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공간정보 기반 극단적 기후사상 분석 도구(EEAT) 개발
Development of Extreme Event Analysis Tool Base on Spatial Information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3, 2020년, pp.475 - 486  

한국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데이터전략센터) ,  이명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데이터전략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기후변화 대응 연구의 기반이 되는 사항으로, 대용량 시공간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의 관점에서는 1종의 시나리오가 약 83 기가바이트(Giga bytes) 이상의 대용량이며, 데이터 형식은 반정형으로 검색, 추출, 저장 및 분석 등 활용상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용량, 다중시기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활용을 편리하게 개선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기반의 극단적 기후사상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도구를 RCP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과거 발생한 집중호우 임계치가 미래 발생 가능한 시기와 공간에 대한 시범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3일 누적 강우량 587.6 mm 이상인 날이 2080년대 약 76회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집중호우는 국지적으로 발생하였다. 개발된 분석도구는 초기 설정부터 분석결과를 도출하는 전 과정이 단일 플랫폼에서 구현되도록 하였다. 더불어 상용 소프트웨어가 없어도 분석결과를 다양한 형식(웹 문서형식(HTML), 이미지(PNG), 기후변화 시나리오(ESR), 통계(XLS))으로 구현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분석도구 활용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미래 전망이나 취약성 평가 등의 활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제공될 기후변화 보고서에 따른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 도구 개발에도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imate change scenarios are the basis of research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nd consist of large-scale spatio-temporal data. From the data point of view, one scenario has a large capacity of about 83 gigabytes or more, and the data format is semi-structured, making it difficult to utilize the da...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극단적 기후변화, 기후위기를 예측할수 있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하기 위해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검토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이용을 편리하게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상청에서 제공 하는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대상으로 극단적 기후 사상을 검색, 추출 및 웹문서와 이미지, 통계 분석이 자동으로 구현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전술된 사항을 반영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위기’ 로 대변되는 현실에서,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이용을 편리하게 개선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가설 설정

  • 현재 3차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이 수립 중이며, 기후 변화와 관련된 대책 및 세부시행계획은 이상기후 및극단적 기후사상이 발생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수립 한다. 전술된 내용은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을 바탕으로 작성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변화 시나리오란?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과학적 도구로는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DDC(Data Distribution Centre)에서 제공하는 GCM(Global Regional Model)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폭우, 폭설, 태풍 등 극단적으로 발생하는 기후위기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과학적 근거로, 사회기반시설물(댐, 철도, 도로 등)의 효율적 관리, 확대를 위한 데이터로 활용 되고 있다(KMA, 2014). 기후변화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및 효율적 기후변화 대응 관련 의사결정 중 가장 어려운 부분은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체의 불확실성이 높다는 것이다.
기후위기로 인한 피해는? 최근 녹색연합 등 민간 환경운동 단체를 중심으로 21 세기 들어 범용적으로 사용되던 “기후변화”를 “기후위기 비상행동(Climate Strike)”이라는 용어로 표현하고 있을 만큼, 기후변화는 21세기 초기 논의되던 시기에 비하여 심각해지고 있다(Global Climate Strike in Korea, 2019). 기후위기로 인한 피해는 최소 수십만 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가거나 수천억 달러 이상의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Kang et al., 2010).
국내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에 필요한 것은? 그러나 다운로드한 1개의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약 3만개 이상의 파일과 약 83GB 이상의 텍스트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어 데이터 확인을 위한 전수조 사에도 한계가 있다. 또한, 분석을 위한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분석 및 결과 도출 등 데이터 기반 분석방법론 적용 시 고사양의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며, 분석결과 해석 및 확인을 위해서는 고가의 상용 소프트웨어가 필요 하다. 따라서 기상청 기후정보포털에서 제공하는 데이 터와 분석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이러한 서비스들은 특정 목적으로 활용 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그 범위를 벗어난 연구나 활용 목적에 따라 사용할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k, G. H., M. J. Lee, and B. J. Kang, 2011. Development of Spatial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 for KMA-RCM by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3): 136-1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ae, Y. R., J. H. Lee, and C. Hope, 2017. Economic Analysis of Climate Change Damage in Korea Using SSP-RCP Scenario Matrix, Korea Environ - ment Institute, Sejong, Republic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ung, U. R., J. P. Cho, and E. J. Lee, 2015. Evaluation of Agro-Climatic Index Using Multi-Model Ensemble Downscaled Climate Prediction of CMIP5,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2): 108-1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limate-ADAPT(european Climate ADAPTation platform), 2020. About Climate-ADAPT, https://climate-adapt.eea.europa.eu/about, Accessed on Apr. 27, 2020. 

