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파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플랫폼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of Platform Using Spectrum Big Data 원문보기

스마트미디어저널 = Smart media journal, v.9 no.2, 2020년, pp.99 - 109  

김형주 (조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나종회 (광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전웅렬 (광주대학교 사이버보안경찰학과) ,  김판구 (조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전파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플랫폼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전파 분야의 빅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고 연계방안을 수립하고, 전파 및 공공분야 빅데이터를 연계 및 활용하는 지원체계 방안을 제시하여, 전파 공공분야 연계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전파 분야 빅데이터의 체계적 분석과 활용을 위한 지원체계가 부족한 상황에서 전파 관련 산업체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플랫폼 구축방안을 마련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 구현을 위한 선제적 대응과 국내 전파 분야의 위상과 국가의 혁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전파산업의 공정경쟁과 서비스 품질 증진에 기여하여 전파 및 공공분야 빅데이터 플랫폼 이용자의 편의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전파관리 데이터 활용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및 플랫폼 공동 활용을 통한 전파 빅데이터 활용 협업 체계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oposes a platform construction plan for the use of spectrum big data, collects and analyzes the big data in the radio wave field, establishes a linkage plan, and presents a support system scheme for linking and using the spectrum and public sector big data. It presented a plan to buil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 구현을 위한 선제적 대응으로 전파 분야 빅데이터의 체계적 분석과 활용을 위한 지원체계가 부족한 상황에서 전파 관련 산업체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플랫폼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빅데이터 기술 및 동향을 조사하고, 3장에서는 전파 빅데이터 및 서비스플랫폼 현황을 파악하고 4장에서는 전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파 누리의 주요 제공 정보는 5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것은 무엇인가? 전파 누리의 주요 제공 정보는 크게 5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전파아카데미 메뉴에서는 전파기술에 관심이 많은 일반 국민과 학생 등 학습 수요자를 위해 전파 관련 용어의 정의 및 기초 학습자료, 연구 기술자료, 법령, 시장 동향 등 수준별 맞춤형 학습 정보를 제공한다. 주파수 정보 메뉴에서는 주파수 대역별 분배 현황과 무선 인터넷, 드론, RFID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주파수 이용정보를 제공한다. 무선국 정보 메뉴에서는 이동통신용 기지국, 공공․생활안전용 기지국, 통신사별 기지국 정보를 검색 가능한 데이터 및 지도 형태로 제공한다. 전파정보 LAB 메뉴에서는 전파정보와 국토, 인구 등의 공공데이터를 연계한 융합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행정구역별, 용도지역별(주거, 상업, 녹지 등), 인구유형별(경제인구, 연령 등) 무선국의 분포와 증감 현황, 밀도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파정보 활용 메뉴에서는 라디오 방송 주파수 검색, 토지 용도와 무선국 위치, 스펙트럼 분석기 이용 신청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빅데이터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빅데이터 플랫폼이란 빅데이터 기술의 집합체이자 기술을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된 제반 환경을 말한다. 빅데이터 플랫폼을 사용하여 빅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저장·처리·관리할 수 있다.
빅데이터 어떤 기술에서 어떤 기술로 진화 중인가? 빅데이터는 데이터로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얻는 “탐색형 빅데이터” 기술에서 지능형 분석을 통한 “변화 예측형 빅데이터” 기술로 진화 중이며, 클라우드는 IoT 기반 빅데이터의 입력, 인공 지능 기반 실시간 분석·제어 플랫폼을 제공하는 고신뢰, 고가용, 융합형 클라우드 인프라 및 머신러닝 등을 활용하여 클라우드 플랫폼 운영과 서비스의 인력 의존성을 최소화 및 최적화하기 위한 지능형 클라우드로 발전이 예상된다[2]. 또한, 개인에 대한 가치가 존중되면서 생애주기별로 특화된 개인 중심의 정책 수립과 국민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정부의 행정서비스에도 빅데이터 활용이 요구되며, 정부 기관별로 축적된 기존 데이터와 다양한 스마트 플랫폼을 통한 실시간 데이터를 결합해 이를 분석하여 문제에 대한 해결법에 접근하는 맞춤형 행정정책 구현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되면서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기술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수연, 도지훈, 김보라, "빅데이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8-11호, 2018년 

  2. 이민경, 임진양, 조일구, "4차 산업혁명 혁신 기술도출 체계,"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주간기술동향, 15-23쪽, 2017년 12월 

  3. 곽정호. "전파정보 활용체계 수립 및 안정적 운영방안 연구,"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KCA연구, 2016-15호, 2016년 8월 

  4. 신혁식 외 6명, "빅데이터를 이용한 효율적인 전파감시 방안 연구,"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KCA연구, 2018, 2019년 2월 

  5. 한경록, "광주 주요 분야의 빅데이터 구축 및 가공.활용 방안 연구," 광주전남연구원, 정책연구, 2014-04호, 2015년 3월 

  6. 김성진 외 1명, "전파산업 생태개 분석 및 지역 전파산업 발전방안 연구,"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KCA연구, 2017, 2018년 4월 

  7. 전파누리, https://www.spectrummap.kr (accessed May, 19, 2020). 

  8. Ofcom, https://www.ofcom.org.uk/about-ofcom/latest/media/speeches/2017 (accessed May, 19, 2020). 

  9. FCC, https://www.fcc.gov/ (accessed May, 19, 2020). 

  10. 신민수, 권순범, 김우주, "국가 빅데이터 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연구보고서, 2017년 12월 

  11. 김정미, "빅데이터 시대의 데이터 자원 확보와 품질 관리 방안," 한국정보화진흥연구원, 빅데이터 국가 전략포럼, 제5호, 2012년 5월 

  12. 이충권, "빅데이터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사례에 관한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4권, 제3호, 51-61쪽, 2015년 9월 

  13. 강민구, "스마트 관광용 위치기반의 PPL 서비스플랫폼 설계," 스마트미디어저널, 제5권, 제4호, 138-142쪽, 2016년 12월 

  14. 문희정, "빅데이터를 위한 데이터 시각화 방법과 표현 연구(광주 대중버스노선 이용 실태를 적용한 태블루를 활용한 시각화 표현)," 스마트미디어저널, 제8권, 제1호, 59-66쪽, 2019년 

  15. 고현욱, "해외 주요국의 전파정보 공개 동향 및 국내 현황," 한국통신학회논문지, 819-820쪽, 2018년 6월 

  16. 박석지, 박덕규, "지능정보사회의 전파와 전파 산업의 중요도 분석,"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제28권, 제8호, 589-602쪽, 2017년 8월 

  17. 김태한, 김태석, "전파자원 활용을 위한 인과 관계기반 정량적 경제 파급 효과 분석모형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1호, 430-446쪽, 2018년 11월 

  18. 권승환, 정덕훈,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서비스 연구:전기안전분야를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제20권, 제5호, 3-15쪽, 2019년 10월 

  19. 송재오, 조정현, 권진관, 이상문, "스마트 공장을 위한 이기종 빅데이터 처리 플랫폼에 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제27권, 제2호, 335-336쪽, 2019년 7월 

  20. 권윤길, 최정환, "전력.에너지 빅데이터 클라우드 플랫폼 설계 방안,"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35-38쪽, 2018년 6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