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화재피해 후 중성화 평가
Carbonation Assessment of High-Strength Concrete Using Polypropylene Fiber after Fire Damage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20 no.3, 2020년, pp.235 - 243  

변용현 (HDC Hyundai PCE, HDC Hyundai Development Company) ,  류동우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내·외 건축물들의 초고층화·대형화에 따라 고강도 콘크리트의 사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고강도 콘크리트는 일반강도 콘크리트에 비해 화재에 의한 콘크리트 단면의 폭렬현상이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내화성능 향상대책으로 폴리프로필렌 섬유, 나일론 섬유 등을 혼합한 섬유혼입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섬유혼입공법이 적용된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대다수의 연구는 주로 폭렬저감 효과에 집중되어 있으며, 화재 후 PP섬유가 용융되어 생성된 미세공극이 고강도 콘크리트의 장기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피해가 발생한 섬유혼입공법이 적용된 고강도 콘크리트를 가정하여 중성화시험 및 미세구조분석을 통하여 미세공극이 중성화 깊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300℃에서 1시간만 노출되어도 콘크리트 내부의 PP섬유가 중심부까지 전부 용융되어 중성화 촉진이 원활히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 후 PP섬유가 혼입된 고강도 콘크리트는 PP섬유가 용융되어 생성된 모세관 공극의 연결성 증가 및 미세균열증가로 인해 장기내구성에 대한 심각한 피해가 우려되며, 섬유혼입공법이 적용된 고강도 콘크리트의 장기내구성에 대한 더욱 정밀한 조사 및 분석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he use of high-strength concrete has increased with increasing height and enlarging scale of the buildings Howev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use of high-strength concrete is the most serious problem compared to ordinary concrete in terms of the spalling of concrete cross se...

주제어

표/그림 (2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피해가 발생한 섬유혼입공법이 적용된 고강도 콘크리트를 가정하여 CO2에 의한 중성화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원주형 시험체(Φ100×200mm)를 제작하여 PP섬유의 용융점 전후의 온도(200, 300℃)에서 가열한 후 KS F 2584에 따른 촉진 중성화시험을 진행하였다.
  • 또한 PP섬유의 배합별,온도별, 가열시간에 따른 섬유직경 변화를 Figure 11 및 Table 6과 같이 비교·검토하여 중성화 깊이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 에 의한 중성화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원주형 시험체(Φ100×200mm)를 제작하여 PP섬유의 용융점 전후의 온도(200, 300℃)에서 가열한 후 KS F 2584에 따른 촉진 중성화시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콘크리트의 깊이별 미세구조분석(SEM)을 실시하여 중성화 깊이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폭렬현상이 야기시키는 문제는 무엇인가? 이러한 고강도 콘크리트는 구조물의 단면축소 및 효율적인 공간 창출, 고내구성 등의 장점이 있으나 일반강도 콘크리트에 비해 화재에 의한 콘크리트 단면의 폭렬현상이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 되고 있다. 이러한 폭렬현상은 콘크리트 부재 파편이 비산되어 인명안전성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철근의 노출 및 부재 단면이 감소하여 구조물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1]. 이에 따라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방지 및 내화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가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최근 국내·외 건축물들의 초고층화·대형화에 따라 고강도 콘크리트의 사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고강도 콘크리트는 구조물의 단면축소 및 효율적인 공간 창출, 고내구성 등의 장점이 있으나 일반강도 콘크리트에 비해 화재에 의한 콘크리트 단면의 폭렬현상이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 되고 있다. 이러한 폭렬현상은 콘크리트 부재 파편이 비산되어 인명안전성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철근의 노출 및 부재 단면이 감소하여 구조물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1].
폭렬방지 및 내화성능 향상을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이에 따라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방지 및 내화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가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내화성능 향상대책으로 폴리프로필렌 섬유(이하 PP섬유), 나일론 섬유(이하 NY섬유) 등을 콘크리트 배합 시 일정량 혼입하는 섬유혼입공법과 화재시 콘크리트 구조체가 화재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내화피복재(보드, 패널, 뿜칠 등)를 부착하는 내화피복공법 등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섬유혼입공법은 고강도 콘크리트에 PP섬유 또는 NY섬유를 혼입함으로써 화재 시 약 170℃ 전후에서 녹아 수증기나 수분, 가스 등의 유출경로를 만들어주어 콘크리트 내부에 갇힌 고압의 수증기압을 완화시키는 방법이며, 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Kwon YJ. Trends of research and practical use on explosive spalling properties and performance based of structural design of the high-strength concrete.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2008 Nov 7; Ilsan, Korea. Seoul(Korea): Korea Concrete Institute; 2008. p. 935-40. 

  2. Han CG, Han MC, Kim WK, Lee JS. Effect of admixture types and PP fiber on the development of spalling resist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9 Nov;25(11):105-12. 

  3. Kalifa P, Menneteau FD, Quenard D. Spalling and pore pressure in HPC at high temperatur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000 Dec;30(12):1915-27. https://doi.org/10.1016/S0008-8846(00)00384-7 

  4. Kalifa P, Chene G, Galle C. High-temperature behavior of HPC with polypropylene fiber From spalling to microstructur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001 Oct;31(10):1487-99. https://doi.org/10.1016/S0008-8846(01)00596-8 

  5. Kang YH, Kang CH, Choi HG, Shin HJ, Kim WJ. Compressive properties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exposed to high temperature. Journal of the Korea Concete Institute. 2014 Jun;26(3):377-84. https://doi.org/10.4334/JKCI.2014.26.3.377 

  6. Hwang CL, Lin CY. Strength development of blended balst-furnace slag-cement mortar. Journal of the Chinese Institute of Engineers. 1986 Feb;9(3):233-9. https://doi.org/10.1080/02533839.1986.9676884 

  7. Ozawa M, Sakoi Y, Fujimoto K, Tetsura K, Parajuli SS. Estimation of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s of high-strength concrete with synthetic fibers after fire exposur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017 Jul;143:322-9. https://doi.org/10.1016/j.conbuildmat.2017.03.1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