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DrySAT-WFT 모형을 활용한 전국 하천건천화 분석: 전국 5대강 댐·보 유역의 유입량을 중심으로
Analysis of National Stream Drying Phenomena using DrySAT-WFT Model: Focusing on Inflow of Dam and Weir Watersheds in 5 River Basin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3 no.2, 2020년, pp.53 - 69  

이용관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정충길 (영산강홍수통제소 예보통제과) ,  김원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 ,  김성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업화와 도시개발로 인한 불투수층 면적의 증가는 수문순환 체계를 왜곡시켜 심각한 건천화를 야기한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 건천화의 정량적인 평가 및 예측이 가능한 하천건천화 영향평가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수문모형(Drying Stream Assessment Tool and Water Flow Tracking, DrySAT-WFT)과 시계열 GIS자료를 활용하여 전국 5대강 유역의 댐·보 유역을 대상으로 하천유입량 감소원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5개 하천건천화 영향요소(토양침식, 산림성장, 도로-하천 단절, 지하수이용, 도시개발)를 선정하여 1976년부터 2015년까지 GIS 기반의 시계열 공간자료를 연대별로 구축하였다. DrySAT-WFT는 2005~2015년까지 8개의 다목적댐(충주댐, 소양강댐,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 섬진강댐, 주암댐, 용담댐) 및 4개의 유량 관측지점(오수천, 미호천, 마륵, 초강)에 대해 하천유량 검보정을 실시하였고, 검보정 결과 결정계수(R2)는 평균 0.76(0.66~0.84), Nash-Sutcliffe 모형효율은 평균 0.62(0.52~0.72)의 값을 보였다. 이를 토대로 2010년대(2006~2015)의 기상조건을 기준으로 연대별(1980년대: 1976~1985, 1990년대: 1986~1995, 2000년대: 1996~2005, 2010년대: 2006~2015) GIS자료를 이용하여 댐·보 유역의 하천유입량 변화를 계산하므로서 각 영향요소별 하천유입량 감소 기여비율을 산정하였다. 모의결과, 1980년대를 기준으로 5대강 유역평균 2010년대 풍수량(Q95)은 4.1~6.3%의 감소율을 보였고, 평수량(Q185)은 6.7~9.1%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갈수량(Q355)은 8.4~10.4%의 감소율을 보였다. 하천건천화 영향요소 중에서 지하수 이용량의 증가로 인한 기저유량 감소(하천건천화 기여율: 40.5%)가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다음으로는 산림성장에 의한 증발산량 증가(하천건천화 기여율: 29.0%)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crease of the impermeable area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 development distorts the hydrological circulation system and cause serious stream drying phenomena. In order to manage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for impact assessment of stream drying phenomena, which enables...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Jung et al., 2019)에서 모의한 결과를 기반으로 전국을 5대강 유역으로 구분하고, 각 5대강 유역의 댐·보 지점에 대하여 1980년대 대비 2010년대에 감소한 유입량과 감소 원인을 하천건천화 영향요소별 기여비율 분석을 통해 정량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의 정의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가뭄은 어느 지역의 인간생활 및 사회 경제 활동이나 동식물 생육에 피해를 가져올 정도로 강수량 부족이 장기화되는 것으로 정의되나(Lee et al., 2017), 건천화는 이와 달리 하천이 건천으로 되어가는 과정을 일컬으며, 수문학적으로는 갈수량 기준 이하이고 하천으로부터 필요수량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하천을 말한다(Jung et al.
금강유역은 어떻게 건천화 영향을 받는가? 셋째, 금강 유역은 한강 유역과 유사한 풍수량, 갈수량 변화를 보였으나, 건천화 기여율은 모든 댐·보 유역에서 지하수 이용량이 가장 큰 기여율을 보였고, 산림높이, 도로망, 토심, 토지 이용 변화의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보와 용담댐 유역의 경우 도로망보다 토심의 변화가 건천화에 더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유역 내 도로망의 분포가 다른 유역에 비해 적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건천화에 따른 하천수 부족이 주는 악영향은 무엇인가? 강우가 지표로 흡수되지 못하고 단기간 내에 유출되고 갈수기에는 지하수량 부족으로 이어지며, 하천에서 취수된 용수는 사용 후 하수도를 통해 하천 하류의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므로 중·소 하천의 수위가 떨어지고 수량이 고갈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건천화에 따른 하천수 부족은 용수확보 불가능, 수질오염 악화 등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여가 활용과 휴식 공간으로 활용을 위한 친수공간의 기능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도 내 저류시설 설치, 투수층 면적 확대 및 지하수 함양 등을 통해 수문순환계를 회복하여 하천의 안정적인 유지용수의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MST,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Gyonggi Research Institute(GRI). 2003.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drying streamflows in Kyonggi-do: 147-152 

  2. Jung, C.G., J.W. Lee, Y.G. Lee and S.J. Kim. 2019. Quantification of stream drying phenomena using grid-based hydrological modeling via long-term data mining throughout South Korea including ungauged areas. Water 11(3):477. 

  3. Jung, C.G., W.J. Jang and S.J. Kim. 2016. Spatial rainfall considering elevation and estimation of rain erosivity factor R in revised USLE using 1 minute rainfall data and program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9(4):130-145 

  4. Jung, K.S., H.S. Cho, J.Y. Kim and M.P. Shim. 2003. Analysis of drying streams characteristics using a G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6(6):1083-1095 

  5. Lee, J.W., Y.G. Lee and S.J. Kim. 2017. The possibility of drought expression by late march dryness in rice paddy areas using terra MODIS NDV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0(3):27-41 

  6. Lee, K.S., E.S. Chung and Y.O. Kim. 2006. Integrated approach for watershed management in an urban a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9(2):161-178 

  7. Lee, S.H., J.P. Park, J.M. Lee and H.S. Cho. 2003. A cause analysis on the reduction of stream flow for the Cheongdoche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6(6):1067-1080 

  8.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of Korea(MLTM), 2009. Study 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streamflows drying: 3-34-3-49 

  9.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Korea(MST). 2003. The 21st century frontier R&D program -sustainable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technology of sustainable surfacewater development: 938-942 

  10. Nash, J.E. and J.E. Sutcliffe.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ough conceptual models: Part I, 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10(3):282-290. 

  11. Park, Y.S., H.S. Jung, Y.S. Shin and J.M. Hong. 2001. Prevention measures for stream drying of Dorim-cheon. Korea Institute for Environmetal and Social Policy: 14-15 

  12. Rural Research Institute(RRI). 2006. A study on causative factors of drying stream in rural area.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89-90 

  13. Seo, Y.M., Y.M. Lee, S.Y. Lee, H.K. Jee and S.T. Lee. 2004. Restoration technics of aquatic ecosystem for stream through alluvium.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1340-1344 

  14. Yi, C.S., S.A. Choi, H.S. Kim and M.P. Shim. 2004. Cause analysis on dry of stream flow for the Ui-Cheon.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753-758 

  15. Yoo, J.H., K.H. Kim, Y.G. Park, G.H. Lee, S.J. Kim and C.H. Jung. 2018. A study on the use of GIS-based time series spatial data for streamflow depletion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1(4):50-6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