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경사지 관리의 체계화를 위한 절차별 개선사항 도출과 발전 방안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Plan and Derivation of Improvement by Procedure for the Systematization in Steep Slope Management System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6 no.1 = no.47, 2020년, pp.111 - 122  

이재준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crisis Disaster and Risk Management, Sungkyunkwan University) ,  윤홍식 (School of Civil, Architectural Engineering &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김윤희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crisis Disaster and Risk Management, Sungkyunkwan University) ,  박상현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crisis Disaster and Risk Management, Sungkyunkwa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효율적인 급경사지관리를 위하여 급경사지 관리 절차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된 프레임워크를 제안을 통해 인명 및 재산피해를 경감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방법: 붕괴위험지역 지정 절차검토, 지자체 인터뷰, 전문가 자문을 통해 급경사지 관리 전반적 문제점을 도출함 연구결과: 평가 전 선정단계, 관리의 주체, 관리 방법과 관리 단계별 개선되어야 할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결론: 본논문은 제기된 문제점을 확인하여 개선점을 도출하였고 새로운 시스템(안), 급경사지 발전을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order to manage the steep slopes effectively, this study diagnose problems in the procedure of steep slopes management and propose Improved frame work is intended to mitigate human and property damage Method: Problems in the system are drawn through review of procedures for designation o...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검토된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시스템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에 선정, 일제조사, 평가로 이루어진 붕괴위험지정 절차는 주체, 실행, 장비, 평가지표 등 각 구분별로 일관되지 못한 문제점을 드러냈다.
  • 1에 표시된 평가단계에서는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시스템적인 개선과 시스템 내부 요소들(사전조사, 일제조사, 평가 과정, 평가표)에 대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 아래 fig. 2 와 같이 연구는 문헌 조사, 인터뷰, 현장조사를 통해 현재 급경사지 관리시스템을 확인하고 세부 단계별 실태분석과 시스템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단계별 도출된 문제점에 대하여 전문가 자문을 거쳐 각 단계에 맞는 개선항목과 개선방안을 도출한 후 단계별 문제점에 대하여 시스템의 전반적인 교체 필요성, 시스템 내 요소들의 개선 필요성을 구분하여 확인하여 효율적인 급경사지 관리 시스템(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경사지에 대한 평가 및 관리 전문가의 부족으로 발생한 최근 문제는? 그러나 급경사지에 대한 평가 및 관리 전문가가 부족하며, 비전문가인 공무원으로부터 급경사지 조사의 시작이 되기에 더욱더 많은 발전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한 결과 미탁으로 피해 받은 인명피해가 발생한 부산 사하구,울진 공세항길과 지방도 급경사지 붕괴가 발생한 삼척 길남리는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으로 선정이 안 되어있었다. 국토 대부분이 산지로 구성된 우리나라에서 상기와 같이 급경사지 평가조차도 받지 못 한곳이 많을 거라 예상되며, 국민의 안전을 위해 기존의 관리체계보다 정확한 판단, 정확한 평가를 위한 고도화된 관리체계를 설립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관리체계의 구축 효과는? 첫째로 GIS 기반 위험도 평가기법을 활용하여 관리 대상지 선정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둘째로 최소한의 인력으로 원스텝 평가·관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일원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새로운 관리체계가 구축되면 행정안전부 및 관리기관은 안전관리계획수립·상황파악·대응에 있어서 신속하고, 정확하고, 고도화된 급경사지 관리가 가능해질 거라고 판단된다.
복잡성이란? 또한, 평가 기준 정확성에 대한 척도를 측정하기 어렵고 복잡성이 있다. 복잡성이란 평가 유형별로 기준이 다르며, 그 기준에 대한 정도가 없어서 평가자에게 혼란을 발생시키는 것, 평가 기준이 안전점검기준과 다른 것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ustralian Geomechanics Society Landslide Taskforce (2007). Guidline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Hazard and Risk Zoning for Land Use Planning. Australian Geomechanics Society, ISSN 0818-9110, Australia. 

  2. Australian Geomechanics Society Landslide Taskforce (2007). Practice Note Guidelines for Landslide Risk Management. Australian Geomechanics Society, ISSN 0818-9110, Australia. 

  3. Choo, T.-H., Yoon, H.-C., Bae, C.-Y., Son, H.-S. (2014). "Study on Decision for Landslide Hazard Areas by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8, pp. 5310-2317. 

  4. Disaster Management Office (2016). Workbook on Steep Slope Site Management.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Korea. 

  5. Jung, K.-W., Park, S.-J., Lee, C.-W. (2008). "Development of the Score Table for Prediction on Landslide Hazard(A Case Study of Gyeongsangbuk-Do Pro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Vol. 97, No. 3, pp. 332-339. 

  6. Korea Forest Service (2019). Comprehensive Plan for the Prevention of Landslides in the Nation, Korea. 

  7. 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oration (2019). Safety and Maintenance Detailed Instructions of the Infrastructure, Korea. 

  8. Lee, J. (2016). Study on landslide characteristics and Hazard Assessment Using GIS. Ph.D. Dissertation, Gangwon University. 

  9. Lee, K.-C., Jang, Y.-G., Song, J.-H., Kang, I.-J. (2014).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Plan of Steep Slope and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DB for Steep Slope Disaster Preven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5, No. 7, pp.13-21. 

  10. Lee, K.-H. (2016). An Study on Measures of Regulation Reform for Disaster Reduction in Steep Slopes. Ph.D. Dissertation, Gangwon University. 

  11.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6). Large Scale Collapse Countermeasures Handbook, Japan. 

  12. Seong, J.-H., Jung, M.-H. (2017). "Development of Items for Regular and Emergent Inspections to Inspect Debris Flow in Urban Areas." Proceeding of The Spring congress on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pp.51-54. 

  13. Song, Y.-K., Park, D.-K., Son, Y.-J., Kim, T.-H.,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ability Checklist by Analyzing the Evaluation Element For Steep Slop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4, pp. 77-84. 

  14. Yang, I.-T., Chun, K.-S., Park, J.-K., Lee, S.-Y. (2007). "An Estimation to Landslide Vulnerable Area of Rainfall Condition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15, No. 1, pp. 39-46. 

  15. Kim, S.-D., Kim, C.-D. (2019). "A Proposal of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Model for Strengthening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5, No. 4, pp. 502-513. 

  16. Kweon, S.-J., Yoo, Y.-M., Cho, S.-Y.M. (2018). "Analysis of Municipal Ordinances on Disaster Management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4, No. 1, pp. 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