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담자의 수퍼비전 경험이 상담자 발달에 미치는 영향: 수퍼비전 만족도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Counselor's Supervision Experience on Counselor Development: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ion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5, 2020년, pp.281 - 293  

김정희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  하정희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상담자의 수퍼비전 경험이 상담자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상담자 수퍼비전 경험과 상담자 발달과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강원, 전라 지역의 공공기관, 학교, 대학교, 전문 상담기관 등에서 상담 실무에 근무하는 상담자 299명을 대상으로 연구변인들에 대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개인수퍼비전 횟수와 집단수퍼비전 참여 횟수는 상담자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 발달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상담자의 연령과 상담경력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퍼비전 횟수과 상담자 발달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퍼비전을 개인수퍼비전 횟수와 집단수퍼비전 횟수로 나누어 각각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집단수퍼비전 횟수와 상담자 발달(사례이해) 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만족도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자들의 수퍼비전에 긍정적인 경험이 이후의 상담 성과와 상담의 질적인 측면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수퍼비전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 counselor's supervision experience on counselor development, and verifies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ion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s supervision experience and counselor development. Data were collected via survey administered t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상담자의 연령과 상담경력을 통제한 후, 상담자의수퍼비전 경험을 개인수퍼비전 참여횟수, 집단수퍼비전참여횟수, 집단수퍼비전 발표횟수로 나누어 이들이 상담자 발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상담자의 수퍼비전 경험과 상담자 발달 간의 관계가 수퍼비전 만족도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상담자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퍼비전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이를 종합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수퍼비전 경험과 상담자 발달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수퍼비전 만족도 수준에 따라 상담자의 수퍼비전 경험과 상담자 발달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
  • 또한, 상담자의 수퍼비전 경험을 개인수퍼비전 혹은 집단수퍼비전 별로 구체적으로 나누어 살펴본 연구도 드물었고, 상담자 수퍼비전 경험과 상담자 발달 간의 관련성을 알아본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성장 발달에 중요한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는 수퍼비전경험과 상담자 발달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수퍼비전 경험이 있는 상담자 299명을 대상으로 하여 전문 상담자로 성장하기 위한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수퍼비전 경험이 상담자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수퍼비전 경험과 상담자 발달 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만족도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를 포함한 논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수퍼비전 경험이 있는 상담자 299명을 대상으로 하여 전문 상담자로 성장하기 위한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수퍼비전 경험이 상담자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수퍼비전 경험과 상담자 발달 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만족도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 이를 통해 상담자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퍼비전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수퍼비전 경험과 발달과 관련하여 수퍼비전 만족도의 역할을 함께 검토함으로써, 상담자의 전문적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퍼비전 경험과 관련된 보다 실질적인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종합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퍼비전경험이 있는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먼저, 상담자의수퍼비전 경험과 상담자 발달 간의 관계를 살펴보려 한다. 즉, 상담자의 연령과 상담경력을 통제한 후, 상담자의수퍼비전 경험을 개인수퍼비전 참여횟수, 집단수퍼비전참여횟수, 집단수퍼비전 발표횟수로 나누어 이들이 상담자 발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렇듯, 모든 상담자들이 동일한 상담 발달단계를 경험하는 것이 아니며, 상담실습의 양적, 질적 측면을 함께 고려함이 중요하다고 간주할 때 상담실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수퍼비전 및 수퍼비전 만족도(supervision satisfaction)를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담 수퍼비전 경험과 상담발달 간의 관련성을 살펴봄과 더불어, 이들 간의 관계가 수퍼비전만족도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퍼비전경험이 있는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먼저, 상담자의수퍼비전 경험과 상담자 발달 간의 관계를 살펴보려 한다. 즉, 상담자의 연령과 상담경력을 통제한 후, 상담자의수퍼비전 경험을 개인수퍼비전 참여횟수, 집단수퍼비전참여횟수, 집단수퍼비전 발표횟수로 나누어 이들이 상담자 발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상담자의 수퍼비전 경험과 상담자 발달 간의 관계가 수퍼비전 만족도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들의 수퍼비전 경험과 상담자 발달 간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는 수퍼비전 만족도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가정하였다. 즉, 수퍼비전 경험이 많을수록 상담자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며, 더 나아가 수퍼비전 만족도 수준이 커질수록 상담자 발달을 더 촉진시킬 것이라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퍼비전 만족도란 무엇인가? 수퍼비전 만족도란 수퍼비전의 질과 욕구에 대한 수퍼바이지의 지각으로써 수퍼비전의 다양한 영역에 대하여 만족하는 정도를 의미한다[44]. Ellis와 Ladany[45]는수퍼바이지가 수퍼비전에 만족할수록 스스로 열심히 배우고자 하는 동기가 높아지고, 자신이 원하는 목표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고 하였다.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교육적인 효과를 얻기위한 필수적은 지식은? 상담자 발달 모델에서는 상담자 발달수준에 따라 수퍼비전을 다르게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25]. 그러기 위해서는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 모두에게 교육적인 효과를 얻기 위한 가장 필수적인 지식의 일환으로 상담자 발달이론에 기초한 발달단계에 따른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25]. 상담자발달은 이론적 교육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실습을 통해 이루어지는데[26], Hogan[27]부터 Skovholt와Rønnestad[28]까지 발달 이론가들은 수퍼비전 초기단계에 수퍼바이지들은 의존과 모방성이 강하나 이후 자율과 의존 사이에서 갈등하게 되는 중기단계를 거치게 되면서 독립적인 전문가인 마지막 단계에 이른다고 하였다.
상담자 발달이론에 기초한 발달단계를 이해해야 하는 이유는? Skovholt[24]는 상담자의 발달과 성장은 오랜 시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훈련과 경험을 통한 개인의 지속적이고 끊임없는 노력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상담자 발달 모델에서는 상담자 발달수준에 따라 수퍼비전을 다르게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25]. 그러기 위해서는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 모두에게 교육적인 효과를 얻기 위한 가장 필수적인 지식의 일환으로 상담자 발달이론에 기초한 발달단계에 따른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3)

