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의 사회적 다양성이 서울시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수준모형을 활용하여 -
Social Diversity and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Living in Seoul: An Application of Multilevel Model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6 no.1, 2020년, pp.69 - 88  

최희용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서은혜 (한국지방세연구원) ,  전희정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지역에 거주하는 구성원이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갖는 정도를 의미하는 사회적 다양성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사회적 다양성이 사회적 신뢰, 사회자본삶의 질과 높은 상관관계를 형성하는 개념들과 긍정적 영향관계가 있음을 제시한다. 사회적 다양성의 대칭적 개념인 사회적 분리가 주민의 삶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이 사회 이슈임을 고려할 때 사회적 다양성과 삶의 질에 대한 직접적이고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의 사회적 다양성이 개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수준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 결과에 기초해 전체표본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소득계층을 구분한 분석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투입된 다섯 개의 사회적 다양성 지표 중 주민 직업 유형의 다양성을 측정한 직업다양성이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득다양성의 경우에는 동질성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은 이후 도시정책의 방향 설정에 유용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attention to social diversity within communities.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social diversity is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trust and social capital that are intimately related to quality of life. Because of the controversy on social segregation that is an opposite ...

주제어

표/그림 (1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다양성이란 무엇인가? 사회적 다양성(social diversity)이란 소득, 인종, 민족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거주하는 정도를 의미한다(고은정, 2014). 일반적으로 지역이 갖고 있는 전반적인 맥락과 정책적 요인, 지역의 물리적 또는 입지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다(Talen, 2006).
커뮤니티가 균형이 잡혔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Cole and Goodchild(2000)의 논의를 살펴보면, 위의 9가지 이익들은 인구의 다양한 구성이 “균형 잡힌 커뮤니티(balanced coummunity)”를 야기하기 때문에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커뮤니티가 균형이 잡혔다는 것은 내부적으로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사회통합이 이루어 졌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양한 인구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이와 같은 이익들을 가능하도록 한다는 것이다(Cole and Goodchild, 2000). Kearns and Mason(2007)은 위에서 나열된 내용들을 크게 네 가지 관점에서 유형화하였다.
사회적 분리는 다음 세대로의 지위 계승뿐만 아니라 주거지에서 발생 가능한 여러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사회적 분리는 다음 세대로의 지위 계승뿐만 아니라 주거지에서 발생 가능한 여러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계층이동의 가능성이 저하되며,사회적 차원에서는 계층이동의 실패에서 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역의 사회적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TBC., 2016, 일반-임대아파트 '분단 비극'...'가시 돋친 갈등' 여전, 2016.6.9. 

  2. 서울시정연구원, 2016, 2016 도시정책지표조사 보고서, 서울시정연구원. 

  3. 고명철, 2013, 공공서비스 만족도, 정부성과, 그리고 삶의 질 간 영향관계 분석, 한국행정학보, 47(2), pp. 1-30. 

  4. 고명철.최상옥, 2012, 삶의 질(QoL) 연구의 행정학적 함의와 제언, 한국행정학보, 6(4), pp. 103-126. 

  5. 고은정, 2014, 근린환경이 사회적 다양성과 동네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서울시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고은정.안건혁, 2014, 사회적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 특성에 관한 실증분석-서울시를 대상으로-, 서울도시연구, 15(1), pp. 1-15. 

  7. 곽현근, 2004,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동네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행정학보, 38(6), pp. 1-22. 

  8. 곽현근, 2008, 지역사회 사회자본에 미치는 동네효과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11(4), pp. 59-86. 

  9. 김주진.최막중, 2008, 사회적 혼합이 거주자의 사회적 배제와 주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43(1), pp. 265-266. 

  10. 김선아.박성민, 2014, 시민의 삶의 질 선행 요인 규명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 23(4), pp. 173-210. 

  11. 김창석, 2002, 서울시 상류계층(파워엘리트)의 주거지역 분포특성과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5), pp. 65-85. 

  12. 남기민.남현정, 2013, 노인의 주거환경 만족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자존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4(3), pp. 395-420. 

  13. 도경선, 1994, 서울시의 사회계층별 거주지분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박상우.박환용, 2014, 공공임대주택 공급의 지역전세시장에 대한 영향 분석: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83, pp. 69-80. 

  15. 박영례.권혜진.김경희.최미혜.한승의, 2005, 노인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9(단일호), pp. 237-258. 

  16. 박은철.남원석.김수경.오근상, 2016, 부담가능 임대주택 공급정책과 모델, 서울연구원. 

  17. 박현옥.이한나, 2006,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일상생활환경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5(1), pp. 83-93. 

  18. 배나래.박충선, 2009,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 pp. 761-779. 

  19. 배순석.전성제, 2006, 서울시 저소득계층 주거의 입지현황과 공간적 분리패턴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pp. 191-205. 

  20. 변필성, 2005, Quality of Life (QOL), 국토, pp. 52-52. 

  21. 서승환, 2005, 서울시 자치구별 생활환경의 질에 관한 비교 분석, 서울도시연구, 6(2), pp. 21-38. 

  22. 소진광, 1998, 일반연구논문: [삶의 질] 개념과 도시정책적 함의,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23(1), pp. 65-84. 

  23. 송건섭, 2011,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통한 행복도시 조성방안, 한국행정논집, 23(3), pp. 853-877 

  24. 유정진, 2006, 위계적 선형모형의 이해와 활용, 아동학회지, 27(3), pp. 169-187. 

  25. 윤병식.정우진.이현송.연하청.한성덕.박주헌, 1996, 한국인의 [삶의 질]: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6. 윤희철.정봉현, 2014, 인구감소시대의 특징을 반영한 도시의 삶의 질 지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 pp. 35-57. 

