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YAG:Ce3+ beta-SiALON 형광체를 이용한 InGaN 광전극의 효과적인 물분해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InGaN Photoelectrode by Using YAG:Ce3+ beta-SiALON Phosphor 원문보기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한국태양광발전학회논문지, v.8 no.2, 2020년, pp.50 - 53  

배효정 (광전자융합기술연구소, 전남대학교) ,  이대장 ((주)유제이엘) ,  차안나 (화학공학부, 전남대학교) ,  주진우 (레이저센터, 광기술원) ,  문영부 ((주)유제이엘) ,  하준석 (화학공학부, 전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N based photoelectrode has shown good potential owing to its better chemical stability and tunable bandgap with materials such as InN and AlN. Tunable bandgap allows GaN to make the maximum utilization of solar spectrum, which could improve photoelectrode performance. However, the problems about l...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nGaN 광전극의 광전류에 미치는 형광체의 효과를 보기 위하여 IPCE를 평가하였다. Fig.
  • 위 형광체들을 GaN 기반의 광전극에 응용하였을 때의 광전기화학적 특성 평가에 대한 연구 결과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ED에서 주로 쓰이고 있는 G, R, Y 형광체들을 GaN 기반 광전기화학 전지에 도입하였을 때의 광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된 형광체는 기존에 GaN 기반 광전극이 흡수하지 못하는 태양광 에너지를 흡수하여 각 형광체가 가지는 파장대의 에너지를 재방출함으로써 GaN 기반의 광전극의 태양광 흡수 효율을 개선하여, 수소 생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형광체란? 형광체는 기본적으로 빛을 흡수하고 이온을 지지하는 모체와 실질적으로 발광 과정에 관여하여 방출되는 광의 에너지의 준위를 결정하는 활성이온으로 구성된 물질로, 광에너지를 흡수하여 특정한 파장대의 형태로 재방출하는 물질이다. 물질에 따라 변환되는 파장대 영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적절한 형광체를 활용하면, 임의로 원하는 영역의 광 에너지 양을 조절할 수있기 때문에 이미 태양전지 분야에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LED (Light Emitting Diode) 분야에서 백생광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형광체는? LED (Light Emitting Diode) 분야에서 백색광을 구현하는데 주로 SiAlON (Green: G), CaSiN (Red: R), Y3Al5O12 (Yellow:Y) 형광체가 사용된다. 위 형광체들을 GaN 기반의 광전극에 응용하였을 때의 광전기화학적 특성 평가에 대한 연구 결과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GaN를 기반으로 한화합물 반도체가 자외선 영역을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4 eV를 밴드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로 자외선 영역을 이용한다. 이 경우 입사된 태양광이 광흡수층을 통과하면서 밴드갭 에너지 이하의 에너지파장대역에서 광흡수 손실이 발생하며, 이는 낮은 태양광 변환효율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GaN 광전극의 태양광흡수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전파장의 태양광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광전기화학 전지 구조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ou, Y., Yu, X., Syed, Z. A., Shen, S., Bai, J., Wang, T., "GaN Nano-Pyramid Arrays as an Efficient Photoelectrode for Solar Water Splitting," Nanotechnology, Vol. 27, No. 45, 455401, 2016. 

  2. Kamimura, J., Bogdanoff, P., Abdi, F. F., Lahnemann, J., Van De Krol, R., Riechert, H., Geelhaar, L., “Photo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GaN Photoanodes with Cobalt Phosphate Catalyst for Solar Water Splitting in Neutral Electrolyte,” J. Phys. Chem. C, Vol. 121, No. 23, pp. 12540-12545, 2017. 

  3. Winnerl, J., Hudeczek, R., Stutzmann, M., "Optical Design of GaN Nanowire Arrays for Photocatalytic Applications," J. Appl. Phys., Vol. 123, No. 20, 203104, 2018. 

  4. Winnerl, J., Kraut, M., Artmeier, S., Stutzmann, M., “Selectively Grown GaN Nanowalls and Nanogrids for Photocatalysis: Growth and Optical Properties,” Nanoscale, Vol. 11, No. 10, pp. 4578-4584, 2019. 

