 알고리듬이 K-pop 뮤직비디오의 연관비디오 추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함으로써 콘텐츠 창작자와 이를 전달하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실용적임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동시에 알고리듬에 의해 추천되는 동영 상이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정책적 관점에서도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추천 알고리듬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동영상 플랫폼에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K-pop 뮤직비디오의 콘텐츠 특성과 재생 시 추천되는 연관 비디오(related video)의 관계를 살펴보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어떤 비디오가 연관 비디오로 추천되는지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에서 적용하는 추천 알고리듬에 따라 콘텐츠 노출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연관 비디오(related video)로 어떤 콘텐츠가 추천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K-pop 뮤직비디오의 콘텐츠 특성이 콘텐츠 조회 수와 연관 비디오의 추천 순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연관 비디오 간 형성되는 네트워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에서 적용하는 추천 알고리듬에 따라 콘텐츠 노출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연관 비디오(related video)로 어떤 콘텐츠가 추천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K-pop 뮤직비디오의 콘텐츠 특성이 콘텐츠 조회 수와 연관 비디오의 추천 순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연관 비디오 간 형성되는 네트워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K-pop은 유튜브에서 채널 구독자와 조회 수가 가장 높은 콘텐츠 유형으로서 K-Pop을 시청할 때 어떤 연관 동영상이 추천되는가에 따라 K-pop의 확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K-pop 아티스트 상위 15개 그룹을 중심으로 이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콘텐츠 특성이 연관 동영상의 추천 순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동안 유튜브에서 K-pop의 확산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알고리듬 추천으로 이루어지는 연관 비디오에 주목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에서 가장 많은 동영상이 유통되는 유튜브에서 어떤 연관 동영상이 추천되는지 K-pop의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K-pop은 유튜브에서 채널 구독자와 조회 수가 가장 높은 콘텐츠 유형으로서 K-Pop을 시청할 때 어떤 연관 동영상이 추천되는가에 따라 K-pop의 확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G. Sivinski, A. Okuliar, and L. Kjolbye, "Is big data a big deal? A Competition law approach to big data," European Competition Journal, Vol.13, No.2-3, pp.199-277, 2017. 

  2. 김도균, "과학기술정보 서비스 플랫폼에서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화추천 서비스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8권, 제4호, pp.501-518, 2017. 

  3. M. L. Katz, "Multisided Platforms, Big Data, and a Little Antitrust Policy," Review of Industrial Organization, Vol.54, pp.695-716, 2019. 

  4. 조성기, 이영주, "유료방송 가입자의 장르 선호도와 VOD 구매의 관계에 관한 연구 : IPTV 영화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91-102, 2016. 

  5. M. Airoldi, D. Beraldo, and A. L. Gandini, "Follow the algorithm :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music on Youtube," Poetics, Vol.57, pp.1-13, 2016. 

  6. B. Hallinan and T. Striphas, "Recommended for you : The Netflix Prize and the production of algorithmic culture," New Media & Society, Vol.18, No.1, pp.117-137, 2016. 

  7. 김조한, 플랫폼 전쟁, 메디치, 2017. 

  8. Strabase, "음악 산업에서도 인공지능과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 증대, 열성팬 찾기 등에 활용," NewsBrief, 2017. 

  9. https://www.nytimes.com/2019/06/14/opinion/youtube-algorithm.html?searchResultPosition1, 2020.2.1. 

  10. Strabase, "2018년 음악 산업에 영향을 미칠 3가지 요인," NewsBrief, 2018. 

  11. 나스미디어, "미디어 이슈 리포트," 2018. 

  12. 김경달, 유튜브 트렌드 2020, 이은북, 2019. 

  13. C. Cayari, "The YouTube effect : how YouTube has provided new ways to consume, create, and share music,"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 the Arts, Vol.12, No.6, pp.1-28, 2011. 

  14. 강미선, "유튜브는 어떻게 갓튜브가 됐나 : 동영상으로 1020 사로잡고 수익배분으로 콘텐츠 확보," 신문과 방송, 제570호, 2018. 

  15. 금준경, "국내 언론사의 유튜브 생존 전략 : 오리지널콘텐츠 라이브, 서브 채널에 승부 걸다," 신문과 방송, 제570호, pp.11-15, 2018. 

  16.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893488.html#csidx6e800d7bfeda60aa382d9417d326097, 2020.2.1. 

  17. Jin Dal Yong and Yoon Kyong, "The social mediascape of transnational Korean pop culture : Hallue 2.0 as spreadable media practice," New media & society, Vol.18, No.7, pp.1277-1292, 2016. 