  1. K. H. Du, K. H. Kim, D. M. Kim, "The trend and issues of research on supervision outcom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9, No.3, pp.1007-1021, Sept. 2008. DOI: https://doi.org/10.15703/kjc.9.3.200809.1007 

  2. E. J. Lee, The Influence of Supervisory Style and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on Feedback Acceptance of Supervise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2013. 

  3. J. M. Bernard, R. K, Fundamentals of clinical supervision (5th ed.), p.456, Allyn and Bacon, 2009. 

  4. M. S. Lee, K. I. Kwon, "Needs assessment on educational contents of group work supervision according to careers of group worker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0, No.2, pp.911-931, Oct. 2009. DOI: https://doi.org/10.15703/kjc.10.2.200906.911 

  5. S. E. Grenben, "Interpersonal aspects of the supervision of individual psychotherapy",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Vol.45, No.3, pp.306-316, Jul. 1991. DOI: https://doi.org/10.1176/appi.psychotherapy.1991.45.3. 306 

  6. K. H. Kim, "Multiple-case studies of counseling supervis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4, No.1, pp.19-53, Jun. 1992. 

  7. E. L. Holloway, Clinical supervision: A systems approach, p.216, Sage Publications, 1995. DOI: http://dx.doi.org/10.4135/9781452224770 

  8. J. M. Bernard, R. K. Goodyear, Fundamentals of clinical supervision (3rd ed.), p.448, Allyn and Bacon, 2003. 

  9. E. L. Holloway, "Spervision: Its contributions to treatment efficac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3, No.2, pp.207-213, Apr. 1995. DOI: https://doi.org/10.1037/0022-006X.63.2.207 

  10. K. H. Kim, S. J. Moon, "Educational need assessment of counseling trainees in supervis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12, No.1, pp.1-18, Jun. 2000. DOI: https://doi.org/10.15703/kjc.10.2.200906.911 

  11. J. I. Shin, Educational Need, Actuality, and Satisfaction Assessment of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In Individual Counseling Supervision,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of Education, Busan, Korea, 2003. 

