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 In previous studies, I presented various effects of Seosiokyongsan (SSOOS) cp soap on facial skin. However, in the case of skin clinical trials, various factors such as lifestyle, alcohol, tobacco, and stress could not be exclu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bjectives : In previous studies, I presented various effects of Seosiokyongsan (SSOOS) cp soap on facial skin. However, in the case of skin clinical trials, various factors such as lifestyle, alcohol, tobacco, and stress could not be exclu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ce wash using SSOOS cp soap on the skin without environmental factors. Methods : The same water and towel were used at the same place in order to examine the skin change state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washing face with SSOOS cp soap. The skin test was performed before washing the face and after 10 minutes washing the face to compare the changes. As a control group, the case of washing with water without using cleanser and the case of washing with S-K cleanser, which is a popular commercial product, were set. Three cas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 In the case of water washing, the decrease in moisture was similar to that of the S-K cleanser and the amount of oil and pores decreased, but it was weaker than that of the S-K cleanser. The SSOOS cp soap showed a decrease in oil, pores, and pigments, but it was not significant, the moistur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but it was mild compared to S-K cleanser and water wash. Conclusion : In the case of SSOOS cp soap, the stimulation caused by facial cleansing was the least, showing a gentle change.
Objectives : In previous studies, I presented various effects of Seosiokyongsan (SSOOS) cp soap on facial skin. However, in the case of skin clinical trials, various factors such as lifestyle, alcohol, tobacco, and stress could not be exclu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ce wash using SSOOS cp soap on the skin without environmental factors. Methods : The same water and towel were used at the same place in order to examine the skin change state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washing face with SSOOS cp soap. The skin test was performed before washing the face and after 10 minutes washing the face to compare the changes. As a control group, the case of washing with water without using cleanser and the case of washing with S-K cleanser, which is a popular commercial product, were set. Three cas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 In the case of water washing, the decrease in moisture was similar to that of the S-K cleanser and the amount of oil and pores decreased, but it was weaker than that of the S-K cleanser. The SSOOS cp soap showed a decrease in oil, pores, and pigments, but it was not significant, the moistur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but it was mild compared to S-K cleanser and water wash. Conclusion : In the case of SSOOS cp soap, the stimulation caused by facial cleansing was the least, showing a gentle chang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인 요인을 배제하기 위하여 동일한 환경조건 하에서 세안 전·후의 변화 상태에 있어 西施玉容散 cp비누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중에서 판매되는 대표적인 세안제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안면피부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 시험은 피부의 변화상태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환경적인 요인, 예를 들어 사용하는 화장품이나 생활패턴, 술, 담배, 피로, 스트레스 등을 제거하고 순수한 세안제 만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물세안과 시중 판매제품인 S-K세안제를 사용한 대조군을 설정하여 임상시험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대상자들의 연령대가 거의 일률적이고 학생신분이었으며 소규모 집단에 대한 조사연구이므로 결과를 전체에 대한 일반적인 효과라고 결론을 짓기에는 무리가 있다.
제안 방법
본 연구는 3회에 걸쳐 세안 전·후의 안면피부 변화상태를 검사하였으며 처음에는 물세안, 2차에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S-K세안제, 3차에서는 西施玉容散 cp비누를 사용하여 세안 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3회에 걸쳐 세안 전·후의 안면피부 변화상태를 검사하였으며 처음에는 물세안, 2차에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S-K세안제, 3차에서는 西施玉容散 cp비누를 사용하여 세안 하도록 하였다. 검사는 A-ONE Smart 원 클릭 자동 안면 진단 시스템(BOMTECH ELECTRONICS CO.,LTD,Korea)을 이용하여 안면 전체 상태와 볼 부위의 피부상태를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일반광, UV광, 편광으로 연속 3회 측정하였으며 P-sensor를 사용하여 수분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모든 시험은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시행하였다. 측정은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실내 온도 24~26℃, 상대 습도 45% 이하에서 실시하였다.