  5. Global Climate Strike in Korea, 2019. Purpose and Demand, http://climate-strike.kr/demand/, Accessed on Apr. 27, 2020. 

  6. Han, H. J., 2011. Development of Future Land Use Scenarios Consistent with Climate Change Storyline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jong, Republic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Hong, W. P., Y. W. Kim, S. K. Kim, J. G. Han, and M. Kim, 1990. Prediction of Rainfall-triggered Landslid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Geotechnical Engineers, 6(2): 55-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ang, J. E., M. J. Lee, Y. S. Goo, G. W. Jo, and J. W. Lee, 2011. Urban Renewal Strategy for Adapting to Climate Change: Use of Green Infrastructure on Flood Mitigation,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jong, Republic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D. H., S. J. Lee, and M. J. Lee, 2013. Spatial Planning Method and Application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jong, Republic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W. Y. and B. G. Chae, 2009. Characteristics of Rainfall, Geology and Failure Geometry of the Landslide Areas on Natural Terrains, Ko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9(3): 331-3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4. Meteorological technology & policy 2014. 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Republic of Korea. 

  12.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GAW(Global Atmosphere Watch), 2017. RCP Scenarios, http://www.climate.go.kr/home/snr_greeting/rcp.php, Accessed on Apr. 27, 2020. 

  13.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GAW(Global Atmosphere Watch), 2018. 2018 Climate Change Use Casebook, http://www.climate.go.kr/home/CCS/_image/web_manual/climate_ref.pdf, Accessed on Apr. 27, 2020. 

  14.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GAW(Global Atmosphere Watch), 2019. Description of Downloadable Climate Change Scenario, http://www.climate.go.kr/home/CCS/_image/web_manual/data_information_v2.0.pdf, Accessed on Apr. 27, 2020. 

  15. Lee, M. J., I. H. Park, J. S. Won, and S. R. Lee, 2016. Landslide hazard mapping considering rainfall probability in Inje, Korea, Geomatics, Natural Hazards and Risk, 7(1): 424-4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M. J., W. K. Song, J. S. Won, I. H. Park, and S. R. Lee, 2014. Spatial and temporal change in landslide hazard by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using probabilistic-based frequency ratio model, Geocarto International, 29(6): 639-6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im, C. H., 2015.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Forest Fire in Jeju to Climate Change using the VESTAP,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30(1): 57-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Moon, K. H., E. Y. Song, I. C. Son, and Y. I. Moon, 2014. Application system establishment of digital agro-climate map for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Jeollabuk-do, Republic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Mun, S. J., C. W. Park, H. D. Lee, and S. W. Hwang, 2017. Mapping Vulnerabilit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Due to Climate Change using VESTAP, Proc. of the 2017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Jeju, Sep. 15-17. p. 277. 

  20. NCEI(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2020. About NCEI, https://www.ncei.noaa.gov/about, Accessed on Apr. 27, 2020. 

  21. Oh, K. Y., M. J. Lee, and D. E. Han, 2016. Development of Web-Based Supporting Tool (VESTAP) for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ment in Lower and Municipal-Level Local Governm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9(1): 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Oh, K. Y., M. J. Lee, and S. W. Jeon, 2017. Development of the Korean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VESTAP)-Centered on health vulnerability to heat waves, Sustainability, 9(7): 1103. 

  23. Park, C. Y., 2015. The classification of extreme climate ev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21(2): 394-4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Shim, C. S., J. H. Seo, J. H. Han, J. S. Ha, T. H. Ro, Y. S. Hwang, and J. J. Oh, 2017. Projection of future hot weather events and potential population exposure to this in South Korea, Climate Research, 72(1): 29-38. 

  25. UKCIP(United Kingdom Climate Impacts Programme), 2020. About us, https://www.ukcip.org.uk/aboutus/, Accessed on Apr. 27,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