  12. E. H. Song, A Study of Supervision Educational Contents Needs, Actual Condition and Satisfaction,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Counseling Psychology, Seoul, Korea, 2003. 

  13. E. J. Son, Y. S. Lim, S. K. Yoo, "The influence of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the supervisee's experience level on his or her role difficulties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18, No.4, pp.695-712, Nov. 2006. 

  14. H. N. Choi, Dimensionality of Supervisees' Perception of a Good Supervisory Relationship,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al Counseling, Seoul, Korea, 2007. 

  15. S. H. Jee, C. M. Park, Y. S. Lim, "Intern counselors' helpful experiences & regrets in the individual counseling supervis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17, No.1, pp.75-90, Feb. 2005. 

  16. K. Y. Bang, "A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of counselors' experience in supervision: An application of the grounded theor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18, No.2, pp.233-254, May 2006. 

  17. N. H. Sohn, Beginning Counselors Self-Enhancing Bias and Perceived Threat in Counseling Supervision,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of Psychology, Seoul, Korea, 2007. 

  18. S. A. Kim, Novice Therapists' Perceived Experience in Group Supervision; Comparison between High and Low Neurosis,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of Educational Psychology, Seoul, Korea, 2008. 

  19. Y. J. Kim, The Relation between the Tasks and Functions of Supervision and Supervisee's Supervision Satisfactio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of Psychology, Seoul, Korea, 2004. 

  20. J. Y. Hong, The Influence of Supervisory Style on the Process and Outcome of Counseling Supervision, Ph.D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of Counseling Psychology, Seoul, Korea, 2005. 

  21. J. H. Kim, The Effect of Supervisee's Developmental Levels, Supervision Expectation and Perceived Supervision Style on Supervision Satisfaction, Ph.D dissertation, Kangnam University of Educational Counseling, Yongin, Korea, 2007. 

  22. C. Loganbill, E. Hardy, U. Delworth, "Supervision: A conceptual model",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10, No.1, pp.3-42, Mar. 1982. 

  23. C. Stoltenberg, "Approaching supervision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The counselor complexity model",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8, No.1, pp.59-65, Jan. 1981. 

  24. T. M. Skovholt, The resilient practitioner: Burnout prevention and self-care strategies for counselor, therapists, teachers and health professionals, p.230, Allyn and Bacon, 2000. 

  25. J. Ha, J. Y. Hong, "Developmental process of counselor in experience of group supervis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12, No.3, pp.279-303, Sep. 2011. DOI: https://doi.org/10.15753/aje.2013.14.1.014 

  26. J. H. Park, K. H. Kim, A. Y. Noh, J. S. Kim, Youth counseling supervision, p.395, Youth Dialogue Plaza, 1996. 

  27. R. A. Hogan, "Issues and approaches in supervision",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Vol.1, No.3, pp.139-141, May 1964. DOI: https://doi.org/https://doi.org/10.1037/h0088589 

  28. M. H. Ronnestad, T. M. Skovholt, "The journey of the counselor and therapist: Reseach findings and perspective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Vol.30, No.1, pp.5-44, Sep. 2003. DOI: https://doi.org/10.1177/089484530303000102 

  29. H. S. Sim, Assessment of the Developmental Levels of Korean Counselors, Ph.D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of Guidance and Counseling, Seoul, Korea, 1998. 

  30. Y. S. Hong, The Effects of Counselors' Awareness in Supervision on the Counseling Process, Ph.D dissertation, Baekseok University of Christian Counselling, Cheonan, Korea, 2012. 

  31. P. C. Weatheford, D. Brooks, L. B. Allred, "Keeping up with the times: Improving the modern counselor through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technological policy, and positive risk taking",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Vol.1, No.1, pp.1-17, Jun. 2016. 

  32. A. Smith, R. L. Koltz, "Supervision of School Counseling Students: A focus on personal growth, wellness, and development", Journal of School Counseling, Vol.13, No.2, pp.1-34, 2015. 