② 이후 깨끗하게 세안하고 착석하여 10분 동안 안정상태로 대기한 후 다시 안면피부검사를 시행한다.
1차에서는 물세안 전·후의 피부변화상태를, 2차에서는 시중에서 판매 되는 S-K세안제를 이용한 세안 전·후의 피부변화상태를, 3차에서는 西施玉容散 저온숙성비누를 이용한 세안 전·후의 피부변화상태를 검사하였으며 각각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였 다.
대상 데이터
본 시험은 西施玉容散 저온숙성비누의 세안 전·후 효능을 연구하기 위하여 A대학교 재학 중인 3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세안 전·후 피부의 변화 상태를 검사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된 약재는 綠豆(안동), 白芷(영주), 天花粉(제주도), 白芨(중국), 白蘞(중국), 白殭蠶(중국), 白附子(중국), 각 4 g, 藿香(포항), 甘松香(중국), 三乃子(중국)각 2 g, 藁本(영양), 零陵香(중국), 防風(중국) 각 1 g, 皂角子(중국) 0.5 g을 (주)휴먼허브(대구, 한국)에서 구입하여 생약규격집에 맞춰서 관능검사하여 약전규격에 적합한 것만을 정선하여 사용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西施玉容散 저온숙성비누의 세안 전·후 효능을 비교연구하기 위하여 A대학교 재학 중인 3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피부상태를 3회에 걸쳐 검사하였다.
본 시험은 西施玉容散 저온숙성비누의 세안 전·후 안면피 부의 변화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A대학교 재학 중인 3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하였다.
데이터처리
사후 검정은 Duncan test로 분석하였으며, 가설검정을 위한 유의 수준은 p<.05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측정하였으며,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mean±S.D.)를 측정하였다.
,LTD,Korea)을 이용하여 안면 전체 상태와 볼 부위의 피부상태를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일반광, UV광, 편광으로 연속 3회 측정하였으며 P-sensor를 사용하여 수분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모든 시험은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시행하였다.
)를 측정하였다. 세안 전후 피부상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후 검정은 Duncan test로 분석하였으며, 가설검정을 위한 유의 수준은 p<.
성능/효과
안면분석 검사 결과 T존 유분의 수치는 물세안 전 2422.73 ±2177.384 pixel, 물세안 후 1726.03±1277.113 pixel, S-K세안 전 2284.53±1481.029 pixel, S-K세안 후 1593.00 ±997.912 pixel, 西施玉容散 cp비누 사용 전 2478.72± 3699.861 pixel, 西施玉容散 cp비누 사용 후 1592.86± 1004.181 pixel로 나타나 물세안과 S-K 세안에 있어서 유의성 있는 유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안면분석 검사 결과 모공의 크기는 물세안 전 3.33±0.373 unit, 물세안 후 3.22±0.373 unit, S-K세안 전 3.362± 0.388 unit, S-K 세안 후 3.026±0.353 unit, 西施玉容散 cp비누 사용 전 3.2555±0.58012 unit, 西施玉容散 cp비누 사용 후 3.1283±0.37891 unit로 나타나 물세안, S-K세안제 사용에 있어서 모두 유의성 있는 모공크기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안면분석 검사 결과 수분은 물세안 전 38.07±2.545%, 물세안 후 36.27±2.434%, S-K세안 전 37.90±3.418%, S-K 세안 후 35.73±2.828%, 西施玉容散 cp비누 사용 전 36.93±3.545%, 西施玉容散 cp비누 사용 후 35.93±3.070% 로 나타나 물세안, S-K세안, 西施玉容散 cp 비누 사용에 있어서 모두 유의성 있는 수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안면분석 검사 결과 T존 유분은 물세안 전 2422.73± 2177.384, 물세안 후 1726.03±1277.113, S-K세안 전 2284.53±1481.029, S-K세안 후 1593.00±997.912, 西 施玉容散 저온숙성비누 사용 전 2478.72±3699.861, 西施 玉容散 저온숙성비누 사용 후 1592.86±1004.181로 나타났다.