  27. 윤혜미.권혜경, 200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만족도, 한국생활과학회지(충북가정학회지), 12(3), pp. 303-319. 

  28. 이경태.권영주, 2010, 삶의 질 측정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17(1), pp. 97-132. 

  29. 이경환, 2013, 지역주민들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요인 분석-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8), pp. 4019-4027 

  30. 이영균.김동규, 2007,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1(4), pp. 223-250. 

  31. 이미라, 2011, 재가장애인의 복지서비스 이용수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별경험의조절효과,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이태종.박철민.송건섭, 2000, 지역주민의 '삶의 질' 분석.평가: 경주시민을 대상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2(4), pp. 75-92. 

  33. 이혜진.이수진.이연숙, 2012, 사회적 혼합아파트에 대한 거주자 인식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3(2), pp. 1-14. 

  34. 임보영.마강래, 2016,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집계적 자료와 비집계적 자료의 비교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1), pp. 89-104. 

  35. 임희섭, 1996, 삶의 질의 개념적 논의, 한국행정연구, 5(1), pp. 5-18. 

  36. 정순둘.성민현, 2012,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보건사회연구, 32(4), pp. 249-272. 

  37. 정여주.홍성례, 2012,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삶의 질 관계 연구-학교생활만족도와 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3), pp. 239-257. 

  38. 정선기, 2014, 도시민의 생활양식과 삶의 질(QOL), 사회과학연구, 25(2), pp. 137-161. 

  39. 장인수.김홍석, 2013, 다층모형을 활용한 노인인구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 실증분석, 지역연구, 29(3), pp. 19-42. 

  40. 전병주, 2012, 외국인 노동자의 사회적 배제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2), pp. 237-247. 

  41. 조민지.임업, 2017, 다문화 사회에 대한 지역의 관용도와 이주민이 인지하는 차별정도의 관계, 국토계획, 52(2), pp. 49-65. 

  42. 차학봉, 2006, 일본에서 배우는 고령화 시대의 국토 주택정책,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43. 채희섭.신정엽, 2015, 수도권 도시 공간의 사회적 다양성 변화 탐색, 한국지리학회지, 4(1), pp. 139-154. 

  44. 천현숙.윤정숙, 2001, 아파트 주거문화의 진단과 대책, 국토연구원. 

  45. 최준호.이환범.송건섭, 2003, 광역도시와 인근중소도시 지역주민 간의 상호이주 영향요인평가, 한국행정학보, 37(1), pp. 183-203. 

  46. 하혜수, 1996, 도시정부의 '삶의 질' 결정요인 분석, 한국행정학보, 30(2), pp. 81-95. 

  4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동아시아 국제사회조사 참여 및 가족 태도 국제비교연구. 

  48. 한정란.안경실.오병철, 2010, 중년 직장 남성의 직업 및 퇴직에 대한 태도, 한국노년학, 30, pp. 599-613. 

  49. Allport, G. W., 1979, The nature of prejudice, 1954, Gergen, Kenneth J., The Significance of Skin Color in Human Relations. 

  50. Brown, R., & Hewstone, M., 2005, An integrative theory of intergroup contact,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7, pp. 255-343. 

  51. Camp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Recent patterns and trends. 

  52. Cole, I & Goodchild, B., 2000, Social Mix and the Balanced Community in British housing policy-a tale of two epochs, Geo Journal, 51(4), pp. 351-360. 

  53. Diener, E. & Suh, E., 1997, Measuring Quality of Life: Economics, Social, and Subjective Indicators, Social Indicators Research, 40, pp. 189-216. 

  54. Felce, D. & Perry, J., 1995, Quality of Life: its Definition and Measurement,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16(1), pp. 51-74. 

  55. Florida, R., 2002,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and how it is transforming work, leisure, community and everyday life, New York. 

  56. Fried, M., 1982, Residential attachment: Sources of residential and community satisfaction, Jourd. The structure of local public finance and the quality of lif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9(4), pp. 774-806. 

  57. Galster, G. C., Booza, J. C., & Cutsinger, J. M., 2008, Income diversity within neighborhoods and very low-income families, Cityscape, pp. 257-300. 

  58. Hofstede, G., 2003, Culture's consequences: Comparing values, behavior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cross nations, Sage publications. 

  59. Jacobs, J.,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New-York, NY: Vintage. 

  60. Kearns, A., & Mason, P., 2007, Mixed tenure communities and neighbourhood quality, Housing Studies, 22(5), pp. 661-691. 

  61. Kuznets, S., 1946, National income (p. 144), New York: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62. Liu, Ben-Chieh, 1974, Quality of Life Indicators: Apreliminary Investig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1, pp. 187-208. 

  63. Parkes, A., Kearns, A., & Atkinson, R., 2002, What makes people dissatisfied with their neighbourhoods?, Urban Studies, 39(13), pp. 2413-2438. 

  64. Pettigrew, T. F., 1998, Intergroup contact theor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9(1), pp. 65-85. 

  65. Pigou, A. C., 1929, The economics of welfare. Macmillan and Company, limited. 

  66. Prezza, M., & Costantini, S., 1998, Sense of community and life satisfaction: Investigation in three different territorial contexts, Journal of Community & Applied Social Psychology, 8(3), pp. 181-194. 

  67. Putnam, R. D., 2007, E pluribus unum: Diversity and commun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2006 Johan Skytte Prize Lecture, Scandinavian political studies, 30(2), pp. 137-174. 

  68. Sarkissian, W., 1976, The idea of social mix in town planning: An historical review. 

  69. Sirgy, M. J., 2010, Toward a quality-of-life theory of leisure travel satisfaction, Journal of Travel Research, 49(2), pp. 246-260. 

  70. Talen, E., 2006, Neighborhood-level social diversity: Insights from Chicago,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2(4), pp. 431-4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