  33. D. A. Lane, Counselling psychology in organisations: From problem fixing to emergence and growth, p.656, The Handbook of Counselling Psychology, 2016, pp.446-464. 

  34. D. Y. Park, The Moderating Effect of Counselor's Self-Care in the Relationship of Counselor's Developmental Level and Counseling outcom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2016. 

  35. D. S. Yoo, Meta-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Counselor Development and Countertransference and Counseling outcome, Master's thesis, Korea Counseling Graduate University of General Counseling, Seoul, Korea, 2017. 

  36. K. W. Lim, The Effects of Counselor Development Level and Countetransference Utilization Ability on Counseling outcome, Ph.D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of Education Psychology, Seoul, Korea, 2008. 

  37. J. H. Park, The Relations of Soothing Ability, Spiritual Well-being, Counselor Development Level and Burnout of Counselors,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Counseling Psychology, Bucheon, Korea, 2006. 

  38. S. L. Lee, S. H. Cho, "A study of the couselor development and wisdom: comparison of the counselor's wisdom of the level of counselor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21, No.1, pp.69-91, Feb. 2009. 

  39. E. J. Sohn, H. S. Lee, "The differences of case conceptualization according to counselor's development levels: Focus on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14, No.4, pp.829-843, Nov. 2002. 

  40. H. J. Kim, "The relationship among counselors' developmental level, soothing ability, and counter 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Student Life Study, Vol.13, pp.105-135, 2005. 

  41. T. M. Skovholt, M. H. Ronnestad,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70, No.4, pp.505-515, Mar. 1992. DOI: https://doi.org/10.1002/j.1556-6676.1992.tb01646.x 

  42. A. E. Luther, P. Barnes,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of ePortfolios in counselor education: An applied retro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ePortfolio, Vol.5, No.1, pp.25-37, 2015. 

  43. E. R. Rodolfa, J. J. Owen, S. Clark, "Practicum training hours: Fact and fantasy", Training and Education in Professional Psychology, Vol.1, No.1, pp.64-73, Feb. 2007. DOI: https://doi.org/10.1037/1931-3918.1.1.64 

  44. N. Ladany, C. E. Hill, M. M. Corbett, "Nature, extent, and importance of what psychotherapy trainess do not disclose to their superviso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3, No.1, pp.10-24, 1996. DOI: https://doi.org/10.1037/0022-0167.43.1.10 

  45. M. V. Ellis, E. B. Ladany, Inferences concerning supervisees and clients in clinical supervision: An integrative review, p.60, Handbook of psychotherapy supervision, 1997. 

  46. S. E. Lee, N. U. Jeoung, "Research of novice theraphyst' experience in group supervis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15, No.3, pp.441-460, Aug. 2003. 

  47. J. K. Hur, A Qualitative Case Study on Counselor Develpment in Reflection Centered Supervision, Ph.D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of Education Psychology, Seoul, Korea, 2009. 

  48. H. R. Choi, The current state of supervisee education and supervision, Academic seminar Report, Student Life Counseling Institute of Hanyang University, Korea. 

  49. Fernando, Delini M, "Supervision by doctoral students: A study of supervise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nd comparison with faculty supervision outcomes." The Clinical Supervisor, Vol.32, No.1, pp.1-14, Apr. 2013. DOI: https://doi.org/10.1080/07325223.2013.778673 

  50. N. Ladany, M. V. Ellis, M. L. Friedlander,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trainee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77, No.4, pp.447-455, Dec. 2011. DOI: https://doi.org/10.1002/j.1556-6676.1999.tb02472.x 

  51. S. H. Sohn, "Supervisees' Nondisclosure in Counseling Supervis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17, No.1, pp.57-74, Feb. 2005. 

