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비염의 매선 치료 임상 연구 동향
Clinical Research Trend for Catgut-embedding Therapy on Allergic Rhinitis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33 no.2, 2020년, pp.55 - 69  

강정인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이동효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the effects of catgut-embedding therapy on allergic rhinitis. Methods : We searched potentially relevan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using various electronic databases and extracted data using a standardized form. Results : Fin...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 검색을 통해 알레르기 비염의 매선요법에 대한 임상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알레르기 비염의 매선 치료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별로 사용된 매선 치료의 방법, 기간이 다양하였고, 결과 평가에 대한 기준이 조금씩 다른 점을 고려할 때, 알레르기 비염에 대한 매선 치료의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해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알레르기 비염에 매선요법을 활용한 임상연 구들을 조사하여 연구 현황 및 임상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레르기 비염은 어떤 증상을 유발하는가? 알레르기 비염은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특이 IgE 매개성의 과민반응으로 맑은 콧물, 코 막힘, 발작성 재채기, 가려움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이로 인해 수면장애, 일상생활 능력 및 삶의 질 저하 등을 가져 온다1,2) . 2017년 기준 혈관 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J30)의 진료 인원은 6,892,302(3위)에 이르고3) , 국내 유병률이 성인의 경우 약 15-17%4) , 청소년의 경우 35.
알레르기 비염이란 무엇인가? 알레르기 비염은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특이 IgE 매개성의 과민반응으로 맑은 콧물, 코 막힘, 발작성 재채기, 가려움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이로 인해 수면장애, 일상생활 능력 및 삶의 질 저하 등을 가져 온다1,2) . 2017년 기준 혈관 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J30)의 진료 인원은 6,892,302(3위)에 이르고3) , 국내 유병률이 성인의 경우 약 15-17%4) , 청소년의 경우 35.
알레르기 비염에 사용되는 일차 약물 치료로는 무엇이 사용되는가? 알레르기 비염의 치료는 원인 항원을 회피하는 것이 근본적인 치료 방법이지만 이러한 항원들로부터의 완벽한 회피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항원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증상 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가 치료의 중심이 된27) .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차약물치료로는 항히스타민 제, 국소 비충혈제거제 등이 있으나 이들의 장기간 사용 시 부작용에 대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6,28) . 만성 경과를 밟는 질환의 특성상 장기적인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하며29) , 상기 양방 치료의 한계로 환자 다수가 큰 호전 없이 증상의 재발이 반복되고 있어 점차 한방 치료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30)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pthalmology Otolaryngology Dermatology. Text of Traditional Korean Otorhinolaryngology. Paju:Globooks. 2019:176-80. 

  2. Ozdoganoglu T, Songu M, Inancli HM. Quality of life in allergic rhinitis. Ther Adv Respir Dis. 2012;6(1):25-39. 

  3.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nd Korea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s.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Annual Report. 2017. 

  4. KIOSIS :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Internet]. 2020.02.11.[cited 2020 Feb 11]. Available from:URL: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2_N118&vw_cdMT_ZTITLE&list_id117_11702_B01&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KIOSIS :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Internet]. 2020.02.12.[cited 2020 Feb 11]. Available from:URL: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_12_Y091&vw_cdMT_ZTITLE&list_id117_11758_005&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5. Kim HK, Kim TH. Current trends in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J Korean Med Assoc. 2016;59(4):300-8. 

  6. Park JW. Allergen Specific Immunotherapy for Allergic Rhinitis. J Korean Med. 2013;84(6):798-801. 

  7. Jo HR, Oh SH, Kim SH, Sung WS, Hong SU, Kim EJ.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opical Nasal Application on Allergic Rhinitis between Korean and Western Medicine :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 Korean Med Op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9;32(4):62-89. 

  8. Koo EJ, Han JK, Kim YH. Review of Clinical Studies on Korean Medicine an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Treatment for Allergic Rhinitis in the Korean Literature. J Pediatr Korean Med. 2015;29(4):77-89. 

