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용 침수 자료를 활용한 도심지 침수 해석 모형의 평가 절차 수립 및 표준화
Establishment and Standardization of Evaluation Procedure for Urban Flooding Analysis Model Using Available Inundation Data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5 no.2, 2020년, pp.100 - 110  

신은택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장동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데이터기반 문제해결 연구단) ,  박성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데이터기반 문제해결 연구단) ,  엄태수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송창근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frequency of typhoon and torrential rain due to climate change is increasing. In addition, the upsurge in the complexity of urban sewer network and impervious surfaces area aggravates the inland flooding damage. In response to these worsening situation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망해석 모형의 검증 과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관로계측자료 확보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관로계측자료는 시간별로 관로의 수위를 계측하여 기록하기 때문에 관로계측자료가 확보되어있다면 관망해석 모형 결과와 관로계측자료의 수위 값을 비교하여 검증할 수 있다.
  •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도심지 침수해석모형 검증방법론의 절차별 상호 비교를 통해 검증자료의 신뢰성과 정확성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제방과 둑의 월류 및 파제로 인한 외수 범람, 월파와 쓰나미로 인한 해수범람 등 복합적인 침수 기작을 반영할 수 있는 체계적인 검증 평가 방안을 제시하여 다양한 침수 원인에 따른 체계적인 검증 평가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검증 가능한 침수데이터에 대하여 정량적인 신뢰성과 자료의 적용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침수데이터의 신뢰성 및 적용성에 따라 도심지 침수 해석 모형의 평가 절차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평가절차를 실제 침수 발생 사례에 적용하여 관망해석 모형과 지표수 흐름해석 모형의 평가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도심지 침수해석 모형의 검증 및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평가 검증 절차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침수해석 모형의 검증 및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침수데이터에 대하여 정량적인 신뢰성과 자료의 적용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도심지 침수 해석 모형의 검증 및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평가 검증 절차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상기 제시한 도심지 침수 해석 모형평가절차를 적용하여 실제 내수침수가 발생한 지역의 도심지 침수 해석 모형의 평가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개발 중인 침수예측 솔루션의 생산 결과를 활용하였다.
  • 앞서 도심지 침수 해석 모형의 평가절차를 수립하기 위하여 검증 가능 침수데이터의 신뢰성과 적용성을 파악하였다. 본 장에서는 도심지 침수 해석 모형의 구성요소와 각 요소에 적용되는 검증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도심지 침수 해석 모형의 평가절차를 수립하고자 한다
  • 앞서 도심지 침수 해석 모형의 평가절차를 수립하기 위하여 검증 가능 침수데이터의 신뢰성과 적용성을 파악하였다. 본 장에서는 도심지 침수 해석 모형의 구성요소와 각 요소에 적용되는 검증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도심지 침수 해석 모형의 평가절차를 수립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검증 가능한 침수데이터에 대하여 정량적인 신뢰성과 자료의 적용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침수데이터의 신뢰성 및 적용성에 따라 도심지 침수 해석 모형의 평가 절차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평가절차를 실제 침수 발생 사례에 적용하여 관망해석 모형과 지표수 흐름해석 모형의 평가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도심지 침수해석 모형의 검증 및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평가 검증 절차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표수 흐름해석 모형은 무엇인가? 지표수 흐름해석 모형은 관망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2차원 흐름 해석을 수행하여 맨홀로부터 월류한 우수의 흐름 거동을 해석한다. 지표수 흐름 모형 검증 과정은 침수흔적도, 침수사진 및 언론자료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 때, 침수심과 침수면적에 대한 정량적인 정보가 담겨있는 침수흔적도와 침수피해이력을 확보하였을 경우 관망해석 결과를 연계한 2D 표면유출 해석을 수행하게 되며 수행 결과 값과 비교하여 검증 및 평가를 진행한다.
도심지의 침수 발생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도심지의 침수 발생 원인은 크게 3가지로 해안에서 발생하는 월파 및 쓰나미 등으로 도시가 침수되는 해수범람과 댐 붕괴 및 파제, 집중호우 등으로 도심지 인근의 하천이 범람하여 발생하는 외수범람, 그리고 우수관망의 배수불량으로 인해 월류수가 발생하는 내수침수가 있다. 이 중 일반적으로 도심지 외각에서 발생하는 해수범람 및 외수범람과는 달리 내수침수는 도심지 내에서 발생하는 특성이 있어 교통로 침수, 도시기능 마비 등을 유발하며 그 발생 양상이 복잡하고 갑작스러워 수많은 복합재난을 야기한다.
도심지 침수해석 모형에 활용가능한 침수데이터에서 관망해석, 지표수흐름 해석은 어떤 결과를 얻는가? (5) 검증 결과 관망해석 모의에는 관로계측자료를 통한 정량적인 평가를 수행하였고 지표수흐름해석 모의는 침수사진을 통한 준정량적 및 정성적인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검증가능 데이터에 따라 평가 절차를 적용하였을 때 일률적이고 체계적으로 검증이 수행됨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 H. Lee, K. Y. Han and K. H. Chui, "DEM Based Urban Inundation Analysis Model Linked with SWMM", J.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No. 1, pp. 441-452, 2006. 

