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고유종 남방종개 Iksookimia hugowolfeldi 후각기관의 형태 및 형태계측학적 연구
The Morphology and Morphometry of the Olfactory Organ of Southern King Spine Loach, Iksookimia hugowolfeldi (Cypriniformes, Cobitida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32 no.2, 2020년, pp.49 - 54  

김현태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전북대학교 부설 생물다양성연구소) ,  박종영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전북대학교 부설 생물다양성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고유종 남방종개 Iksookimia hugowolfeldi 후각기관의 형태 및 형태계측학적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실체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통계프로그램 SPSS로 분석하였다. 후각 기관의 외부 형태는 주둥이 좌우로 돌출된 튜브형의 전비공(직경 0.35~0.53 mm)과 눈모양의 후비공(장축 0.32~0.68 mm)으로 구성된다. 후각기관 내부에서는 14~21개의 후판으로 구성된 로제트 구조가 확인된다. 형태계측학적 분석에서 후판개수(수컷 vs. 암컷, 18±1.8 vs. 17±1.6)와 체장대비 후판개수 비율(24.2±1.3% vs. 21.7±2.5%)은 수컷이 암컷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체장과 후판은 수컷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P<0.001)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남방종개의 후각기관 특징은 서식처 바닥의 모래를 파고 숨는 저서성 생활의 적응과 암수 간 생식에서의 후각의존성 차이를 반영하는 결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rphometry and morphology of the olfactory organ of the southern king spine loach Iksookimia hugowolfeldi were investigated by stereo microscopy and statistical analysis. Its external morphology consists of two holes, the anterior and posterior nostrils. The anterior nostril (0.35~0.53 mm in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남방종개는 현재 우리나라에만 서식하는 한국 고유어종 68종 중 한 종으로서 고유종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새로운 보고는 국가의 생물학적 고유주권을 확립하고 종 보전을 위한 의미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하는 것으로 최근 평가되고 있다(NIBR, 2013).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남방종개 후각기관에 관한 형태를 묘사하고 암수 차이, 개체 크기 변화에 따른 후판(olfactory lamellae)의 증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형태계측학적 분석(morphometricalanalysis)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방종개의 서식처 환경 및 산란기는 언제인가? 남방종개 the southern king spine loach Iksookimia hugowolfeldi는 잉어목 (Cypriniformes) 미꾸리과 (Cobitidae)에 속하는 한국 고유종으로서 영산강과 탐진강, 그리고 전라남도 서·남해안으로 유입되는 소하천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또한 본종은 유속이 느리고 바닥에 자갈이나 모래가 깔린 서식처 환경을 선호하며 산란기는 5~6월로 알려져 있다(Kim and Park, 2002). 그동안의 남방종개에 관한 연구는 난막 구조(Park andKim, 2001), 핵형(Kim et al.
남방종개의 정의 및 분포지역은 무엇인가? 남방종개 the southern king spine loach Iksookimia hugowolfeldi는 잉어목 (Cypriniformes) 미꾸리과 (Cobitidae)에 속하는 한국 고유종으로서 영산강과 탐진강, 그리고 전라남도 서·남해안으로 유입되는 소하천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또한 본종은 유속이 느리고 바닥에 자갈이나 모래가 깔린 서식처 환경을 선호하며 산란기는 5~6월로 알려져 있다(Kim and Park, 2002).
어류의 후각기관의 역할은 무엇인가? 어류의 후각기관(olfactory organ)은 서식처 환경의 외부 화학적 분자 (chemical odors)에 의한 변화들을 인지하는 생체 내 감지기관 (chemical-signal receptor)으로서 먹이탐지 (preydetection), 섭이행동 (feeding behavior), 적합한 서식처 인지(cognition of a suitable habitat), 생식(reproduction), 동종인식(species recognition), 포식자 회피(predator avoidance) 그리고 이주와 회유(migration and homing)와 같은 다양한 생태적 행동들을 유발시킨다(Hara, 1986). 일반적으로 경골어류는 다양한 서식처 환경(aquatic habitat milieu)에 적응한 결과로서 각종마다의 고유한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를 갖게 되는 데, 이러한 다양성과 함께 후각기관의 형태, 조직 및 조직화학적 성질들은 종들의 후각의존성 (olfactory dependence), 유영형태(swimming pattern), 그리고 서식처의 물리적 특성에 깊이 관련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Yamamoto, 1982;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ird, R.C., G.Y. Jumper and E.E. Gallaher. 1990. Sexual dimorphism and demography in two species of oceanic midwater fishes (Stomiiformes: Sternoptychidae) from the eastern Gulf of Mexico. Bull. Mar. Sci., 47: 561-566. 

  2. Caruso, J.H. 1975. Sexual dimorphism of the olfactory organs of lophiids. Copeia, 1975: 380-381. 

  3. Cox, J.P. 2008. Hydrodynamic aspects of fish olfaction. J. R. Soc. Interface, 5: 575-593. https://doi.org/10.1098/rsif.2007.1281. 

  4. Hara, T.J. 1986. Role of olfaction in fish behaviour. In: Hara, T.J. (ed.), The Behaviour of Teleost Fish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MD. 

  5. Hara, T.J. and B. Zielinski. 1989. Structural and functional development of the olfactory organ in teleosts. Trans. Am. Fish. Soc., 118: 183-194. 

