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로림만 표층 퇴적물 내 미량금속 분포 특성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Garolim Bay,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5 no.2, 2020년, pp.9 - 25  

박경규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최만식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조동진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장동준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박소정 (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로림만 퇴적물에서 미량금속의 인위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0년과 2015년 총 77개의 표층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여 물리적 특성 요소(입도 및 비표면적)와 지화학적 요소(주성분(Al, Ca, Fe, K, Ba) 및 미량금속(Mn, Cs, Cr, Co, Ni, Cu, Zn, Pb), 유기탄소탄산칼슘)들을 분석하였다. 가로림만 표층 퇴적물의 평균 입도는 0.51-5.58 Ø(평균 3.98 Ø) 범위였으며 외만에서부터 내만으로 증가하였고, 수로에서 육지 방향으로 증가하였다. 일부 원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금속 농도는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고 비표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미량금속의 농도를 조절하는 요인을 추정하기 위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총 3개의 요인을 추출(총 변이의 92.7%) 하였다. 요인 1은 총 변이의 71.3%를 설명하였는데 입도 요인이었고, 요인 2는 총 변이의 14.2%를, 요인 3에서는 총 변이의 7.2%를 설명하였다. 배경농도를 이용하여 농축인자를 계산하였다. 농축인자가 1.5 이상인 금속과 그 시료 수는 Cr 4개(정점 1, 16, 27, 39)와 Pb 1개(정점 39)였으나 이 들 금속에 대한 용출 금속 농도에서는 타 시료와 차이가 없었다. 가로림만의 총 금속 농도에 대한 1M HCl 용출 금속 농도의 백분율은 Pb~Co>Cu>Zn~Mn>Ni>Cr 순서로 감소하였으며 Pb은 입도에 따른 변화를 보였으나 다른 금속들은 모래를 제외하면 매우 일정한 값을 보였다. 이 값을 오염된 지역 및 청정 해역과 비교하면 모든 지역에서 Cu, Zn 및 Pb의 농도 수준과 관련없이 금속별 백분율이 유사하였다. 이는 1M HCl 용액과 퇴적물 구성 성분 사이의 반응 여부에 따른 결과라고 판단되고, 농축 정도를 판단하는데 이 용출 비율을 사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10 and 2015, total 77 surface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to assess the anthropogenic effects of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Garolim Bay,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particle size and specific surface area) and geochemical components (major (Al, Ca, Fe, K, Ba) and trace metal...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 외해와의 물질 교환이 잘 이루어진다. 가로림 만의 표층 퇴적물은 만의 안쪽으로 갈수록 세립한 퇴적물이 분포하는 경향을 보이며(Woo et al., 2009), 만의 외부에는 수도 권의 영향을 받는 경기만, 대산 공업단지, 대산항 등 오염 발생원이 많아 오염물질의 영향이 우려되는 장소로 외부의 오염물질이 원활한 해수 교환에 의해 내만의 세립질 퇴적물로의 축적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된다. 황해 연안 퇴적물에서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조절 요인 및 오염 정도 평가에 대한 연구들이 기존에 보고되었으나 (Choi et al.
  • , 2012), 가로림만 표층 퇴적물에서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및 오염 정도에 대한 평가는 미흡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로림만 표층 퇴적물의 총 금속 농도 및 용출 부분의 금속 농도, 퇴적물의 물리, 화학적 요소들을 통하여 미량 금속의 농도 분포 및 조절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농축 인자(enrichment factor)를 이용하여 미량금속 농축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Calmano, W., J. Hong and U. Forstner, 1993. Binding and mobilization of heavy metals in contaminated sediments affected by pH and redox potential. Water Sci. & Tech., 28(8-9): 223-235. 

  2. Calvert, S.E., 1976. Chemical Oceanography. Vol. 6. Elsevier, pp. 187-280. 

  3. Cha, H.J., M.S. Choi, C.B. Lee and D.H. Shin, 2007. Geochemistry of surface sediments in the southwestern East/Japan Sea. J. of Asian Earth Sci., 29(5-6): 685-697. 

  4. Chae, J.S., M.S. Choi, Y.H. Song, I.K. Um and J.G. Kim, 2014. Source identific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using metal association and Pb isotopes in Ulsan Bay sediments, East Sea, Korea. Mar. Poll. Bull., 88(1-2): 373-382. 

  5. Chester, R. and F.G. Voutsinou, 1981. The initial assessment of trace metal pollution in coastal sediment. Mar. Poll. Bull., 12: 84-91. 

  6. Chester, R., M. Nimmo, G.R. Fones, S. Keyse and Z. Zhang, 2000. Trace metal chemistry of particulate aerosols from the UK mainland coastal rim of the NE Irish sea. Atmos. Environ., 34(6): 949-958. 

  7. Cho, Y.G., C.B. Lee and M.S. Choi, 1999. Geochemistry of surface sediments off the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Korea. Mar. Geol., 159: 111-129. 

