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LSTM 모형과 로지스틱 회귀를 통한 도시 침수 범위의 예측
Prediction of Urban Flood Extent by LSTM Model and Logistic Regression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40 no.3, 2020년, pp.273 - 283  

김현일 (경북대학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  한건연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재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국지성 및 집중호우에 대한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시점에서 과거에 침수피해를 입은 도시 유역에 대하여 실제 호우에 대한 침수 양상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수치해석 기반 프로그램과 함께 기계학습을 이용한 홍수 분석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LSTM 신경망은 일련의 자료를 분석하는데 유용하지만, 딥 러닝을 수행하기 위하여 충분한 양의 자료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단일 도시유역에 홍수를 일으킬 강우가 매년 일어나지 않기에 많은 홍수 자료를 수집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 유역에서 관측되는 강우 외에 전국 단위의 실제 호우를 예측 모형에 반영하였다. LSTM (Long Short-Term Memory) 신경망은 강우에 대한 총 월류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목표값으로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의 유출 모의 결과를 사용하였다. 침수 범위 예측을 위해서는 로지스틱 회귀를 사용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 모형독립 변수는 총 월류량이며 종속 변수는 격자 별 침수 발생 유무이다. 침수 범위 자료는 SWMM의 유출 결과를 바탕으로 수행된 2차원 침수해석 모의 결과를 통해 수집하였다. LSTM의 매개변수 조건에 따라 총 월류량 예측 결과를 비교하였다. 매개변수 설정에 따른 4가지의 LSTM 모형을 사용하였는데, 검증과 테스트 단계에 대한 평균 RMSE (Root Mean Square Error)는 1.4279 ㎥/s, 1.0079 ㎥/s으로 산정되었다. 최소 RMSE는 검증과 테스트에 대하여 각각 1.1656 ㎥/s, 0.8797㎥/s 으로 산정되었으며, SWMM모의 결과를 적절히 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LSTM 신경망의 결과와 로지스틱 회귀를 연계하여 침수 범위 예측을 수행하였으며, 침수심 0.5m 이상을 고려하였을 때에 최대 침수면적 적합도가 97.33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은 딥 러닝에 기반하여 도시 홍수 대응능력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of climate change, the occurrence of localized and heavy rainfall is increasing. It is important to predict floods in urban areas that have suffered inundation in the past. For flood prediction, not only numerical analysis models but also machine learning-based models can be applied. The LST...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1년 7월 27일 강우에 대한 총 월류량 SWMM 모의 결과와 가장 근접하게 예측한 LSTM1의 결과를 로지스틱회귀에 입력하여 침수범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침수심 0.
  • LSTM의 과적합을 피하기 위하여 드롭아웃(Dropout)기능을 사용하였으며, 드롭아웃은 딥 러닝의 학습 시에 과적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드 중 일부를 제거하는 학습기법이다. 드롭아웃의 비율, 노드의 수, LSTM 층의 개수에 따라 예측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Table 2와 같이 매개변수에 따라 4개의 LSTM 모형을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 로지스틱 회귀는 독립변수인 1차원 도시유출해석 결과에 따른 종속변수인 침수 유무를 예측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배수체계를 가진 도시유역에 대하여, 총 월류량을 나타내는 유출 곡선과 침수 범위를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LSTM 모형과 로지스틱회귀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강우 사상은 서울시를 포함한 전국단위의 강우사상을 적용하였다.
  • , 2015). 본 연구에서는 전국단위로 조사된 70개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SWMM 모의와 2차원 홍수해석을 실시하였다. 1-2차원 해석 결과는 RNN과 로지스틱회귀의 입력 자료로서 사용되었다.

