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제내경(黃帝內經)』의 희(噫)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Meaning of 'Yi(噫)' in 『Huangdineijing』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33 no.2, 2020년, pp.77 - 90  

윤기령 (한의학고전연구소) ,  백유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장우창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정창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o determine the meaning of 'yi(噫)' from verses containing the character in 『Huangdineijing』. Methods : First, examples of the usage of 'yi(噫)' in Huangdineijin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llowed by examples from the other books of the time when 『Huangdineij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內經』에서 噫가 쓰이는 문장에서 噫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본 연구의 목표는 『黃帝內經』의 噫의 용례를 분석하여 噫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정리하면 총 20회의 용례 중 噫를 트림으로 볼 수 있 는 경우가 대다수에 속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素問‧ 宣明五氣』의 ‘心爲噫’나, 『素問‧刺禁論』 등의 ‘其動爲 噫’처럼 트림으로 보기 어려운 경우와 『素問‧痺論』, 『素問‧至眞要大論』처럼 의미를 트림으로 확정하기 어려운 경우 역시 존재하였다.
  • 이에 지금부터 心과 胃의 관계를 宗氣의 관점으 로 설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太陽人은 肺大肝小하여 외부 대상과의 유대 작용 을 담당하는 肝의 기능이 약하다. 太陽人이 정신적인 문제로 인한 경우 暴怒가 일어나게 되는데, 肝의 기운이 약한 상태라면 음식물의 소화 또한 제대로 일어나지 않고 거부하게 되며 이것이 곧 太陽人의 噎膈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書傳集註. 서울. 太山文化社. 1984. 

  2. 禮記. 서울. 保景文化社. 1991. 

  3. 淸. 柯琴 編撰, 趙輝賢 校注. 傷寒來蘇集.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6. 

  4. 淸 高士宗 著 孫國中 方向紅 點校. 黃帝內經素問直解. 北京. 學苑出版社. 2001. 

  5. 郭靄春 主編. ?帝內經素問語譯.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6. 

  6. 김달호, 이종형 共編譯. 注解補注 黃帝內經素問(上)(下). 서울. 의성당. 2001. 

  7. 김달호 編譯. 注解補注 黃帝內經靈樞(全). 서울. 의성당. 2002. 

  8. 日本. 丹波元簡 等編. 聿修堂醫書選 素問識.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4. 

  9. 馬繼興 著. 馬王堆古醫書考釋. 長沙. 湖南科學技術出版社. 1992. 

  10. 明. 馬蒔 撰, 田代華 主校. 黃帝內經素問注證發微.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8. 

  11. 박찬국. 懸吐國譯 黃帝內經素問注釋. 서울. 집문당. 2005. 

  12. 박찬국. 懸吐國譯 黃帝內經素問運氣七篇注釋. 서울. 집문당. 2009. 

  13. 박형익. 한국 자전의 역사. 서울. 역락. 2012. 

  14. 史廣江 責任編輯. 康熙字典. 鄭州. 中州古籍出版社. 2006. 

  15. 漢 司馬遷 撰. 史記 第八冊 傳(二). 北京. 中華書局. 1982. 

  16. 上海書店 編. 二十五史 2.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95. 

  17. 孫洽熙 主編. 黃元御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18. 송일병 외.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 집문당. 2012. 

  19. 松亭 金赫濟 校閱. 原本 小學集註(上). 서울. 明文堂 1985. 

  20. 松亭 金赫濟 校閱. 原本集註 詩傳(全). 서울. 明文堂. 1991. 

  21. 松亭 金赫濟 校閱. 懸吐釋字具解 論語集註. 서울. 明文堂 2000. 

  22. 안동림 역주. 莊子. 서울. 현암사. 2005. 

  23. 淸. 吳謙 等編, 東醫文獻硏究室 再編輯. 標點.索引 御纂醫宗金鑑. 서울. 법인문화사. 2006. 

  24. 明 吳昆 著, 孫國中 方向紅 點校. 黃帝內經素問吳注. 北京. 學苑出版社. 2001. 

  25. 王琦 외 4人. ?帝內經素問今釋. 서울. 성보사. 1983. 

  26. 王象禮 主編. 陳無擇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05. 

  27. 윤창열, 김용진 편저. 難經硏究集成. 대전. 주민출판사. 2007. 

  28. 李家源. 安炳周 監修, 大漢韓辭典編纂室 編. 敎學 大漢韓辭典. 서울. 敎學社. 1998. 

  29. 李順保 編著. 傷寒論版本大全. 北京. 學苑出版社. 2006. 

  30. 李志庸 主編. 張景岳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31. 淸. 章楠虛谷編注, 方春陽 孫芝齋 點校. 靈素節注類編. 杭州. 浙江科學技術出版社. 1986. 

  32. 張登本 主編. 白話通解?帝內經. 北京. 世界圖書出版公司. 2000. 

  33. 張登本 孫理軍 主編. 王?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06. 

  34. 河北醫學院校釋. 靈樞經校釋.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2. 

  35. 許惟賢 整理. 說文解字注(上). 南京. 鳳凰出版社. 2009. 

  36. 허준 지음. 윤석희.김형준 외 옮김. 對譯 東醫寶鑑. 동의보감출판사. 2006. 

  37. 洪元植.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 東洋醫學硏究院出版部. 1985. 

  38. 洪元植. 精校黃帝內經靈樞. 서울. 東洋醫學硏究院出版部. 1985. 

  39. 蘭鳳利. 論 對 的影響. 中華醫史雜志. 2006. 10(4). pp.201-205. 

  40. 王官惠. "噫"字辨析. 湖北中醫雜志. 1985. 3. pp.40-41. 

  41. 채영진. 素問至眞要大論에 對한 硏究.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42. 文淵閣 四庫全書 電子版(網上版). 迪志文化出版有限公司.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