  5. Zhang, Z., Qian, Q., Li, B., Chen, K. J., “Interface Engineering of Monolayer $MoS_2$ /GaN Hybrid Heterostructure: Modified Band Alignment for Photocatalytic Water Splitting Application by Nitridation Treatment,” ACS Appl. Mater. Interfaces, Vol. 10, No. 20, pp. 17419-17426, 2018. 

  6. Chu, S., Li, W., Yan, Y., Hamann, T., Shih, I., Wang, D., Mi, Z., "Roadmap on Solar Water Splitting: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Nano Futur., Vol. 1, No. 2, 022001, 2017. 

  7. Chu, S., Vanka, S., Wang, Y., Gim, J., Wang, Y., Ra, Y. H., Hovden, R., Guo, H., Shih, I., Mi, Z., “Solar Water Oxidation by an InGaN Nanowire Photoanode with a Bandgap of 1.7 EV,” ACS Energy Lett., Vol. 3, No. 2, pp. 307-314, 2018. 

  8. Shao, G., Lou, C., Xiao, D., "Enhancing the Efficiency of Solar Cells by Down Shifting YAG: $Ce^{3+}$ Phosphors," J. Lumin., Vol. 157, pp. 344-348, 2015. 

  9. Yoshimura, K., Annen, K., Fukunaga, H., Harada, M., Izumi, M., Takahashi, K., Uchikoshi, T., Xie, R. J., Hirosaki, N., "Optical Properties of Solid-State Laser Lighting Devices Using SiAlON Phosphor-Glass Composite Films as Wavelength Converters," Jpn. J. Appl. Phys., Vol. 55, no. 4, 042102, 2016. 

  10. Ho Ryu, J., Park, Y. G., Sik Won, H., Hyun Kim, S., Suzuki, H., Yoon, C. "Luminescence Properties of $Eu^{2+}$ -Doped ${\beta}-Si_{6-Z}Al_zO_zN_{8-z}$ Microcrystals Fabricated by Gas Pressured Reaction," J. Cryst. Growth, Vol. 311, No. 3, pp. 878-882, 2009. 

  11. Ivaturi, A., Macdougall, S. K. W., Martin-Rodriguez, R., Quintanilla, M., Marques-Hueso, J., Kramer, K. W., Meijerink, A., Richards, B. S., "Optimizing Infrared to near Infrared Upconversion Quantum Yield of ${\beta}-NaYF_4:Er^{3+}$ in Fluoropolymer Matrix for Photovoltaic Devices," J. Appl. Phys., Vol. 114, No. 1, 013505, 2013. 

  12. Solodovnyk, A., Forberich, K., Stern, E., Krc, J., Topic, M., Batentschuk, M., Lipovsek, B., Brabec, C. J., "Highly Transmissive Luminescent Down-Shifting Layers Filled with Phosphor Particles for Photovoltaics," Opt. Mater. Express, Vol. 5, No. 6, p. 1296, 2015. 

  13. Hirosaki, N., Xie, R. J., Kimoto, K., Sekiguchi, T., Yamamoto, Y., Suehiro, T., Mitomo, M., “Characterization and Properties of Green-Emitting ${\beta}$ -SiAlON: $Eu^{2+}$ Powder Phosphors for White Light-Emitting Diodes,” Appl. Phys. Lett., Vol. 86, No. 21, pp. 1-3, 2005. 

  14. Kimoto, K., Xie, R. J., Matsui, Y., Ishizuka, K., Hirosaki, N., “Direct Observation of Single Dopant Atom in Light-Emitting Phosphor of ${\beta}$ -SiAlON: $Eu^{2+}$ ,” Appl. Phys. Lett., Vol. 94, No. 4, pp. 3-6, 2009. 

  15. Chen, L., Chu, C. I., Liu, R. S., “Improvement of Emission Efficiency and Color Rendering of High-Power LED by Controlling Size of Phosphor Particles and Utilization of Different Phosphors,” Microelectron. Reliab., Vol. 52, No. 5, pp. 900-904, 2012. 

  16. Takahashi, K., Yoshimura, K. I., Harada, M., Tomomura, Y., Takeda, T., Xie, R. J., Hirosaki, N., "On the Origin of Fine Structure in the Photoluminescence Spectra of the ${\beta}$ -Sialon $Eu^{2+}$ Green Phosphor," Sci. Technol. Adv. Mater., Vol. 13, No. 1, 015004,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