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관상동맥 혈관 조영상의 화질 측정 방법 고안
Development of Image Quality Measurement Method of Coronary Angiography Using Image Analysis Program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4 no.2, 2020년, pp.111 - 120  

서영현 (여수제일병원 부정맥 심혈관센터) ,  송종남 (동신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병원에서 사용하는 X선 장비는 X선 장비의 능력 연구와 더불어 출력되는 영상의 화질까지도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영상의학과 장비의 X-Ray기계나 CT, MRI와 같은 장비의 후향적 이미지 분석은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혈관조영실의 혈관조영장비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의 화질 측정은 팬텀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 대부분이고 실제 환자에게 촬영된 후의 영상에 관한 화질 측정은 미비한 실정이며 정확한 화질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가 현저히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관상동맥 조영술 후 획득된 영상의 화질측정 방법을 고안한 연구를 진행해 시술자에게 질 높은 영상을 제공하고자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사용된 장비 및 프로그램은 혈관 조영 검사 장비(Axiom Artis Zee Ceiling)와 Image J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대상으로는 관상동맥 조영술 후 PACS프로그램에 자동 저장된 영상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화질 측정 방법으로는 Image J프로그램을 이용했을 때 관상동맥 조영술 중 좌 관상동맥의 주요 혈관들이 가장 잘 펼쳐져 보이는 각도의 영상인 AP Caudal 30°영상과 우 관상동맥의 혈관이 가장 잘 펼쳐져 보이는 LAO 30° 영상을 선택하여 선택된 영상의 배경영역(Background)과 관심영역(ROI)을 측정하기 위해 혈관과 간, 폐 등의 음영 중복이 가장 최소화 되는 구간을 찾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혈관 조영 영상의 화질측정 분석 방법은 정확히 제시되어 있는 기준이 없기 때문에 시술자에게 질 좋은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선 그 장비의 기술자들뿐 아니라 실제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연구자가 되어 다양한 방법으로 화질측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야만 환자에게도 우수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for the ability of X-ray equipment and Retrospective image analysis of X-ray equipment used in hospitals. Retrospective image analysis of X-ray machines, CT and MRI of radiology and medical equipment has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image quality measuremen...

주제어

표/그림 (2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마찬가지로 최근 2017년부터 혈관 조영기기의 화질 측정에 관한 연구들이 소규모로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언급한 연구에서처럼 팬텀을 이용한 화질 측정이 대부분인 실정이다.[3] 그나마 2018년 정묘영 외[4]의 연구와 2019년 서영현 외[5]의 연구에서 실제 촬영된 혈관조영 영상을 이용해 화질분석을 실시한 연구가 있었고 이 영상에서 사용된 화질 측정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면서 정확하기에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실제 촬영된 혈관 조영 영상 화질을 분석하는 방법을 고안해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분명, 병원에서 사용하는 모든 X선 장비는 X선 장비의 기본 능력 연구와 더불어 새로운 기능을 발견하기 위한 연구 및 촬영 후 출력되는 영상의 화질까지도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 두 연구는 유사하게 CAG 시 Cine촬영 조건에 변화를 주고 촬영한 영상의 SNR과 CNR을 분석해 X선 영상 조건의 변화가 화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기술한 연구이다. 그 중 서영현 외[5] 의 연구에서는 촬영 조건의 변화로 화질 측정 결과가 유의미한 결론까지 도출해 내었는데 이러한 실험에 쓰인 영상의 background와 ROI를 설정하는 방법을 본 연구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제시해 보고 자 실험하게 되었다. 다만, 선행 연구가 다량 기술되어 있는 영상의학과의 Chest PA영상이나 CT영상을 이용한 화질 측정 방법을 다루는 것이 아닌 선행 연구가 없는 혈관 조영 영상을 이용한 화질 측정 방법을 제안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다소 어려움이 존재했었다.
  • 그러나 현재까지 혈관 조영술 촬영 후 획득한 영상정보에 대하여 화질 측정에 관해 기준을 제시해 본 선행 연구들이 없는 관계로 본 연구를 통해 관상동맥 조영술 후 획득된 영상의 화질 측정 방법을 고안한 실험을 진행해 시술자에게 질 높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IEC, "Medical electrical equioment, Characteristrics of electro-optical X-ray image intensifiers," 1994. 

  2. S. H. Kim, "Technical Evaluation of Interventional Radiation System,"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o. 26, pp. 1-28, 2011. 

  3. H. Jeon, "Impact of low frame rate on image quality during coronary angiography an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to reduce radiation dose,"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d Collection, 2016. 

  4. M. Y. Jeong, Y. H. Seo, J. N. Song, J. B. H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ESD and DAP, and Image SNR. CNR According to the Frame Change of Cine Imaging in CAG : With Focus on 10 f/s and 15 f/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12, No. 5, pp. 669-675, 2018. http://dx.doi.org/10.7742/jksr.2018.12.7.845 

  5. Y. H. Seo, J. N. Song, "Analysis of the ESD and DAP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ine Imaging Condition of Coronary Angiography and Usefulness of SNR and CNR of the Images: Focusing on the Change of Tube Curr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13, No. 3, pp. 371-379, 2019. http://dx.doi.org/10.7742/jksr.2019.13.3.371 

  6. J. S. Lee, S. J. Ko, S. S. Kang, J. H. Kim, D. H. Kim, C. S. Kim, "Quantitative Evaluation of Image Quality us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 & Sensitivity in the Digital Chest Image,"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8, pp. 275-283, 2013.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8.275 

  7. K. W. Kim, J. W. Min, K. Y. Lyu, J. M. Kim, H. W. Jeong, J. A. Lee, J. H. Jung, D. C. Sung, S. C. Park, "Comparison Study on CNR and SNR of Thoracic Spine Lateral Radiography," Korean Society of Radiological Science, Vol. 36, No. 4, pp. 273-280, 2013. 

  8. K. J. Lee, M. K. Kim, J. W. Lee, H. C. Kim, "Study on the Minimal Product Quality of Dose in Digital Radiography,"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50, No. 2, pp. 203-209, 2013. http://dx.doi.org/10.5573/ieek.2013.50.2.203 

  9. Chung-Ku, Textbook of Vascular and Interventional Radiography, 2nd Ed.,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Imaging Technology, Korea, 2012. 

  10. WHO MONICA Project Principal Investigator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MONICA, monitoring trends and determinants in cardiovascular disease: a major international collabora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 Vol. 41, No. 2, pp. 105-114, 1988. http://dx.doi.org/10.1016/0895-4356(88)90084-4 

  11. T. Y. Yun, J. W. Son, K. J. Kim, "The analysis of scattered radiation distribution depends on changing tube angle in angiography suite,"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Technology, Vol. 20, No. 1, pp. 55-63,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