  9. Park SY, Park IH, Lee SH, Hwang MS, Hwang EH, Shin BC. Chuna Manual Therapy for Pediatric Allergic Rhiniti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2019;14(1):25-37. 

  10. The society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Acupuncture Medicine. Seoul:Hanmi Medical Publishing Co. 2016:181-4. 

  11. Park SH, Jeon YT, Han KI, Kim MJ, Lee HI, Lee JH, et al. Literature Review of catgut-embedding Therapy for Lumbar Disk Herniation. J Korean Med Rehabil. 2015;25(4):29-40. 

  12. Kwon K. The Analysis on the Present Condition of Thread-embedding Therapy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Medicine. J Korean Med Op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4;27(4):16-44. 

  13. Cheng L, Chen J, Fu Q, He S, Li H, Liu Z, et al. Chinese society of allergy guideline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Allergy, asthma & immunology research. 2018;10(4):300-53. 

  14. Chen C, Li YC, Qiu BS, Huang XP, Zhuang LX. Observation of long-term efficacy and life quality in allergic rhinitis treated with acupoint catgut embedding therapy combined with acupuncture-moxibustion therapy. Zhongguo Zhen Jiu. 2014;34:439-43. 

  15. Ye J, Zhao YX. Clinical observation of 51 cases of allergic rhinitis treated with catgut embedding therapy. Yunnan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Materia Medica. 2019;40(3):100-1. 

  16. Chen JZ, Jin FP. Clinical observation of 60 cases of allergic rhinitis treated with catgut embedding therapy. Inner Mongolia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9;38(6):94-5. 

  17. Zhang YM. The effect of catgut embedding therapy at acupoints on serum IgE level and clinical symptoms improvement in children with allergic rhinitis. Heilongjiang Chinese Medicine. 2019;48(1):60-2. 

  18. Wei Y. Observation on regulating allergic rhinitis and its related immune by catgut implantation at Bimin Dian. Clinical Journal of Chinese Medicine. 2019;11(26):15-7. 

  19. Cai JB, Kang MR. Observation on the clinical effect of acupoint catgut embedding therapy for allergic rhinitis. Modern Medicine and Health Research. 2018;2(4):155-7. 

  20. Tan KP, Li XW, Zhang QA, Lin W, Du J. Therapeutic effect of acupoint catgut embedding therapy on allergic rhinitis and its effect on quality of life. Zhejiang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2018;28(9):776-8. 

  21. Zhang FB, Ding CM, Li X. Observation of clinical effect of acupoint catgut embedding therapy on persistent allergic rhinitis. Journal of Clinical Medical Literature. 2017;4(87):17042-4. 

  22. Li GW, Li DM. Evaluation of clinical efficacy of acupoint catgut embedding therapy and acupuncture for allergic rhinitis. World Latest Medicine Information. 2017;17(54):90,113. 

  23. Li XR, Liu Y, Zhang QX, Xiang N, He M, Zhong J, et al. Effect of catgut implantation at acupoints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a randomized, sham-controlled trial.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6;16(1):454. 

  24. Xu Y, Meng S, Lu JB, Zhao YK, Wen XJ, Huang XQ, et al. Influence of Catgut Imbedding on IL-4 and IFN- ${\gamma}$ level in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Guidi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Pharmacy. 2014;20(2):30-3. 

  25. Meng S, Xu Y, Lu JB, Wen XJ, Zhao YK, Huang XQ, et al. Observ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acupoint catgut embedding therapy on allergic rhinitis. Journal of Sichua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3;31(6):136-8. 

  26. Kim CW. Current Update on Allergic Rhinitis. Korean J Med. 2012;82(3):298-303. 

  27. Van Cauwenberge P, Bachert C, Passalacqua G, Bousquet J, Canonica G, Durham S, et al. Consensus statement* on the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Allergy. 2000;55(2):116-34. 

  28. Kim MH, Yun YH, Ahn JH, Ko SG, Choi IH. Developing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of Allergic Rhinit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and Dermatol. 2017;30(2):112-25. 

  29. Woo HS, Kim CH. The review of oriental medical therapy on allergic rhinitis. J Korean Orient Med. 2006;27(1):155-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