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조경 보존·관리를 위한 3차원 공간정보 적용방안
A Measures to Implements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using Aerial Photogrammetry and 3D Scanning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1, 2020년, pp.77 - 84  

김재웅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명승 및 전통정원과 같이 면적으로 구성된 전통조경공간에 대한 효율적인 보존관리를 위한 3차원 공간정보구축에 활용되는 소형드론과 3D스캐너를 이용하여 생성된 공간정보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전통조경공간별 3차원공간정보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형드론을 이용한 항공사진측량은 대면적의 전통조경공간에 GSD 3cm급 이하의 3차원공간정보 구축이 가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공사진측량 데이터는 3D스캐너에 비해 정확도는 떨어지나 정사영상테이터 구축에 있어 디지털데이터를 이용한 texture 맵핑으로 3D스캐너에 비해 RGB영상의 판독을 통한 경관변화 모니터링 등에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광한루원과 같이 일정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통조경공간에 항공사진측량으로 구축된 정사영상데이터는 시각적으로 정확하고 정밀한 결과물이 구축되었으나, 수치데이터 추출 결과 전통조경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 중 하나인 수목에 대한 데이터가 추출되지 않아 수목이 밀집한 지역 등을 중심으로 3D스캔과 항공사진측량을 병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담양 소쇄원과 같이 작은 면적으로 구성된 전통정원에 항공사진측량으로 구축된 정사영상데이터는 수목과 인접한 곳과 수목의 하단부에 대한 공간정보구축이 불가능하였으며, 주변의 수목들로 인해 지형데이터를 포함한 3차원 공간정보데이터에 다수의 오류가 발생되었다. 이는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 건축물, 조경시설, 수목 등이 밀집하고 있어 항공사진 측량보다는 3D스캔 기술을 활용하여 정밀 실측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3D스캐닝은 항공사진측량에 비해 오랜 시간이 소요되나 측량데이터의 정밀성과 가상현실을 통한 보존관리가 가능하여 좁은 지역에서의 정밀한 조사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면적으로 구성된 전통조경공간을 대상으로 시간적·공간적 제약에 자유로운 소형드론과 3D스캐너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정보 구축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경주 양동마을과 같은 대면적의 공간에는 항공사진측량을 통한 모니터링이 효과적이었으며, 담양 소쇄원과 같은 전통정원에는 3D스캐너를 이용한 3차원 공간구축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추후 3D 스캔데이터와 항공사진측량 데이터의 융합을 통해 자연유산 및 전통조경공간의 보존관리를 위한 합리적인 분석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pply 3D spatial information per traditional landscape space by comparing spatial information data created using a small drone and 3D scanner used for 3D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for efficient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raditional landscaping space composed of areas such a...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조경공간을 대상으로 시간적·공간적 제약에 비교적 자유로운 소형드론과 3D스캐너를 이용하여 구축된 3차원 공간정보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전통조경공간의 보존·관리 업무에 적합한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명승 및 전통조경과 같은 전통공간의 3차원 공간정보구축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방법들을 현장에서 검토하여 전통조경공간의 보존관리에 적합한 구축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항공사진측량에서 생성된 점군데이터와 3D스캐너에서 생성되는 점군데이터를 융합한 공간정보구축을 시도하지 못하였으며, 정원 내부에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는 점경물 등에 대한 실측과 위치정보 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 본 연구는 전통공간의 보존관리에 최근 활발하게 사용되는 디지털 사진측량 기술과 3D광대역 스캐닝 기술로 구축되는 3차원공간정보의 장단점 및 한계점을 파악하여 전통조경공간에 효율적인 보존관리를 위한 기초자료구축 및 장기적인 자연유산의 보전관리의 효율적인 적용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전통조경공간을 대상으로 시간적·공간적 제약에 자유로운 소형드론과 3D스캐너로 제작된 3차원 공간정보데이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전통조경공간의 보존·관리에 적합한 3차원 공간정보를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했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 특히 항공사진 촬영을 통한 정사영상 데이터의 정확성은 평면데이터에 편중되어 있어 전통조경공간의 면적에 따른 3차원 공간정보 구축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으로 전통조경공간의 보존·관리 업무에 적합한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D 스캐너는 어떤 기능을 하는가? 정밀 3D데이터의 구축은 석탑, 유물, 건축물 등과 같은 단일요소에 대한 정밀 실측데이터에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전통정원 등과 같은 외부공간에 대한 정밀한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을 시작하고 있다. 최근 이용되는 3D 스캐너는 신속성, 편의성의 장점을 바탕으로 사물의 형상에 대한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직접 보거나 만지지 않아도 형상에 대한 특징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무엇보다 정원의 외부 공간과 같이 주변지형과 함께 다루어야 하는 오브젝트의 경우에는 이 방법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3D스캐닝은 어떤 특징을 갖는가? 이는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 건축물, 조경시설, 수목 등이 밀집하고 있어 항공사진 측량보다는 3D스캔 기술을 활용하여 정밀 실측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3D스캐닝은 항공사진측량에 비해 오랜 시간이 소요되나 측량데이터의 정밀성과 가상현실을 통한 보존관리가 가능하여 좁은 지역에서의 정밀한 조사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면적으로 구성된 전통조경공간을 대상으로 시간적·공간적 제약에 자유로운 소형드론과 3D스캐너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정보 구축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경주 양동마을과 같은 대면적의 공간에는 항공사진측량을 통한 모니터링이 효과적이었으며, 담양 소쇄원과 같은 전통정원에는 3D스캐너를 이용한 3차원 공간구축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디지털사진데이터를 활용한 사진측량 기술 중 소형드론을 활용한 사진측량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디지털사진데이터를 활용한 사진측량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소형드론을 활용한 사진측량은 저비용과 신속성으로 인해 도로, 항만시설, 지적측량, 공정관리, 재난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드론의 장점을 바탕으로 문화재 분야에서도 드론을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Lee, W. H., Kim, D. H., Kim, J. U. and Park, D. J.(2013). A Study on 3D Scan Technology for Find Archetype of Youngbeokji in Seongnagwon Garde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3): 95-105. 