가설 설정

  • 로지스틱 회귀는 오즈비 또는 각 분류항목에 대한 확률의 자연로그 값은 입력되는 독립변수에 선형적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가정한다. 회귀의 매개변수는 최우도법 등을 통해 산정이 되며, 오즈비의 로그 값인 로짓(logit)함수는 0과 1사이에 구속 된 변수를 연속 된 무한의 변수로 변환시켜 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인 RNN의 단점은? LSTM은 입력 자료에 대한 정보 상태를 보존 여부에 따라 학습이 가능한 기법이다. 일반적인 RNN은 전 시간에 대한 은닉층의 학습결과에 대해서만 업데이트하는 단점이 있다. Fig.
딥 러닝의 일반적인 신경망 대비 장점은? 기계학습의 범주에 포함되는 딥 러닝은 일반적인 신경망 보다 깊은 학습이 가능하며, 비선형을 가진 자료에 대해서도 적절한 분석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Shen(2018)에 따르면, 수자원 및 수문분야에 대한 딥 러닝 기법의 적용은 점차증가하고 있으며 대부분 과학 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수자원 분야에서도 우수한 예측 및 분석결과를 도출해낼 것으로 보인다.
로지스틱 회귀의 기능은? 로지스틱 회귀는 비율, 비례적 또는 범주형 자료에 대한 회귀 추정을 실시하는 간단한 기계학습의 일종이다. 더욱 발전된 분류와 회귀 기법에 비하면 매우 간단한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범주형 자료에 대하여 확률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즉, 종속변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가진 독립변수를 이용하여 어떤 특정 사건의 발생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20). Flood history, Available at: http://royaltombs.cha.go.kr (Accessed: January 2, 2020). 

  2. Gardner, K. K. and Vogel, R. M. (2005). "Predicting ground water nitrate concentration from land use." Ground Water, Vol. 43, No. 3, pp. 343-352. 

  3. Hu, C., Wu, Q., Li, H., Jian, S., Li, N. and Lou, Z. (2018). "Deep learning with a long short-term memory networks approach for rainfall-runoff simulation." Water, Vol. 10, No. 11, 1543. 

  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20). Meteorological database, Observation Data, Available at: https://data.kma.go.kr (Accessed: December 1, 2019). 

  5. Le, X. H., Ho, H. V., Lee, G. H. and Jung, S. H. (2019). "Application of long short-term memory (LSTM) neural network for flood forecasting." Water, Vol. 11, No. 7, 1387, DOI: 10.3390/w11071387. 

  6. Moore, M. R. (2011). Development of a high-resolution 1D/2D coupled flood simulation of Charles City, Iowa,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owa,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7. Mosavi, A., Ozturk, P. and Chaw K. K. (2018). "Flood prediction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Literature review." Water, Vol. 10, No. 11, 1536, DOI: 10.3390/w10111536. 

  8. Nandi, A., Mandal, A., Wilson, M. and Smith, D. (2016). "Flood hazard mapping in Jamaica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Environment Earth Science, Vol. 75, No. 465, DOI: 10.1007/s12665-016-5323-0. 

  9. Ozdemir, A. (2011). "Using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method and GIS for evaluating and mapping the groundwater spring potential in the Sultan Mountains (Aksehir, Turkey)." Journal of Hydrology, Vol. 405, No. 1-2, pp. 123-136. 

  10. Park, J. H., Kim, S. H. and Bae, D. H. (2019). "Evaluating appropriateness of the design methodology for urban sewer syste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KWRA, Vol. 52, No. 6, pp. 411-420. 

  11. Pradhan, B. (2009). "Flood susceptible mapping and risk area delineation using logistic regression, GIS and remote sensing." Journal of Spatial Hydrology, Vol. 9, No. 2, pp. 1-18. 

  12. Rai, P. K., Chahar, B. R. and Dhanya, C. T. (2017). "GIS-based SWMM model for simulating the catchment response to flood evetns." Hydrology Research, Vol. 48, No. 2, pp. 384-394. 

  13. Risi, R. D., Jalayer, F. and Paola, F. D. (2015). "Meso-scale hazard zoning of potentially flood prone areas." Journal of Hydrology, Vol. 527, pp. 316-325. 

  14. Seoul Metropolitan City (2015). Comprehensive plan for storm and flood damage reduction, Korea, Vol. 1, Chapter 3, pp. 374-375. 

  1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20). Flood criterion data, Available at: http://safecity.seoul.go.kr (Accessed: January 5, 2020) 

  16. Shen, C. (2018). "A transdisciplinary review of deep learning research and its relevance for water resources scientist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54, No. 11, pp. 8558-8593, DOI: 10.1029/2018WR022643. 

  17. Son, A. L., Kim, B. H. and Han, K. Y. (2015). "A study on prediction of inundation area considering road network i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5, No. 2, pp. 307-3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