  8. Choi M.S., S.H. Lee, C.B. Lee and Y.G. Cho, 1996. Trace metals in sediments of the Keum River. Kor. J. of Quatern. Res., 10(1): 27-52. 

  9. Choi, M.S., H.I. Yi, S.Y. Yang, C.B. Lee and H.J. Cha, 2007. Identification of Pb sources in Yellow Sea sediments using stable Pb isotope ratios. Mar. Chem., 107(2): 255-274. 

  10. Choi, M.S., J.H. Chun, H.J. Woo and H.I. Yi, 1999. Change of heavy metals and sediment facie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Shihwa Lake. J. of the Kor. Environ. Sci. Soc., 8(5): 593-600. 

  11. Divya, P. and M. Kumar, 2018. Heavy metal speciation leaching and toxicity status of a tropical rain fed river Damodar India. Environ. Geochem. and Health, 40(6): 2303-2324. 

  12. Fang, T.H., J.Y. Li, H.M. Feng and H.Y. Chen, 2009. Distribution and contamination of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East China Sea. Mar. Environ. Res., 68(4): 178-187. 

  13. Horowitz, A.J. and K.A. Elrick, 1987. The relation of stream sediement surface area, grain size, and composition to trace element chemistry. App. Geochem., 2: 437-451. 

  14. Horowitz, A.J., 1991. A primer on sediment-trace element chemistry(2ed.). CRC Press, 144 pp. 

  15. Huang, P., T. Li, A. Li, X. Yu and N. Hu, 2014. Distribution, enrichment and sources of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North Yellow Sea. Conti. Shelf Res., 73: 1-13. 

  16. Jeon, S.G. and Y.G. Cho, 2002. Some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urface sediments from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 of the Environ. Sci., 11(12): 1299-1305. 

  17. Jeong, H., K.T. Kim, E.S. Kim, K. Ra and S.Y. Lee, 2016. Sediment quality assessment for heavy metals in streams around the Shihwa Lake. J. of the Kor. Soc. for Mar. Environ. and Energy, 19(1): 25-36. 

  18. Kim, K.T., H.S. Shin, C.R. Lim, Y.G. Cho, G.H. Hong, S.H. Kim, D.B. Yang and M.S. Choi, 2000. Geochemistry of Pb in surface sediments of the Yellow Sea; contents and speciation. J. of the Kor. Soc. of Oceanogr., 35: 179-191. 

  19. Lee, J.H., J.S. Yi, B.S. Kim, C.B. Lee and C.H. Koh, 1998. Characteristics of Metal Distribution in the Sediment in Kyeonggi Bay, Korea. J. of the Kor. Soc. of Oceanogr., 3(3): 103-111. 

  20. Lee, M.K., W. Bae, I.K. Um, H.S. Jung, 2004.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distribution in sediments of Youngil Bay, Korea. Environ. Engin. Res., 26(5): 543-551. 

  21. Li, X., L. Liu, Y. Wang, G. Luo, X. Chen, X. Yang, B. Gao and X. He, 2012. Integrated assess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ediments from a coastal industrial basin, NE China. PLos ONE, 7(6): e39690. 

  22. Lim, D., J.Y. Choi, H.S. Jung, H.Y. Choi and Y.O. Kim, 2007. Natural background level analysi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Korean coastal sediments. Ocean and Polar Res., 29(4): 379-389. 

  23. Loring, D.H., 1990. Lithium-a new approach for the granulometric normalization of trace metal data. Mar. Chem., 29: 155-168. 

  24. Nam, H.J., S. Heo, S.Y. Park, U.K. Hwang, J.S. Park and H.K. Lee, 2012.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Garorim Bay, Korea. J. of the Kor. Soc. of Mar. Environ. & Safety, 18(2): 101-114. 

  25. Park, J.K., M.S. Choi, Y. Song and D.I. Lim, 2017. Tracing the origin of Pb using stable Pb isotopes in surface sediments along the Korean Yellow Sea Coast. Ocean Sci. J., 52(2): 177-192. 

  26. Park, S.Y., H.C. Kim, P.J. Kim, G.S. Park, J.Y. Ko, S.B. Jeon, S.M. Lee and J.S. Park, 2009. Long-term vari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Garolim coastal areas of Yellow Sea, Korea. J. of the Kor. Soc. of Mar. Environ. & Safety, 15(4): 315-328. 

  27. Ra, K., K.T. Kim, E.S. Kim, E.J. Won, K.I. Lim, S.Y. Park and K.H. Shin, 2009. Geochemistry of trace metals in Shihwa Lake sediment. Kor. Soc. for Mar. Environ. & Energy, 175-180. 