  2. J. S. Kim, K. Y. Han and C. H. Le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Inundation Modeling with Urban Flooding Caused by the Surcharge of Storm Sewers", J.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No. 12, pp. 1013-1022, 2006. 

  3. J. Y. Lee, G. H. Jin and S. R. Ha, "Analysis of Urban Inundation Considering Building Footprints Based on Dual-Drainage Scheme", J.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7, No. 4, pp. 40-51, 2014. 

  4. J. P. Park, T. E. Kang and S. H. Lee, "Evaluation of Accuracy Depending on Pipe Network Density in Urban Flood Inundation Analysis Using the SWMM",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7, No. 1, pp. 71-78, 2017. 

  5. D. S. Rhee, H. J. Kim and C. G. Song, "Inundation Simulation of Underground Space using Critical Dry Depth Scheme", J. Korean Soc. Saf., Vol. 30, No. 6, pp. 63-69, 2017. 

  6. C. H. Lee, K. Y. Han and J. W. Noh, "Development of Urban Inundation Analysis Model Using Dual-Drainage Concept", J. Korean Soc. of Civil Eng., Vol. 26, No. 4, pp. 379-387, 2006. 

  7. J. H. Lee and K. S. Yeon, "Flood Inundation Analysis using XP-SWMM Model in Urban Area",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8, No. 5, pp. 155-161, 2008. 

  8. C. H. Lee and K. Y. Han, "GIS-based Urban Flood Inundation Analysis Model Considering Building Effect", J.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0, No. 3, pp. 223-236, 2007. 

  9. W. Lee, J. S. Kim and S. E. Yoon, "Inundation Analysis In Urban Area Considering of Head Loss Coefficients at Surcharged Manholes", J.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8, No. 2, pp. 127-136, 2015. 

  10. S. S. Yoon, D. H. Bae and Y. J. Choi, "Urban Inundation Forecasting Using Predicted Radar Rainfall: Case Study",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4, No. 3, pp. 117-126, 2014. 

  11. J. S. Kim and W. H. Lee, "Flod Inundation Analysis in Urban Area Using XP-SWMM", J.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6, No. 1, pp. 29-36, 2015. 

  12. I. H. Park, G. H. Jin, K. Y. Jeon and S. R. Ha, "Application of Hydro-Cartographic Generalization on Buildings for 2-Dimensional Inundation Analysis", J.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8, No. 2, pp. 1-15, 2015. 

  13. W. H. Cho, K. Y. Han, H. S. Kim and J. S. Kim, "A Study on Inundation Analysis Considering Inland and River Flood", J.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8, No. 1, pp. 74-89, 2015. 

  14. S. S. Yoon, C. K. Choi and D. H. Bae, "Connection of Hydrologic and Hydraulic Models for Flood Forecasting in a Large Urban Watershed", J.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9, pp. 929-941, 2008. 