  6. Kasumyan, A.O. 2004. The olfactory system in fish: structure, function, and role in behavior. J. Ichthyol., 44: S180. 

  7. Kim, H.T. 2018. A comparative anatom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of 17 fishes in South Korea. Ph.D. Dissertation Chonbuk Nat'l Univ., Korea, 175pp. 

  8. Kim, H.T. and J.Y. Park. 2018. Functional anatomy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torrent catfish, Liobagrus somjinensis (Siluriformes, Amblycipitidae). Korean J. Ichthyol., 30: 65-68. 

  9. Kim, H.T., S.W. Yun and J.Y. Park. 2019a. Anatomy, histology, and histochemistry of the olfactory organ of the Korean shuttles mudskipper Periophthalmus modestus. J. Morphol., 280: 1485-1491. https://doi.org/10.1002/jmor.21044. 

  10. Kim, H.T., S.W. Yun, Y.J. Lee and J.Y. Park. 2019b. Morphology, histology, and histochemistry of the olfactory organ in Korean endemic fish, Rhodeus uyekii (Pices, Cyprinidae). Korean J. Ichthyol., 31: 123-130. 

  11. Kim, H.T., Y.J. Lee and J.Y. Park. 2016. An anatomical and histochemical study of the olfactory organ in rice-fish Oryzias sinensis (Pisces: Adrianichthyidae) in South Korea. Korean J. Ichthyol., 28: 223-228. 

  12.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pp. 66-67. 

  13. Kim, I.S., E.K. Choi, H. Yang and M.H. Koh. 2003. Karyotype Analysis of Southern Spined Loach, Iksookimia hugowolfeldi(Pisces, Cobitidae). Korean J. Ichthyol., 15: 127-129. 

  14.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 Co., Seoul, 615pp. 

  15. Kim, P., J.H. Han and S.L. An. 2020.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Iksookimia hugowolfeldi and its phylogenetic position within genus Iksookimia. Mitochondrial DNA Part B, 5: 860-861. https://doi.org/10.1080/23802359.2020.1715292. 

  16. Ko, M.H. and I.C. Bang. 2016.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the Korean Southern Spine Loach, Iksookimia hugowolfeldi (Pisces: Cobitidae). Korean J. Ichthyol., 28: 156-163. 

  17. Mokhtar, D.M. and H.H. Abd-Elhafeez. 2014. Light-and electron-microscopic studies of olfactory organ of Red-tail shark, Epalzeorhynchos bicolor (Teleostei: Cyprinidae). J. Micro. Ultrast., 2: 182-195. https://doi.org/10.1016/j.jmau.2014.05.003. 

  18. NIBR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3. Inventory and management of endemic spec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147pp. 

  19. Park, C.W., H.S. Kim, J.G. Kim, S.W. Yun, H.T. Kim, J.S. Park. W.S. Choi, Y.J. Cho and J.Y. Park. 2016. Micro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ndemic cobitid species Iksookimia hugowolfeldi inhabited at Geogeum island and Jangheung-gun in Korea. Korean J. Ichthyol., 28: 35-40. 

  20. Park, C.W., J.G. Kim, S.W. Yun, H.T. Kim, J.S. Park, W.S. Choi, Y.J. Cho, Y.J. Lee and J.Y. Park. 2018. Habitat, diet, feeding and resting behaviour of the Korean endemic cobitid Iksookimia hugowolfeldi (Cobitidae, Pisces) in the wild. Folia Zoologica, 67: 1-8. https://doi.org/10.25225/fozo.v67.i1.a2.2018. 

  21. Park, J.Y. 1996. A morphological study on the gonad of the species in the family Cobitidae (Pisces: Cypriniformes) from Korea. Ph.D.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158pp. 

  22. Park, J.Y. and I.S. Kim. 2001. Fine structures of oocyte envelopes of three related cobitid species in the genus Iksookimia (Cobitidae). Ichthyol. Res., 48: 71-75. https://doi.org/10.1007/s10228-001-8118-5. 

  23. Waryani, B., R. Dai, Y. Zhao, C. Zhang and A.R. Abbasi. 2013a. Surface ultrastructure of the olfactory epithelium of loach fish, Triplophysa dalaica (Kessler, 1876) (Cypriniformes: Balitoridae: Nemacheilinae). Italian J. Zool., 80: 195-203. https://doi.org/10.1080/11250003.2013.771711. 

  24. Waryani, B., Y. Zhao, C. Zhang, R. Dai and A.R. Abbasi. 2013b. Anatomical studies of the olfactory epithelium of two cave fishes Sinocyclocheilus jii and S. furcodorsalis (Cypriniformes: Cyprindae) from China. Pakistan J. Zool., 45: 1091-1101. 

  25. Yamamoto, M. 1982. Comparative morphology of the peripheral olfactory organs in teleosts. In: Hara, T.J. (ed.), Chemoreception in fishes. Elsevier, Amsterdam, pp. 39-59. 

  26. Zeiske, E., J. Kux and R. Melinkat. 1976. Development of the olfactory organ of oviparous and viviparous cyprinodonts (Teleostei) 1. J. Zool. Syst. Evol. Res., 14: 34-40. 

  27. Zeiske, E,, B. Theisen and H. Breucher. 1992 Structure, development, and evolutionary aspects of the peripheral olfactory system. In: Hara, T.J. (ed.). Fish chemoreception. Springer, Netherlands, pp. 13-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