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파킨슨유발제인 이산화망간으로 손상된 배양 대뇌 신경아교세포에 대한 노박덩굴 추출물의 보호
Protective Effect of Celastrus orbiculatus Thunb Extract on Cultured Neuroglial Cells Damaged by Manganese Dioxide, a Parkinsonism Inducer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2 no.2, 2020년, pp.150 - 157  

서영미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산화망간(MnO2)의 신경독성과 이에 대한 노박 덩굴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C6 glioma 세포를 배양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세포생존율을 비롯하여 지질산화(LP) 억제능 및 XO 저해능과 같은 항산화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MnO2는 배양 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 과정에서 XTT50값은 146.7 μM로 나타나 Borenfreund and Puerner의 독성판정기준에 따라 중간독성(mid-cytotoxic)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제의 일종인 kaempferol (KAE)은 MnO2의 독성에 의해 손상받은 세포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써 MnO2의 독성을 방어하였다. 한편, MnO2 독성에 대한 노박덩굴(CO) 추출물의 영향 조사에 있어서, CO 추출물은 배양 세포에 MnO2만을 처리한 것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써 MnO2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이와 동시에 높은 LP 억제능과 XO 저해능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MnO2의 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CO 추출물은 LP 억제능과 XO 저해능과 같은 항산화능에 의하여 MnO2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한 것을 확인였다. 따라서, CO 추출물과 같은 천연소재는 파킨슨병 유발제인 MnO2와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질환적 중금속 독성을 경감 내지는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물질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tective effects of a Celastrus orbiculatus Thunb (CO) extract against manganese dioxide (MnO2)-induced cytotoxicity in cultured C6 glioma cells were examined. This study assessed the antioxidative effects, including the suppressive ability of lipid peroxidation (LP), the inhibitory ability of...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별아교세포는 뇌-혈관장벽(brain-blood barrier, BBB)을 형성하여 뇌조직을 보호하는 동시에 신경세포(neuron)에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하여 세포생존력을 높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외부 요인에 의한 뇌손상으로 유발되는 파킨슨병과 같은 질환이 발생된 경우에는 위의 기능과 함께 신진대사를 강화하면서 뇌회복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11]. 따라서, 본 연구는 내적이나 외적 요인으로 뇌질환에 이환될 경우, 가장 빨리 활성화되어 활발히 반응하는 신경아교세포 일종인 C6 glioma 세포주를 이용하여 파킨슨병 유발제인 MnO2의 신경독성을 산화적 손상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또한, MnO2의 독성에 대한 노박덩굴(CO) 추출물의 영향을 지질과산화(LP) 억제능 및 잔틴옥시다제(XO) 저해능과 같은 항산화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파킨슨병의 환경적 요인 중 하나인 망간과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중금속화합물의 독성에 대한 완화 및 치료적 대체물질을 천연물 소재로부터 알아보고자 하였다.
  • 3333px;">2의 신경독성을 산화적 손상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또한, MnO2의 독성에 대한 노박덩굴(CO) 추출물의 영향을 지질과산화(LP) 억제능 및 잔틴옥시다제(XO) 저해능과 같은 항산화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파킨슨병의 환경적 요인 중 하나인 망간과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중금속화합물의 독성에 대한 완화 및 치료적 대체물질을 천연물 소재로부터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결과는 CO추출물이 MnO2 독성에 의한 산화적 손상을 방어한 것으로서, 이 같은 현상은 CO 추출물속에 함유된 kaempferol이나 quercetin, flavonoid 배당체와 같은 항산화 성분들의 생리활성에 의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출물 속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인 총폴리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위에서 열거한 추출물의 각 성분들은 이미 항산화 효능이 입증되어 있기 때문에 개개의 성분분석보다는 총체적인 성분함량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행하였다[22].
  • 이같이 노박덩굴을 포함한 이들 추출물들은 모두 브롬이나 망간과 같은 중금속화합물의 산화적 손상을 모두 항산화능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는 연구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CO 추출물의 항산화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지질과산화(LP) 억제능과 XO 저해능을 각각 조사하였다. LP 억제는 산화적 손상에 의하여 막을 구성하고 있는 인지질이 산화됨으로서 막손상으로 인하여 세포의 퇴화나 사멸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를 억제함으로써 세포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1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Rosen D, Siddique T, Patterson D, Fiqlewiez D, Sapp P, Hentati A, et al. Mutation in Cu/Zn superoxidedismutase gene are associated with familial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Nature. 1993;362:59-62. 

