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두부 외상 후 두개골 골절 환아의 두개내 출혈 위험요인
Risk Factors of Intracranial Hemorrhage in Skull Fracture after Pediatric Head Traum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22 no.1, 2020년, pp.45 - 52  

지명희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최혜란 (울산대학교 임상전문간호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intracranial hemorrhage in children with skull fractures from head trauma. Methods: The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205 patients diagnosed with a skull fracture in a pediatric emergency room. Data were analyzed using 𝓍...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소아의 두부 외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임상 증상과 병변이 변할 수 있어, 적절한 평가와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하다. 소아 두부 외상 환자의 치료 목표는 두개내 병변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여 이차적 뇌 손상을 예방하는데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소아 응급실에 내원한 두부 외상 환자들 중 두개골 골절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두개내 출혈 여부에 따른 임상적 특성 및 위험 요인을 파악하여, 두부 외상 후 소아 환자의 관리 및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아 두부 외상으로 두개골 골절이 발생한 환자의 두 개내 출혈 위험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두부 외상으로 인한 두개골 골절 소아의 두개내 출혈 위험 요인 분석을 위한 후향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두부 외상 소아 환자에서 두개골 골절 발생 시 두개내 출혈에 대한 위험 요인을 분석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개골 골절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두개내 출혈 여부에 따른 일반적 특성 및 임상 증상을 비교 분석하여, 두부외상 후 소아 환자의 관리 및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두부 외상 소아 환자에서 두개골 골절 발생 시 두개내 출혈에 대한 위험 요인을 분석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개골 골절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두개내 출혈 여부에 따른 일반적 특성 및 임상 증상을 비교 분석하여, 두부외상 후 소아 환자의 관리 및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두부 외상으로 인한 두개골 골절 소아의 두개내 출혈 위험 요인 분석을 위해 시행된 연구로 205명 환자의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두개내 출혈 발생은 영아기와 비교하여 학령기와 사춘기에 높았으며, 집과 비교하여 도로 및 학교에서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부외상이 야기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두부 외상은 응급실로 내원하는 가장 흔한 소아 외상 중의 하나로, 소아에게 장애와 사망을 야기하는 주된 원인이며[1], 미국에서는 매년 외상성 뇌손상에 의해 5만 여명이 사망하고 있다[2]. 두부외상은두피, 두개골, 뇌실질의손상을야기할수있고, 두개골의작은 충격부터 심각한 뇌 손상까지 발생 가능하다[3]. 특히, 소아는 해부학적인구조상두개골의두께가얇아외상에의하여골절되기쉬우며, 지주막하 공간이 적어 외상에 의한 뇌 손상의 가능성이 성인보다 크고[4], 중추 신경계의 발달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이므로, 두부 외상으로 인한 증상이나 뇌 손상의 특징, 예후 등이 성인과 차이를 보인다[5].
두부 외상이란 무엇인가? 두부 외상은 응급실로 내원하는 가장 흔한 소아 외상 중의 하나로, 소아에게 장애와 사망을 야기하는 주된 원인이며[1], 미국에서는 매년 외상성 뇌손상에 의해 5만 여명이 사망하고 있다[2]. 두부외상은두피, 두개골, 뇌실질의손상을야기할수있고, 두개골의작은 충격부터 심각한 뇌 손상까지 발생 가능하다[3].
소아 두부 외상 중 두개골 골절이 있는 경우 출혈 발생 위험은 아닌경우의 몇배인가? 3%이며[6,7], 두부외상 후 두개골이 골절되면 두개내 출혈 가능성이 높다[6-8]. 두개골 골절이 있는 경우 출혈 발생 위험은 2.71배이고[9], 두개내 병변이악화된다[10]. 그러므로 두개골 골절과 두개내 병변에 대한 신속한진단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응급실에서 머리 엑스선과 뇌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하여야 한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Tepas JJ 3rd, DiScala C, Ramenofsky ML, Barlow B. Mortality and head injury: the pediatric perspective. Journal of Pediatric Surgery. 1990;25(1):92-96.https://doi.org/10.1016/S0022-3468(05)80170-8 

  2. Song KJ. Approach to TBI(traumatic brain injury) with public health model: focusing on CDC [Internet]. Sej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cited 2019 January 26].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board.es?mida20602010000&bid0034&actview&list_no12430 

  3. Anderson T, Heitger M, Macleod AD. Concussion and mild head injury. Practical Neurology. 2006;6(6):342-357. https://doi.org/10.1136/jnnp.2006.106583 

  4. Bruce DA. Pediatric head injury. In: Wilkins RH, Rengachary SS, editors. Neurosurgery. 2nd ed. New York, NY: McGraw-Hill; 1996. p.2707-2716. 