  15. K. S. Lee and S. E. Kim,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Extended Sewer Surcharge on Anyangcheon Watershed Using PCSWMM", J.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0, No. 4, pp. 345-357, 2007. 

  16. J. H. Ahn, W. C. Cho and J. H. Jung, "Flood Simulation for Basin0Shaped Urban Watershed Considering Surface Flow", J.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4, No. 3, pp. 841-847, 2014. 

  17. C. R. Kim, J. S. Kim and S. E. Yoon, "Applicability Analysis of Head Loss Coefficients at Surcharge Manholes for lnundation Analysis in Urban Area", J. Korean Soc. Civil Eng., Vol. 38, No. 3, pp. 395-406, 2018. 

  18. B.J. Lee and S. S. Yoon, "Development of Grid based Inundation Analysis Model (GIAM)", J.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0, No. 3, pp. 181-190, 2017. 

  19. G. W. Choi, H. S. Lee and S. Y. Lee, "Urban Inundation Analysis using the Integrated Model of MOUSE and MIKE21",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7, No. 4, pp. 75-83, 2007. 

  20. E. T. Shin, S. S. Lee, T. S. Eum and C. G. Song, "Integrated Application of Stormwater Network Analysis Model and Surfacewater Inundation Analysis Model", J. Korean Soc. Saf., Vol. 33, No. 5, pp. 78-83, 2018. 

  21. J. Y. Shin, S. M. Lim, J. H. Kim and T. W. Kim, "Analysis of Urban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Using Inland Flood Scenarious and Flood Damage Curve",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4, No. 1, pp. 291-301, 2014. 

  22. J. H. Yoo, J. I. Song, M. Y. Jang and H. T. Kim, "Nationwide Inundation Analysis method for Flood and Storm Disaster Insurance Rate", J.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1, No. 1, pp. 55-62, 2015. 

  23. H. N. Seo, S. W. Lee, J. W. Kim and S. J. Byeon, "Mapping Urban Inundation Using Flood Depth Extraction from Flood Map Image", J. Korea Society of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6, No. 6, pp. 133-142, 2018. 

  24. D. G. Choi and J. M. Choi, "Mapping Inundation Areas Using SWMM", J. Korean Society of Surveying, Vol. 33, No. 5, pp. 335-342, 2015. 

  25. H. J. Lee, C. D. Jang and G. W. Jeon, "Numerical Simulation of Flooded Area Using XP-SWMM Model",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Vol. 7, No. 2, pp. 75-86, 2011. 

  26. E. M. Kim, H. S. Hwang and C. S. Ki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Flood Risk Index for Considering Real-time Rainfall", J.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6, No. 5, pp. 610-618, 2013. 

  27. J. H. Ji and S. H. Kang, "Urban Flood Simulation Considering Buildings Resistance Coefficient Based on GIS: Focused on Samcheok City", J.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3, No. 2, pp. 211-220, 2010. 

  28. A. L. Son, S. S. Yoon, C. Y. Yi, B. J. Lee, Y. J. Choi and K. Y. Han, "The Analysis of Effects on Topographical Model for 2D Inundation Simulation",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4, No. 5, pp. 153-163, 2014. 

  29. T. S. Shon, D. H. Kang, J. K. Jang and H. S. Shin, "A study of Assessment for Internal Inundation Vulnerability in Urban Area using SWMM",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0, No. 4, pp. 105-117, 2010. 

  30. A. L. Son, B. H. Kim and K. Y. Han, "A Study on Prediction of Inundation Area considering Road Network in Urban Area", J. Korean Soc. Civil Eng., Vol. 35, No. 2, pp. 307-318, 2015. 

  31. I. H. Park and S. R. Ha, "An Analysis on Inundation Characteristics of Urban Watershed according to Variation in Return Period of Design Rainfall", J. Wetlands Research, Vol. 15, No. 4, pp. 585-593, 2013. 

  32. Countermeasures Against Natural Disasters Act,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Notice No. 2017-1, Guidelines for Disaster Mapping Standards, et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