  18. I. Oh and Gil-sung Park, "From B2C to B2B : Selling Korean Pop Music in the Age of New Social media," Korea Observer, Vol.43, No.3, pp.365-397, 2012. 

  19. 조병철, 심희철, "K-POP 한류의 성공요인분석과 한류 지속화 방안 연구 : 스마트 미디어 기반 실감 콘텐츠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90-102, 2013. 

  20. I. Oh and H. G. Lee, "Mass media technologies and popular music genres : K-pop and Youtube," Korea Journal, Vol.53, No.4, pp.34-58, 2013. 

  21. J. van Dijck, "Users like you? Theorizing agency in user-generated content," Media, Culture & Society, Vol.31, No.1, pp.41-58, 2009. 

  22. J. H. Ahn, S. Oh, and H. Kim, "Korean pop takes off! Social media strategy of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In : Proceedings on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ervice systems and service management, New York : IEEE, pp.774-777, 2013. 

  23.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893488.html#csidx663d8a4d6db0df38cf3974c11248671, 2020.2.1. 

  24. D. Y. Jin, Globalization and Media in the Digital Platform Age, Routledge, p.126, 2020. 

  25. U. Siriyuvasak and S. Hyunjoon, "Asianizing Kpop: production, consumption and identification patterns among Thai youth," Inter Asia Cultural Studies, Vol.8, No.1, pp.109-136, 2007. 

  26. 정두희, AI 초격차 시대가 온다, 청림출판, 2019. 

  27. 서봉원,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의 진화," 방송 트렌드 & 인사이트, 제5권, pp.19-24, 2016. 

  28. M. Kaminskas and F. Ricch, "Contextual music information retrieval and recommendations : State of the art and challenges," Computer Science Review, Vol.6, pp.89-119, 2012. 

  29. 오세욱, "알고리즘으로 본 유튜브의 미디어 지향," 관훈저널, 제61권, 제1호, pp.11-17, 2019. 

  30. M. Bendersky, L. Garcia-Pueyo, J. Harmsen, V. Josifovsky, and D. Lepikhin, Up Next : Retrieval methods for large scale related video suggestion categories and subject descriptors, KDD, 2014. 

  31. 유소엽, 정옥란, "사용자의 소셜 카데고리를 이용한 유튜브 동영상 추천 알고리즘," 정보과학회논문지, 제42권, 제5호, pp.664-670, 2015. 

  32. Q. Huang, B. Chen, J. Wang, and T. Mei, "Personalized Video Recommendation through graph propagation," ACM Transaction on Multimedia Computing, Communications, and Applications, Vol.10, No.4, p.32, 2014. 

  33. R. Zhou, S. Khemmarat, and L. Gao, "The impact of YouTube recommendation system on video views," In M. Allman (Ed.), Proceedings of the 10th ACM SIGCOMM conference on Internet measurement (IMC'10), New York, NY: ACM Press, pp.404-410, 2010. 

  34. M. Gielen and J. Rosen, "Reverse Engineering The YouTube Algorithm," tubefilter, 2016. 

  35. 이선정, 이수범, "유튜브 상에서의 K-뷰티 한류 콘텐 츠 확산 전략 연구," GRI 연구논총, 제20권, 제3호, pp.231-259, 2018. 

  36. H. Yoganarasimhan, "Impact of social network structure on content propagation : A Study using Youtube data," Quantitative Marketing and Economics, Vol.10, pp.111-150, 2012. 

  37. 박정이, 임지은, 황장선, "유튜브 브랜드 채널 콘텐츠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한국광고홍보학보, 제20권, 제2호, pp.95-151, 2018. 

  38. 임병학, "유튜브의 방문횟수에 대한 온라인 비디오 네트워크의 영향 : 강남 스타일의 패러디 비디오를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제10권, 제1호, pp.1-15, 2013. 

  39. W. W. Xu. J. Y. Park, J. Y. Kim, and H. W. Park, "Networked cultural diffusion and creation on Youtube : An analysis of Youtube meme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60, No.1, pp.104-122, 2016. 

  40. A. Susarla, J. H. Oh, and Y. Tan, "Social Networks and the diffusion of user-generated content : Evidence from Youtub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23, No.1, pp.23-41, 2012. 

  41. 박병언, 임규건, "일반영향요인과 댓글 기반 콘텐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합한 유튜브상의 콘텐츠 확산 영향요인 연구," 지능정보연구, 제21권, 제3호, pp.19-36, 2016. 

  42. G. Sivinski, A. Okuliar, and L. Kjolbye, "Is big data a big deal? A Competition law approach to big data," European Competition Journal, Vol.13, No.2-3, pp.199-277,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