  52. K. Hyrkas, "Clinical supervisio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mental health and psychiatric nurses in finland",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Vol.26, No.5, pp.531-556, Jun. 2005. DOI: https://doi.org/10.1080/01612840590931975 

  53. T. Butterworth, L. Bell, C. P. M. Jackson, "Wicked spell or magic bullet? A review of the clinical supervision literature 2001-2007", Nurse Education Today, Vol.28, No.3, pp.264-272, Apr. 2008.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07.05.004 

  54. D. Ray, M. Altekruse, "Effectiveness of group supervision versus combined group and individual supervision",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Vol.40, No.1, pp.19-30, Dec. 2000. DOI: https://doi.org/10.1002/j.1556-6978.2000.tb01796.x 

  55. C. E. Hill, C. Charles, K. G, Reed, "A longitudinal analysis of changes in counseling skills during doctoral training in counseling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8, No.5, pp.428-436, 1981. DOI: https://doi.org/10.1037/0022-0167.28.5.428 

  56. M. O. Wiley, P. B. Ray, "Counseling supervision by developmental level",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3, No.4, pp.439-445, Oct. 1986. DOI: https://doi.org/10.1037/0022-0167.33.4.439 

  57. S. J. Moon, Counselling Supervision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1999. 

  58. S. K. Yoo, K. H. Du, E. H. Kim, Y. J. Chung, "A study of the supervisee's perception on their supervision experiences in Korea",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0, No.4, pp.1907-1927, Dec. 2009. DOI: https://doi.org/10.15703/kjc.10.4.200912.1907 

  59. R. A. Newgent, H. Davis Jr, R. C. Farley, "Perceptions of individual triadic and group models of supervision: A pilot study", The Clinical Supervisor, Vol.23, No.2, pp.65-79, 2004. DOI: https://doi.org/10.1300/J001v23n02_05 

  60. L. D. Border, "A systematic approach to peer group supervision",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69, No.3, pp.248-252, Jan. 1991. DOI: https://doi.org/10.1002/j.1556-6676.1991.tb01497.x 

  61. P. V. Staring, S. B. Baker, "Counselor preparation: Stuructured peer group practicum supervision: Supervisees' perceptions of supervision theory",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Vol.39, No.3, pp.162-176, Mar. 2000. 

  62. Y. G. You, "Group supervision methodology",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Vol.14, pp.143-170, Dec. 2007. 

  63. L. R. Prieto, "Group supervision: Still widely practiced but poorly understood",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Vol.35, No.4, pp.295-307, Jun. 1996. DOI: https://doi.org/10.1002/j.1556-6978.1996.tb01930.x 

  64. J. R. Joeng,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age, and counseling experience on counselors' empathy and self-efficacy",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eoul, Korea, pp.198-198, August 2016. 

  65. S. Y. Jo, K. I. Kwon, "differences in empathic accuracy and counseling satisfaction across counselor's experience levels in early counseling phas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23, No.2, pp.257-275, Apr. 2011. 

  66. J. H. Cho, H. N. Choi, "Moderating effect of counselor development levels: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working allianc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29, No.2, pp.293-310, Mar. 2017. 

  67. S. K. Yoo, H. W. Shim, "The differences of self-talks according to counselor's developmental level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17, No.4, pp.789-812, Nov. 2011. 

  68. Y. W. Bae, S. H. Cho, "Counselor's self-reflection, supervision, and counselor development", Journal of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Vol.27, pp.19-42, 2007. 

  69. S. L. Lee, S. H. Cho, "A study of the counselor development and wisdom: Comparison of the counselor's wisdom of the level of counselor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21, No.1, pp.69-91, Feb. 2009. 

  70. H. S. Lee, S. H. Joo, H. J. Kim, "Critical incidents experience in counselor intern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23, No.4, pp.833-859, Nov. 2011. 

  71. M. J. Kim, H. J. Cho, "Counselor's education, practice, and supervision experience, educational analysis, and counselor development",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6, No.3, pp.67-84, Jun. 2015. DOI: https://doi.org/10.15703/kjc.16.3.201506.67 

  72. M. H. Baek, H. S. Yoo, "The relationships between counselor development level and burnout according to counseling experience: the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3, No.6, pp.3191-3205, Dec. 2012. DOI: https://doi.org/10.15703/kjc.13.6.201212.3191 

  73. J. H. Son, "Components of effective supervision by supervisor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5, No.2, pp.243-261, May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