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계열 UAV 영상을 활용한 연안지역 침식·퇴적 변화 모니터링
Erosion and Sedimentation Monitoring of Coastal Region using Time Series UAV Image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3 no.2, 2020년, pp.95 - 105  

조기성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현재혁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근상 (전주비전대학교 지적토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효율적인 연안관리 업무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지형의 특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격포해수욕장을 대상으로 시계열 UAV 영상을 촬영하였으며, UAV 위치정확도 평가를 위해 VRS 측량성과와 비교한 결과 ±11cm(X), ±10cm(Y), ±15cm(Z)의 표준편차를 얻었으며 따라서 수치지도 작업규정상의 허용오차를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UAV 영상을 통해 구축한 수치표면모델을 이용하여 침식 및 퇴적 변화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2018년 6월과 2018년 12월 사이에는 평균 0.01m의 퇴적이 발생하였으며, 2018년 12월과 2019년 6월 사이에는 0.03m의 침식이 발생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2018년 6월과 2019년 6월 사이에는 전체적으로 0.02m의 침식이 발생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시계열로 분석한 지형변화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침식 및 퇴적 높이 구간별 면적을 분석한 결과 ±0.5m 구간에서 침식과 퇴적면적이 가장 넓게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계열적 UAV 영상을 이용한 3차원 지형 모델링 성과를 활용하여 해안지역의 지형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한다면 양빈이나 준설 등과 같은 연안관리 업무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promote efficient coastal management,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monit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rain, which are changed by various factors. In this study, time series UAV images were taken of Gyeokpo beach.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11cm(X), ±10cm(Y), and &...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밀한 연 안지형을 판독하기 위해 이용되는 UAV 정사영 상과 DSM의 위치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VRS (Virtual Reference Service) 측량을 실시하여 평면 및 수직오차를 검증하였다. 또한 시계열 DSM 자료를 공간적으로 연산하여 침식 및 퇴적변화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안관 리 업무에 필요한 의사결정 자료를 지원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추진 프로세스는 그림 1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UAV 영상을 활용하여 연안지역의 침식・퇴적변화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기간별 지형의 수직변화를 비롯하여 침식・퇴적 구간별 분포면적을 분 석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양빈이나 준설사업 등과 같은 다양한 연안관리 업무를 추진하는데 필요한 3차 원 지형자료 기반의 침식 퇴적 변화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6 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총 3회에 걸쳐 촬영한 UAV 영상에 대해 지상기준점(Ground Control Point) 성과를 연계하여 정사영상과 DSM을 생 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안지형을 파악하기 위 한 3차원 지형모델링을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계열로 분석한 지형변화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침식 및 퇴적 높이 구간별 면적을 분석한 결과 ±0.5m 구간에서 알 수 있는 점은 무엇인가? 그리고 시계열로 분석한 지형변화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침식 및 퇴적 높이 구간별 면적을 분석한 결과 ±0.5m 구간에서 침식과 퇴적면적이 가장 넓게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계열적 UAV 영상을 이용한 3차원 지형 모델링 성과를 활용하여 해안지역의 지형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한다면 양빈이나 준설 등과 같은 연안관리 업무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해안은 어떤 공간적 구조를 가지고 있나? 해안은 일정한 형태의 고정된 지형이 아니라 주변지역의 지형특성이나 해류에 의해 침식과 퇴적이 반복되어 지형이 변화하는 공간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간척지 조성이나 무분별한 연안 개발 및 훼손 등으로 주변 지역의 지형이 크게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해안선 변화나 해안사구의 유실 등이 발생하고 있다.
시계열 UAV 영상을 활용하여 격포 해수욕장에 대한 침식·퇴적 분포 등 지형변화를 평가를 하였을때, 어떤 연안관리 업무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가?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계 열적 UAV 영상을 이용한 3차원 지형모델링 성과를 활용하여 해안지역의 지형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한다면 양빈이나 준설 등과 같은 연안관 리 업무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rtur, W., Przemyslaw, K., Bartosz, M. and Izabela, P. 2019. The use of TLS and UAV methods for measurement of the repose angle of granular materials in terrain conditions. Measurement 146:780-791. 

  2. Chiabrando, F., Nex, F., Piatti, D. and Rinaudo, F. 2011. UAV and PRV systems for photogrammetric surveys in archaelogical areas: two tests in the Piedmont region (Ital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8:697-710. 

  3. Dalamagkidis, K., Valavanis, K.P. and Piegl, L.A. 2008. On unmanned aircraft systems issues, challenges and operational restrictions preventing integration into the National Airspace System. Progress in Aerospace Sciences 44(7-8):503-519. 

  4. Emre, A. and Arif, O.A. 2019. Accuracy assessment of a low-cost UAV derived digital elevation model(DEM) in a highly broken and vegetated terrain. Measurement 136:382-386. 

  5. Jang, D.H., K.H. Chi and H.Y. Lee. 2002. Classification of tidal flat deposits in the cheongsu-bay using multi-spectral satellite data and measurement data of spectral reflectance.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9(1):1-14 

  6. Kang, D.K. and Seo, J.C. 2012.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dune using by periodical measurements.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9(2):69-79 

  7. Lee, C.G., Kim, B.W. and Kim, N.Y. 2007. Investigation of shoreline change by photogrammetric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5(2):15-23 

  8. Lee, G.S., Choi, M.K., Yu, W.S. and Jung, K.S. 2019. Creation of river terrain data using region growing method based on point cloud data from UAV photography. Quaternary International 519(10):255-262. 

  9. Lee, G.S. and Choi, Y.W. 2015. Landslide hazard evaluation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based on UAV and infinite slope stability model.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45(2):161-173 

  10. Lee, G.S., Choi, Y.W. and Lee, J.J. 2016. Building of 3D terrain modeling and evaluation of location accuracy using UAV in beach area.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8(2):207-216 

  11. Lee, H.S. and Kim, I.H. 2007. Data acquisition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er and RTK-GPS for implementation of beach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2):1-10 

  12.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09. Creation work law of digital map (2009-590) 

  13. Rhee, S.A., Kim, T.J., Kim, J.I., Kim, M.C. and Chang, H.J. 2015. DSM generation and accuracy analysis from UAV images on river-side faciliti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1(2):183-191 

  14. Shikai, S., Yu, P., Chenglong, H. and Yun, D. 2020. Efficient path planning for UAV formation via comprehensively improve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ISA Transactions 97:415-430. 

  15. Shin, D.S. and Seo, J.C. 2011. The short-term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dune using by terrestrial LIDAR.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8(4):283-296 

  16. We, G.J. and Jeong, J.W. 2006. Development of shoreline extraction algorithm using airborne LiDAR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4(2):209-215 

  17. Wojciech, G., Wojciech, M. and Pawel, C. 2017. Comparison of low-altitude UAV photogrammetry with terrestrial laser scanning as data-source methods for terrain covered in low vegetation.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126:168-179. 

  18. Yu, G.B. 2007. Coastal protection. Hanwul Academy, pp.1-4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