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품단종에 대한 조사·분석 및 관리방안
DMSMS Management Survey and Analysis Method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5, 2020년, pp.257 - 265  

정현우 (국방기술품질원 부품개발연구팀) ,  심보현 (국방기술품질원 표준화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기체계를 구성하는 원자재 또는 부품이 수요에 따라 개발이 되어 생산되다가 기술의 발전 또는 시장 상황의 변화에 따라 노후화가 진행되어 생산이 중단되는 경우를 부품단종이라 한다. 현재 우리 군이 사용 중인 무기체계의 장비들은 부품단종으로 인해 조달, 정비, 운용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무기체계의 수명주기 기간 중 발생하는 부품단종 문제는 소요군 뿐만 아니라 장비, 부품, 원자재의 제조자 및 공급자에게 경제적인 손실과 무기체계 전투태세 준비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첨단기술의 발전으로 무기체계를 구성하는 전자부품의 수명은 점점 단축되고 있다. 또한 무기체계의 특성상 개발부터 폐기에 이르기까지 수십 년이 소요됨에 따라 부품단종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무기체계 장비의 전투 준비태세와 수명주기 비용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무기체계 장비의 개발에서부터 폐기까지의 총 수명주기에 부품단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부품단종 관리 제도를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부품단종 관리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부품단종 관리의 조기 정착을 위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rts obsolescence is a component type, in which raw materials or parts that make up a weapons system, are developed and produced according to demand, but they age due to changes in technology or market conditions. The weapon system equipment currently being used by the military is having difficulty...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부품단종관리 방안을 적용 해보기 위하여 시범사업을 수행하였다. 목표는 우리 군에서 운영 중인 국내개발 장비 4종의 단종부품을 관리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군과 관계기관이 참여하여 약 1년간의 시범사업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군수지원 분야의 효율적인 부품단종 관리를 위해 현재 군에서 운영 중인 국내개발 장비 4 종을 대상으로 단종관리 시범사업을 수행해 보았다. 이 부품단종 관리전략은 총 수명주기 기반의 관리계획을 강조하고 있으며, 각 단계별 단종관리 전략 및 계획을 세워 전 순기별 관리계획 및 해결책을 수립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부품단종에 대한 효과적인 조사·분석 및 관리방안을 국내 실정에 맞게 재정립하기 위해 국내 에서 개발되어 현재 군에서 운영하고 있는 장비 4종을 선정하여 시범사업을 추진해 보았다. 부품단종에 대한 기관별 임무와 책임을 명확히 구분하고 부품단종관리 절차 를 시범 적용해 봄으로써 대상 장비에서 발생하고 있는 부품단종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응방안 또한 마련할 수 있었다.
  • 또한 사전 예측(proactive)으로 노후화 문제를 계획함으로서 시간과 완화 선택권을 최대화하여 계획되지 않은 지출을 최소화 하고, 동일한 혹은 유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개별적인 노력들을 회피함으로써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부품단종 관리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단종관리 수행절차를 재정립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품단종에 대한 대응방안은 무엇인가? 부품단종에 대한 대응방안은 단종 된 부품의 성능과 인터페이스 등 부품의 특성과 가용예산, 예상일정, 방법 론 등이 고려되어 비용 대비 가장 효과적인 최상의 대안을 선정해야 한다. 이때, 최상의 대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안들을 혼합하여 고려할 수 있다.
부품단종 문제에서의 해결책은 무엇이 있는가? 부품단종 문제에는 많은 종류의 해결책이 있다. ① 대체공급원 확보(alternate source)는 원래의 제작사와 다른 제조업체의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부품단종에 대처하는 관리방법이다. ② 동등품 대체(substitution)는 단종 부품의 특성을 분석하고,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동등 성능 이상의 부품으로 교체하는 관리 방법이다. ③ 상용품(COTS : Commercial Off The Shelf) 적용은 군수품에 적용이 가능한 상용부품을 식별하고 적용하여 부품 단종에 대처하는 관리방법으로, 부품조달의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한 특징이 있다. 단, 상용품이 적용된 시스템은 반드시 무기체계가 요구하는 환경조건 을 만족해야 한다. ④ 동등품 개발(emulation)은 단종된 부품을 대체하기 위해 최신 기술 및 장비를 사용하여 부품이나 모듈 단위로 대체할 수 있는 부품을 개발함으로써 부품단종에 대처하는 관리방법으로 수량이 대단히 많을 경우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수량이 적을 경우에는 단가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⑤ 일괄구매(LOT : Life of Type Buy)는 단종이 예상될 때 무기체계의 양산에 필요한 부품을 미리 구매하여 일괄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방법으로써 단기적인 관리방법으로 쓰인다. ⑥ 재설계 및 설계변경(redesign, design modification)은 부품의 단종부품이 많은 경우에 주로 적용되는 관리방법 으로 재설계 비용과 설계의 변경에 따른 군수지원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기존 체계에 비해 동일한 성능 혹은 동등 이상의 성능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신기술을 이용하여 카드 단위로 F3I(Form ­ Fit ­ Function - Interface)를 유지하면서 대체할 수 있는 방식을 널리 사용한다.
부품단종이란 무엇인가? 부품단종은 부품(part), 결합체(assembly), 구성품 (component) 등 수리부속품이 급격한 산업기술의 발달에 따라 노후화되어 획득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최근 개발 및 운영되고 있는 무기체계의 경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기술의 변화로 인해 총수명주기 기간 동안 부품 단종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투태세 유지 곤란과 총 소유비용 증가를 유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S. C Choi, K. R. Le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MSMS Management for Weapon Systems,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Vol. 10, No. 2 pp.134-141, June 2007. 

  2. K. D Park, J. M. Rhee, A Study on DMSMS Management for Weapon system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11 pp.5866-5871, November 2013. DOI :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1.5866 

  3. S. C. Choi, C. J. Lee, J. H. Kim, J. M. Lee, I. G. Jang, H. R. Lee, A Study on the Localization Promotion Policy Plan for the Early Discontinuance of Parts, Policy Research Report,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URL: http://www.prism.go.kr/ 

  4. SD-22, Diminishing Manufacturing Sources and Material Shortages(DMSMS) A Guidebook of Best Practices for Implementing a Robust DMSMS Management Program, p.206, Defense Standardization Program Office, January 2016. https://quicksearch.dla.mil/qsDocDetails.aspx?ident_number275490 

  5. SD-19, Parts Management Guide, p.44, Defense Standardization Program Office, December 2013. https://quicksearch.dla.mil/qsDocDetails.aspx?ident_number119791 

  6. S. W. Kim, S. R. Lee, H. C. Jin, J. I. Choi, J. B. Yoon, A Study on the Progress Plan of DMSMS Management, Research and investigation report,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Republic of Kore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