  2. Koo, J. B.(2009). Study on Recording Method for Buried Cultural Property Using Photo Scanning Techniqu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6(5): 835-847. 

  3. Lee, G. S., Choi, Y. W., Lee, M. H., Kim, S. G. and Cho, G. S. (2016). Reconnaissance Surveying for Cultural Asset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8(3): 25-34. 

  4. Park, D. J., Youn, D. H. and Sim, H. Y.(2018). A study of Initial investigation of Stele Using 3D scanning. The Kyong ju mun hwa youn gu. 10(-): 19-36. 

  5. Kim, C. S.(2014). Effectiveness of 3D Visual Access Exposure Model for Urban Landscape Analysis.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5(3): 121-134. 

  6. Kang, B. G., Lee, W. B. and Ruy, S. H.(2018). Development of Baekje cultural tourism contents by utilizing portable VR glas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9(1): 317-323. 

  7. Kim, C. S. and Lee, S. H.(2018). A Study on the Reproducibility of 3D Shape Model of Garden Cultural Heritage using Photogrammetry with SNS Photograph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6(4): 94-104. 

  8. Shin, H. S.(2018). A Measure of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Application through 3D Scan Analysi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6(4): 105-112. 

  9. Yoo, H. H., Park, J .H., Shim, J. H. and Kim, S. S.(2006). Image Map Generation Using Low-altitude Photogrammetric UAV.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4(1): 37-47. 

  10. Lee, J. S.(2019).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pplica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7(1): 68-75. 

  11. Shin, D. Y., Han, J. Y., Jin. Y. J., Park, J. Y. and Jong, H. H, (2016). Ortho-image Production and Utilization Evaluation using UAV System,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2(3): 275-285. 

  12. Lee, G. S., Choi, Y. W. and Lee, J. J.(2016). Building of 3D Terrain Modeling and Evaluation of Location Accuracy using UAV in Beach Area.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8(2): 207-216. 

  13. Park. C. H., Choi, K. A. and Lee, I. P.(2016). Lane Extraction through UAV Mapping and Its Accuracy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4(1): 11-19. 

  14. Kim, J. U. and Lee, W. H.(2017). Monitoring Changes of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Area Using 3D Mapping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5(-): 43-51. 

  15. Kim, J. U. and Lee, W. H.(2018). A Study on Landscape Management Techniques of Cultural Heritage Designated Area Using 3D Mapp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36(1): 97-1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