  28. Ra, K., E.S. Kim, J.K. Kim, K.T. Kim, J.M. Lee and E.Y. Kim, 2013. Distribution and Pollution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Core Sediments from the Artificial Lake Shihwa, Korea. Ocean and Polar Res., 35(2): 69-83. 

  29. Ridgway, J. and G. Shimmield, 2002. Estuaries as Repositories of Historical Contamination and their Impact on Shelf Seas. Est. Coast. and Shelf Sci., 55(6): 903-928. 

  30. Roussiez, V., W. Ludwig, J.-L. Probst and A. Monaco, 2005. Background levels of heavy metals in surficial sediments of the Gulf of Lions(NW Mediterranean): An approach based on $^{133}Cs$ normalization and lead isotope measurements. Environ. Poll., 138: 167-177. 

  31. Schulz H.D. and M. Zabel, 2006. Marine Geochemistry(2ed.). Springer Verlag. 574 pp. 

  32. Schropp, S.J., F.G. Lewis, H.L. Windom and J.D. Ryan, 1990. Interpretation of metal concentrations in estuarine sediments of Florida using Aluminum as a reference element. Estuaries, 13(3): 227-235. 

  33. Shin, D.H., H.I. Yi, S.J. Han, J.K. Oh and S.J. Kwon, 1998. Transport paths of surface sediment on the tidal flat of Garolim Bay, West coast of Korea. J. of the Kor. Soc. of Oceanogr., 3(2): 59-70. 

  34. Song, Y. and M.S. Choi, 2009. REE geochemistry of fine-grained sediments from major rivers around the Yellow Sea. Chem. Geol., 266: 328-342. 

  35. Song, Y., M.S. Choi and Y.W. Ahn, 2011. Trace metals in Chun-su Bay sediments. J. of the Kor. Soc. of Oceanogr., 16: 169-179. 

  36. Song, Y., M.S. Choi, J.Y. Lee and D.J. Jang, 2014. Regional background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Cr, Co, Ni, Cu, Zn, Pb) in coastal sediments of the South Sea of Korea. Sci. of the Total Environ., 482: 80-91. 

  37. Song, Y. and M.S. Choi, 2017. Assess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ediments along the coast of South Korea using Cs-normalized background concentrations. Mar. Poll. Bull., 117: 532-537. 

  38. Sun, C.I., Y.J. Lee, J.H. An and Y.W. Lee, 2014. Speciatio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Masan Bay. J. of the Kor. Soc. of Oceanogr., 19(2): 155-163. 

  39. Sun, C.I., D.J. Kim, Y.W. Lee and S.S. Kim, 2015. Pollutio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Ulsan-Onsan Coast. J. of the Kor. Soc. for Mar. Environ. & Energy, 18: 245-253. 

  40. Szefer, P., G.P. Glasby, J. Pempkowiak and R. Kaliszan, 1995. Extraction studies of heavy-metal pollutants in surficial sediments from the southern Baltic Sea off Poland. Chem. Geol., 120: 111-126. 

  41. Um, I.K., D.I. Lim, M.K. lee, S.K. Jeon and H.S. Jung, 2003. Spatial variability and contents of metals in the surficial sediments of Youngil Bay, East Coast of Korea. J. of Kor. Earth Sci. Soc., 24(5): 477-490. 

  42. Um, I.K., M.S. Choi, J.J. Bahk and Y.H. Song, 2013. Discrimination of sediment provenance using rare earth elements in the Ulleung Basin, East/Japan Sea. Mar. Geol., 346: 208-219. 

  43. Wi, C.W., J.H. Lee and H.C. Shin, 2014.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ies and their health conditions in Garolim Bay, West coast of Korea. J. of the Kor. Soc. of Oceanogr., 19(4): 256-264. 

  44. Woo, H.J., J.H. Ryu and J.H. Cho, 2009. Hydro-hypsographic analysis for understanding of flushing characteristics in Garolim Bay. J. of Wetlands Res., 11(2): 39-46. 

  45. Yang, S.Y., H.S. Jung, D.I. Lim and C.X. Li, 2003. A review on the provenance discrimination of sediments in the Yellow Sea. Earth-Sci. Rev., 63(1-2): 93-120. 

  46. Yuan, C., J. Shi, B. He, J. Liu, L. Liang and G. Jiang, 2004. Speciation of heavy metals in marine sediments from the East China Sea by ICP-MS with sequential extraction. Environ. Int., 30(6): 769-783. 

  47. Yuan, X., H. Huang, G. Zeng, H. Li, J. Wang, C. Zhou, H. Zhu, X. Pei, Z. Liu and Z. Liu, 2011. Total concentrations and chemical speciation of heavy metals in liquefaction residues of sewage sludge. Biores. Technol., 102(5): 4104-4110. 

  48. Yuan, H., J. Song, X. Li, N. Li and L. Duan, 2012. Distribution and contamination of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South Yellow Sea. Mar. Poll. Bull., 64(10): 2151-21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