181로 나타났다. 물세안과 S-K 세안에 있어서 모두 T존 유분의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S-K 세안에 있어 유의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Fig 2). U존 유분은 물세안 전 901.
S-K 세안에 있어서만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Fig 3). 이로써 세안 직후의 변화에 있어서 S-K세안에 있어서 유분의 감소가 급격히 나타 나는 것을 알 수 있고 西施玉容散 저온숙성비누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유분이 줄어들긴 하였으나 유의성 있는 변화는 아니었고, S-K 세안에 비하여 완만한 감소를 보였다는 것을알 수 있다. 이로 보아 西施玉容散 저온숙성비누 세안 후 당김증상이 덜 하다는 대상자들의 표현은 유분의 급격한 감소가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37891로 나타났다. 물세안, S-K세안 사용에 있어서 모두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났으나 S-K 세안에 있어 유의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Fig 4). 모공의 변화에 있어서 역시 S-K 세안에 있어서 모공의 급격한 축소가 나타난 것은 세안 장소, 물의 온도, 타월 등의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한 상태였으므로 결론적으로 세안제의 자극이 모공을 축소시킨 것으로 사료되며 西施玉容 散 저온숙성비누를 사용한 경우 갑작스런 피부의 자극은 덜한 것으로 사료된다.
물세안, S-K세안 사용에 있어서 모두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났으나 S-K 세안에 있어 유의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Fig 4). 모공의 변화에 있어서 역시 S-K 세안에 있어서 모공의 급격한 축소가 나타난 것은 세안 장소, 물의 온도, 타월 등의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한 상태였으므로 결론적으로 세안제의 자극이 모공을 축소시킨 것으로 사료되며 西施玉容 散 저온숙성비누를 사용한 경우 갑작스런 피부의 자극은 덜한 것으로 사료된다. 색소침착은 물세안 전 2.
1. 西施玉容散 저온숙성비누 세안의 경우 T-zone U-zone 유분의 감소를 나타내긴 하였으나 대조군에 비하여 완만한 변화였다.
2. 西施玉容散 저온숙성비누 세안의 경우 모공크기의 감소를 나타내긴 하였으나 대조군에 비하여 완만한 변화였다.
3. 西施玉容散 저온숙성비누 세안의 경우 색소의 감소를 나타내긴 하였으나 대조군에 비하여 완만한 변화였다.
4. 西施玉容散 저온숙성비누 세안의 경우 수분의 감소를 나타내긴 하였으나 대조군에 비하여 완만한 변화였다.
결론적으로 西施玉容散 저온숙성비누를 이용하여 세안하였을 때에는 물세안이나 S-K세안에 비하여 세안으로 인한 자극이 가장 경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피부표면의 천연보호막 성분을 보존하여 세포 재생을 돕고 피부조직을 보호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후속연구
하지만 대상자들의 연령대가 거의 일률적이고 학생신분이었으며 소규모 집단에 대한 조사연구이므로 결과를 전체에 대한 일반적인 효과라고 결론을 짓기에는 무리가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대상자의 집단을 크게 하여 보다 보편적인 효과검증을 위하여 추후 연구를 계속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西施玉容散의 특징은?
예로부터 세안제로 사용되어 온 처방 중에 西施玉容散은 황9)의 方藥合編에서 “治面上一切酒刺風刺 左細末 每洗面時 用之 面色如玉”라고 기재되어 있으며 消腫排膿, 收斂生肌하는 우수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합성계면활성제가 피부에 주는 영향은?
외모의 아름다움에 대한 첫 번째 관건이 되는 것이 피부미용이라고 할 수 있으며2-3) 세안은 피부 관리에서 가장 필수적이면서도 중요한 과정이다. 현재 세안제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제품에는 합성계면활성제가 첨가되어 있는데 이것은 피부에 잔류하기가 쉬워서 피부 표면을 보호하고 있는 피지 등의 천연보습인자(NMF)를 제거하고, 피부 세포와 결합하여 단백질 변성을 일으켜 세포를 파괴하여 인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4). 세안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김5), 정6), 임7) 등의 연구발표가 있었으며 이8) 등은 합성세안제를 사용해 온 피부상태보다 천연비누를 적용했을 경우 수분과 탄력도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음을 발표하였다.
