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인가구의 세대별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비교 연구
Generation Comparison of th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One-person Households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21 no.1, 2020년, pp.15 - 31  

김미숙 (한국아동복지학회) ,  김안나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nd objectives: One-person households are the fastest growing family type in Korea. They bring social concerns such as weakened social integration, increasing poverty and social isolation. They are not homogeneous but heterogeneous groups depending o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인가구의 형성과정을 고려하여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들을 살펴보되, 이를 세대별로 비교하고자 한다. 이로써 1인가구 논의에서 간과되어온 세대문제를 부각시키고, 세대의 특성에 부합되는 정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인가구란 무엇인가? 1인가구는 혼자서 살림하는 가구로 1인이 독립적으로 취사, 취침 등의 생계를 유지하는 가구를 의미한다(통계청, 2018). 혼족, 욜로족(YOLO: You Only Live Once.
1인가구의 단점은? 혼자사는 것 자체가 때문이 아니라 다른 요인들과 상호작용하여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1인가구는 다른 사람과의 인적 교류가 적어서 우울감, 외로움, 고립감, 슬픔을 많이 느낀다(이명진 등, 2014). 사회적 교류가 활발한 시기인 청년세대의 경우도 1인 가구 청년은 사회관계를 맺는 시간도 적고 여가활동도 주로 혼자한다(노혜진, 2018).
1인가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 등으로 불리워지기도 하는 1인 가구는 사회적인 관심과 우려를 낳는다. 이는 가족 구조의 축소나 결혼 지연 또는 기피, 새로운 문화의 도래 이상의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사회적으로는 관계의 고립 및 단절로 인한 사회통합 저해, 시장에서의 교환적 관계의 잠식을 초래하고, 개인적으로는 1인 고독사, 빈곤 등을 겪게 된다(이명진 등, 2014; Ravnera et al., 2014; 김유경 등,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강은나, 이민홍. (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통권 234호, 47-56. 

  2. 강은나, 김혜진, 김영선. (2017).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보건사회연구, 37(2), 184-215. 

  3. 강현정. (2009). 농촌 여성독거노인의 사회활동과 삶의 만족도. 사회복지조사연구, 1-26. 

  4. 권종선. (2019). 중노년 1인가구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5(1), 153-167. 

  5. 김경숙. (2019). 1인가구 남성과 여성의 행복감 관련요인: 2017년 지역사회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 활용.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20(2), 109-124. 

  6. 김석환, 김은엽. (2018). 고령자 1인가구의 스트레스와 우울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19(2), 43-52. 

  7. 김아린, (2018). 1인가구 청년의 건강행태, 식습관 및 심리적 건강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l17(7), 493-509. 

  8. 김유경, 이여봉, 손서희, 조성호, 박신아. (2015). 가족헝태 다변화에 다른 부양체계 변화전망과 공사 간 부양분담 방안,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 김윤영. (2018). 1인가구 특성과 사회복지정책: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34(3), 1-30. 

  10. 김은정. (2017). 중.장년 1인가구에 관한 소고. 한국 가족자원경영학회 2017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11. 김혜영. (2014). 유동하는 한국가족: 1인 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5(2), 255-292. 

  12. 노혜진. (2018). 청년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보건사회연구. 38(2), 71-102. 

  13. 박경란. (2012). 단독가구 노인의 구조적 사회 관계망 유형과 관계의 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1(45), 99-945. 

  14. 박기남. (2004).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 24(3), 13-29. 

  15. 박미석, 전지원, (2017). 비혼 1인가구의 생활불안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4), 25-42. 

  16. 박미현. (2016). 장년층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글로벌사회복지연구, 6(2), 5-26. 

  17. 박미현. (2017). 장년층 1인가구의 우울 예측요인.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19, 51-69. 

  18. 박선희, 김정. (2015). 독거여성노인의 행복감 경험.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4), 393-402. 

  19. 변미리, (2009). 서울의 1인가구 현황과 도시정책 수요",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85-200. 

  20. 서홍란, 김희년. (2010). 요보호여성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5, 176-202. 

  21. 석재은, 장은진. (2016).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71(2), 321-349. 

  22. 송영남, (2012). 청년층 일자리 미스매치 완화를 위한 '좋은 일자리' 특성의 가치추정연구. 경제연구, 30(4), 69-88. 

  23. 심애리, 박성신, (2017). 군산시 노인 1인가구의 현황 및 커뮤니티센터 요구도 분석,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지, 19(4), 29-40. 

  24. 윤강인, 강인선. (2016). 중고령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찰: 센의 역량접근이론을 통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36(2), 457-473. 

  25. 이명진, 최유정, 이상수. (2014). 1인가구의 현황과 사회적 함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7(1), 229-253. 

  26. 이신영, 윤진숙, 조희금. (2014). 농촌노인의 자녀 및 이웃과의 사회적지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5(4), 495-510. 

  27. 임민경, 고영미, (2018). 비동거자녀 지원이 1인가구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다른 비교, 한국융합학회논문지, 33, 265-277. 

  28. 장진희, 김연재. (2016), 서울 1인가구 여성의 삶 연구: 203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서울: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29. 장운영, 정세은, (2011), 1인 노인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연구: 저소득가구와 고소득가구의 비교. 한국노년학, 31(4), 1119-1134. 

  30. 최광현. (2006).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노인복지상담연구: 인지행동상담을 통한 노인문제 접근. 대한케어복지학, 1(3), 121-136. 

  31. 최효미, 김지현. (2018). 청년 1인가구 현황 및 청년층의 1인가구에 대한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32. 통계청, (2018). 보도자료, 2018. 9. 27.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1인가구의 현황 및 특성 

  33. 통계청, (2019). 홈페이지. http://kosis.kr/search/search.do. 2019.10.10.인출. 

  34. 통계청, (2019). 홈페이지. http://www.index.go.kr/potal/stts/idxMain/selectPoSttsIdxSearch.do?idx_cd4030. 2019.10.10.인출 

  3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대학교, (2017). 한국복지패널 12기 데이터, 세종.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대학교. 

  36. 한성민, 이숙종. (2018). 청년 1인 가구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융합사회와 공공정책, 12(1), 60-85. 

  37. 홍승아, 성민정, 최진희, 김진욱, 김수진. (2017). 1인가구 증가에 따른 가족정책 대응방안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8. Fukunaga, R, Nakagawa, Y. Koyama, A. Jujise, N, Ikeda, M. (2012). Living alone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a rural community in Japan. Psychogeriatrics, 12(3), 179-185. 

  39. Gaymu, J, Springer, S. (2010). Living condi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Europeans living alone: a gender and cross-country analysis. Ageing and Society, 30(7), 1153-1175. 

  40. OECD. (2018). family database homepage, www.oecd.org/els/family/database.htm. retrieved on 2018. 10. 22. 

  41. Ravanera, Z. Rajulton, F. and Beaujot, R. (2014). Trajectories to living alone at mid-life in Canada: A comparison by gender and over time. Working paper, Princeton University. 

  42. Yeung, W. and Cheung, A. (2015). Living alone: One-person households in Asia. Demographic Research, 32(40), 1099-1112.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