  5. Berger MS, Pitts LH, Lovely M, Edwards MS, Bartkowski HM. Outcome from severe head injur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Neurosurgery. 1985;62(2):194-199. https://doi.org/10.3171/jns.1985.62.2.0194 

  6. Arneitz C, Sinzig M, Fasching G. Diagnostic and clinical management of skull fractures in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Imaging Science. 2016;6(47):342-357. http://doi.org/10.4103/2156-7514.194261 

  7. Atabaki SM, Stiell IG, Bazarian JJ, Sadow KE, Vu TT, Camarca MA, et al. A clinical decision rule for cranial computed tomography in minor pediatric head trauma.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2008;162(5):439-445. https://doi.org/10.1001/archpedi.162.5.439 

  8. Hyun DK, Ha YS, Park CO. A clinical analysis of pediatric head injuries.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2001;30(1):54-59. 

  9. Erlichman DB, Blumfield E, Rajpathak S, Weiss A. Association between linear skull fractures and intracranial hemorrhage in children with minor head trauma. Pediatric Radiology. 2010;40(8):1375-1379. http://doi.org/10.1007/s00247-010-1555-4 

  10. Ko HS, Kim GT, Kang KH. Is routinely repeated brain computed tomography necessary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in an emergency set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07;18(6):554-562. http://doi. org/10.3340/jkns.2015.58.2.125 

  11. Menoch MJ, Hirsh DA, Khan NS, Simon HK, Sturm JJ. Trends in computed tomography utilization in the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Pediatrics. 2012;129(3):e690-e697. http://doi.org/10.1542/peds.2011-2548 

  12. Kuppermann N, Holmes JF, Dayan PS, Hoyle JD, Atabaki SM, Holubkov R, et al. Identification of children at very low risk of clinically-important brain injuries after head trauma: a prospective cohort study. The Lancet. 2009;374(9696): 1160-1170.http://doi.org/10.1016/S0140-6736(09)61558-0 

  13. Pearce MS, Salotti JA, Little MP, McHugh K, Lee C, Kim KP, et al. Radiation exposure from CT scans in childhood and subsequent risk of leukaemia and brain tumour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The Lancet. 2012;380(9840):499-505. https://doi.org/10.1016/S0140-6736(12)60815-0 

  14. Palchak MJ, Holmes JF, Vance CW, Gelber RE, Schauer BA, Harrison MJ, et al. A decision rule for identifying children at low risk for brain injuries after blunt head trauma.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003;42(4):492-506. https://doi.org/10.1067/S0196-0644(03)00425-6 

  15. Ryu JM, Seo MH, Kim WY, Kim W, Lim KS. A pilot study on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ing to childhood home slip-down inju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raumatology. 2009;22(1):51-56. 

  16. Hu CF, Fan HC, Chang CF, Chen SJ. Current approaches to the treatment of head injury in children. Pediatrics & Neonatology. 2013;54(2):73-81. https:// doi.org/10.1016/j.pedneo.2012.12.011 

  17. Powell EC, Atabaki SM, Wootton-Gorges S, Wisner D, Mahajan P, Glass T, et al. Isolated linear skull fractures in children with blunt head trauma. Pediatrics. 2015;135(4):e851-e857. http://doi.org/10.1542/peds.2014-2858 

  18. Kim GT. Development of clinical criteria for indication of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in minor head injury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2;23(1):24-32. 

  19. Lim YS, Youm SL, Shin JH, Ryoo E, Park CW, Shin JH, et al. Clinical analysis of mild head trauma in children admitted to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999;10(3):456-465. 

  20. Schutzman SA, Barnes P, Duhaime AC, Greenes D, Homer C, Jaffe D, et al.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hildren younger than two years old with apparently minor head trauma: proposed guidelines. Pediatrics. 2001;107(5):983-993. https://doi.org/10.1542/peds.107.5.983 

  21. Kim YS, Lim H, Cho YS, Kim HJ.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and size of scalp injury and intracranial injury among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due to head traum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raumatology. 2006;19(1):8-13. 

  22. Nelson EL, Melton JL, Annegers JF, Laws ER, Offord KP. Incidence of skull fractures in Olmsted County, Minnesota. Neurosurgery. 1984;15(3):318-324. https://doi.org/10.1227/00006123-198409000-00005 

  23. Trefan L, Houston R, Pearson G, Edwards R, Hyde P, Maconochie I, et al. Epidemiology of children with head injury: a national overview.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2016;101(6):527-532. http://doi.org/10.1136/archdischild-2015-308424 

  24. Jo HJ, Lim YS, Kim JJ, Cho JS, Hyun SY, Yang HJ, et al. Value of repeat brain computed tomography in children with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2015;28(3):149-157. https://doi.org/10.20408/jti.2015.28.3.149 

  25. Kim OR, Park YM, Kim SR. Clinical review on severe brain injury in children. Journal of Kyongbuk Medical School. 1983;24(2):71-76. 

  26. Kim KH, Lee KH, Kim WY, Yoon YC, Kim HY. Computed tomography(CT) in head trauma patients with alert mental status: how important are the clinical sympto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997;8(4): 564-570. 

  27. Choi SW, Son DG, Lee HS. A high-yield clinical variable for brain CT scan in head injured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994;5(2):202-208. 

  28. Gruskin KD, Schutzman SA. Head trauma in children younger than 2 years: are there predictors for complications?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999;153(1):15-20. https://doi.org/10.1001/archpedi.153.1.1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