세안제의 선택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은?
따라서 세안제의 선택은 피부 건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18). 세안 제품의 선택에 있어 무엇보다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자극성이어야 하고, 피부표면에 존재하는 각질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피부표면의 천연보호막 성분을 보존하도록 하여야만 세포 재생을 돕고 피부조직을 보호하여 피부색을 좋게 할 수 있다19). 하지만 현대인들이 사용하는 대부분의 세안제는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합성비누로써, 피부의 표면을 보호하고 있는 피지 등의 천연보습인자를 제거하여 피부세포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20).
참고문헌 (33)
Kim YE. Skin care procedures suggested for effective skin care[dissertation]. Seoul: Konkuk Univ.;2003.
Cheon HM, Heo SY. The Change of Moisture and Oiliness after Applying Natural Skin Care Packs. J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2008;4(2):209-14.
Han YS, Choi TB, Lee YH, Kim CJ, Kim JY, Jang MH. Dermatology. Seoul: Jeongdammedia. 2004;12.
Whang CY. Manufacturing of the recycled soap using spent soybean oil[dissertation].Suwon: Ajou Univ.;1999.
Kim IO, Bae HS, Change of Skin Condition by Using Surfactant Based Cleansing and Solvent Based Cleansing Formula. Kor. J. Aesthet. Cosmetol. 2012;10(3): 549-58.
Jung HJ. Consumer Awareness on Skin Type-Dependent Cleanser, Usage and Side-Effects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2013.
Im SH, Kwak SS, Kim AK. A Study on Skin Conditions by Water-Soluble Cleanser. Korean Journal of Skin Beauty. 2010;8(4):73-86.
Lee SH, Whang WK. A Study on the influence of natural soap on adult female facial skin. Korean Journal of Skin Beauty. 2009;7(3):143-51.
Kim JH. Study on the clinical effect of Seosiokyoungsan on common ache. J of Korean Oriental Int Medicine. 1995;16(1):174-80.
Park JS, Nam WY, Moon YJ, Cho KH, Jeon BH, Woo WH. Effect of Seosiokyongsan on the Melanogenesis of B16 Melanoma Cell Line. Korean J Oriental Medical Pathology. 2000;14(1):160-70.
Son DS, Kim YB. Depigmentation activity of Kakamseosiokyong-san[dissertation]. Seoul: Kyunghee univ.; 2002.
Choi SR, Kim JJ, Koo JS. The Effect of Seosiokyongsan fermented soap on facial pores. Kor Association of Herbology. 2019;34(2):33-9.
Choi SR, Koo JS. Study of Skin Characteristics in Spring.Autumn and seasonal efficacy of Seosiokyongsan CP soap. Jor of Kor Med. 2019;40(2):133-41.
Choi SR, Seo BI, Koo JS. The Efficacy Study on Seosiokyongsan CP Soap. Kor. J. Herbol. 2019;34(6):125-130.
Lee NG. 50 kinds of lies for cosmetics. Seoul: Book House. 2009:5-56.
Jung MY. The influence of soap on skin moisture contents[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 2004.
Kim IO, Bae HS. Change of Skin Condition by Using Surfactant Based Cleansing and Solvent Based Cleansing Formula. Kor J Aesthet Cosmetol. 2012;10(3):549-58.
Kim JI. A Research on Perception of the Cleaning by Age. Asian J. Beauty Cosmetol. 2007;5(2):15-25.
Go H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habits and skin surface moisture level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1997.
Guillou S, Ghabri S, Jannot C, Gaillard E, Lamour I, Boisnic S. The moisturizing effect of a wheat extract food supple-ment on women's skin: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Int. J. Cosmet. Sci. 2011;33(2):138-4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