  2. Ra JS, Lee JH, Kim KT. Application of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 procedures for toxic effluents from the aluminum rolling industry. J Environ Health Sci. 2015;41:305-313. https://doi.org/10.5668/JEHS.2015.41.5.305 

  3. Nussbaum RL, Ellis CE. Alzheimer's disease and Parkinson's disease. N Engl J Med. 2003;348:1356-1364. http://dx.doi.org/10.1056/NEJM2003ra020003 

  4. Jung IJ. The effect of NMDA/glycine receptor antagonist, 7-chlorokynurenic acid on cultured astrocytes damaged by ischemia- like condition. J Exp Biomed Sci. 2009;15:355-362. 

  5. Cho KS. Occupational health. 2 ed. Seoul: Sumoonsa Publishing; 1991. p315-319. 

  6. Choi JH, Jang BK, Lee JW, Hong EJ, Lee MJ, Ji DH. Cerebral activity by motor task in welders exposed to manganese through fMRI. J Environ Health Sci. 2011;37:102-112. http://dx.doi.org/10.5668/JEHS.2011.37.2.102 

  7. Lee SH, Jung IJ, Jang HS. The antioxidative effect of Eclipta prostrata L. extract on cultured NIH3T3 fibroblsts injured by manganese- induced cytotoxicity. Biomed Sci Lett. 2018;24:357-364. https://doi.org/10.15616/BSL.2018.24.4.357 

  8. Lee SH, Seo YM. Alleviating effects of Euphorbiae humifusae L. extract on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lead. Korean J Clin Lab Sci. 2018;50:501-510. https://doi.org/10.15324/kjcls.2018.50.4.501 

  9. Ma J, Luo XD, Protiva P, Yang H, Ma C, Basile MJ, et al. Bioactive novel polyphenols from the fruit of Manikara zapota (Sapodoilla). J Nat Prod. 2003;66:983-986. https://doi.org/10.1021/np020576x 

  10. Kwak JS, Seong HG. East medicinal thesaurus herb encyclopedia. Gyeonggi-do: Purnhaengbok Publishing; 2018. p303-306. 

  11. Benarroch EE. Neuron-astrocyte interactions partnership for normal function and disease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Mayo Clin Proc. 2005;80:1326-1338. https://doi.org/10.4065/80.10.1326 

  12. Fang G, Li G, Pang C, Li W, Wang D, Liu C. Utrasound-assisted extraction of pristimerin from Celastrus orbiculatu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Biol Pharmaceut Bull. 2016;b15-00664. 

  13.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 1983;65:55-63. 

  14.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2005. Vol 45, p21-22. 

  15. Nieva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2000;71: 109-114. https://doi.org/10.1016/S0378-8741(99)00189-0 

  16. Kikuzaki H, Nakatani N. Antioxidant effect of some ginger constituents. J Food Sci. 1993;58:1407-1410. https://doi/epdf/10.1111/j.1365-2621.1993.tb06194.x 

  17. Stirpe F, Corte ED.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conversion in vitro of the enzyme activity from dehydrogenase (type D) to oxidase (type O). J Biol Chem. 1969;244:3855-3861. 

  18. De-Lau LML, Breteler MM. Epidemiology of Parkinson’s disease. Lan Neurol. 2006; 5:525-535. 

  19. Borenfreund E, Puerner JA. A simple quantitative procedure using monolayer culture for cytotoxicity assay (HTD/NR-90). J Tiss Cult Meth. 1985;9:7-9. 

  20. Tsou TC, Lai HJ, Yang JL. Effects of mannitol or catalase on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leading to DNA damaged by chromium (VI) reduction with ascorbate. Chem Res Toxicol. 1999;12:1002-1009. https://doi.org/10.1021/tx9802264 

  21. Chung JH, Rim YS, Seo YM. Protective effect of Albizzia julibrissin leaf extract on the cytotoxicity induced by cupric acetate metallic mordant. J Environ Health Sci. 2019;45:520-528. https://doi.org/10.5668/JEHS.2019.45.5.520 

  22. Graefe EU, Witting J, Mueller S, Riethling AK, Uehleke B, Drewelow B, et al. Pharmacokinetics and bioavailability of quercetin glycosides in humans. J Clin Pharmacol. 2001;41:492-499. https://doi.org/10.1177/00912700122010366 

  23. Chung JH, Lee GW, Seo YM. Protective effect of Aster tataricus L. extract on the dermal cytotoxicity induced by sodium bromate, oxidant of hair dye. Biomed Sci Lett. 2019;25:348-356. https://doi.org/10.15616/BSL.2019.25.4.34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