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동피를 포함한 생약복합제제 HP-04의 퇴행성 골관절염에 대한 항염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Herbal Complex HP-04 on Degenerative Osteoarthritis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51 no.2, 2020년, pp.122 - 130  

조형권 ((유)한풍제약) ,  김대성 ((유)한풍제약) ,  김정영 (조선대학교 식품의약학과) ,  박영미 ((주)인비보) ,  신동엽 ((주)인비보) ,  이학용 ((주)인비보) ,  김훈 (건양대학교 제약생명공학과) ,  이동성 (조선대학교 식품의약학과) ,  조성완 (건양대학교 제약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n Degenerative Osteoarthriti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ized and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 groups. We measured weekly weight change, dietary intake, drinking water intake, blood analysis like TNF-α (tumor necrosis fac...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 보호 및 항궤양 효과와 대장염 억제 효과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10,11) 본 연구에서는 상기 6가지 생약을 일 정 비율로 혼합한 해동피 추출물 등 복합물(HP-04)의 퇴행성 골 관절염에 대한 효과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MIA로 유도한 골 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염증 억제 효능과 관절염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 유의미한 결과를 얻어 보고하고자 한다.
  • 2-4) 이러한 기존 약물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보다 안전성이 뛰어난 천연물을 활용한 치료제 및 건강식품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5-7) 본 연구에서는 관절염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생약 조 성물을 도출하기 위하여 항염, 진통, 사이토카인 억제, 면역 기능 조절, 골관절염 및 류마티스 관절염에 효능이 보고된 생약을 조사하여 신규 조합물을 도출하였다. 신규 조합물 은 6가지 생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해동피(Kalopanax pictus Nakai)는 두릅나무과 음나무(Kalopanax pictus Nakai) 의 나무껍질로써 동의보감에서는 허리나 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과 마비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고 하였으며, 거풍습(祛風濕), 통경락(通經絡)의 대표적인 약재로써 무릎, 허리, 관절 등 사지 저림과 통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었고 해동피의 성분으로서 사포닌인 kalopanaxsaponin들과 liriodendrin, syringin 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으며, 1,2)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진통 및 항염 효과를 보고하였다.
  • 본 연구는 해동피추출물 등 복합물(HP-04)이 골 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골 관절염 유발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MIA를 주사하여 골 관절염을 유발시킨 후 HP-04를 경구 투여하고 혈액 및 관절, 조직 등을 이용하여 골 관절염 유발 인자들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 관절염이란? 골 관절염이란 뼈의 끝부분을 덮고 있어 뼈를 보호해주는연골이 닳아서 없어지는 상태를 가리키는 말로, 관절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이며, 나이가 들면서 증가하기 때문에 퇴행성 관절염 이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40세에 이르면 대부분에서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며 60세 이상이 되면 50% 이상에서 퇴행성 관절염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때 관절의 병변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아직 그 원인에 대해 기전이 명확하게 규명이 되지 않고 있으나 선천적 결함이나 외부 자극으로 인한 연골 세포의 손상 등으로 일부 설명 될 수 있다.
골 관절염이 일어나는 이유는? 골 관절염이란 뼈의 끝부분을 덮고 있어 뼈를 보호해주는연골이 닳아서 없어지는 상태를 가리키는 말로, 관절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이며, 나이가 들면서 증가하기 때문에 퇴행성 관절염 이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40세에 이르면 대부분에서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며 60세 이상이 되면 50% 이상에서 퇴행성 관절염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때 관절의 병변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아직 그 원인에 대해 기전이 명확하게 규명이 되지 않고 있으나 선천적 결함이나 외부 자극으로 인한 연골 세포의 손상 등으로 일부 설명 될 수 있다. 1) 현재 퇴행성 관절염의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없으나 관절염 환자의 치료는 대증 요법으로서 통증 및 연골 손상을 억제하는 acetaminophen, ibuprofen, indomethacin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약물들은 cyclooxygenase-2(COX-2)의 활성을 억제하고 prostaglandin E2의 합성을 감소시켜 항염 작용과 통증 억제 작용을 하지만 이 약물들은 소화기계, 신장, 심혈관계 및 혈액 응고 기전 등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장기 복용 시 속쓰림과 위출혈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의 부작용은? 일반적으로 40세에 이르면 대부분에서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며 60세 이상이 되면 50% 이상에서 퇴행성 관절염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때 관절의 병변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아직 그 원인에 대해 기전이 명확하게 규명이 되지 않고 있으나 선천적 결함이나 외부 자극으로 인한 연골 세포의 손상 등으로 일부 설명 될 수 있다. 1) 현재 퇴행성 관절염의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없으나 관절염 환자의 치료는 대증 요법으로서 통증 및 연골 손상을 억제하는 acetaminophen, ibuprofen, indomethacin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약물들은 cyclooxygenase-2(COX-2)의 활성을 억제하고 prostaglandin E2의 합성을 감소시켜 항염 작용과 통증 억제 작용을 하지만 이 약물들은 소화기계, 신장, 심혈관계 및 혈액 응고 기전 등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장기 복용 시 속쓰림과 위출혈 등을 유발할 수 있다.2-4) 이러한 기존 약물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보다 안전성이 뛰어난 천연물을 활용한 치료제 및 건강식품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최근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azuko, S., Shuichi S., Yoshiteru, I. and Junzo, S. (1991)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bark of Kalopanax pictus Nakai. Chem. Pharm. Bull. 39: 865-870. 

  2. Shao, C. J., Kasai, R., Ohtani, K., Xu, J. D. and Tanaka, O. (1989) Saponins from Leaves of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 Structures of Kalopanax-saponins La, Lb and Lc. Chem. Pharm. Bull. 37: 3251-3254. 

  3. Choi, J., Huh, K., Kim, S. H., Lee, K. T., Park, H. J. and Han, Y. N. (2002) Antinociceptive and anti-rheumatoidal effects of Kalopanax pictus extract and its saponin components in experimental animals. J. Ethnopharmacol. 79: 199-204. 

  4. Du, H., Wu, J., Li, H., Zhong, P. X., Xu, Y. J., Li, C. H., Ji, K. X. and Wang, L. S. (2013) Polyphenols and triterpenes from Chaenomeles fruits: Chemical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ies assessment. Food. Chem. 141: 4260-4268. 

  5. Jeong, S. Y., Kim, H. M., Lee, K. H., Kim, K. Y., Huang, D. S., Kim, J. H. and Seong, R. S. (2015) Quantitative analysis of marker compounds in Angelica gigas, Angelica sinensis and Angelica acutiloba by HPLC/DAD. Chem. Pharm. Bull. 63: 504-511. 

  6. Kwon, J. H., Han, M. S., Lee, B. M. and Lee, Y. M. (2015) Inhibitory effect of Angelica gigas extract powder on induced inflammatory cytokines in rats osteoarthritis. Anal. Sci. Technol. 28: 260-269. 

  7. Liu, G., Zhao Z., Shen, M., Zhao, X., Xie, J., He, X. and Li, C. (2020) A review of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the genus Saururus. Am. J. Chin. Med. 48: 47-76. 

  8. Sham, T. T., Yuen, A. C., Ng, Y. F., Chan, C. O., Mok, D. K. and Chan, S. W. (2013) A review of the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raphani semen.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 1-16. 

  9. Li, Y., Yang, W., Zhu, Q., Yang, J. and Wang, Z. (2015) Protective effects on vascular endothelial cell in N'-nitro-L-argi-nine (L-NNA)-induced hypertensive rats from the combination of effective components of Uncaria rhynchophylla and Semen Raphani. Biosci. Trends. 9: 237-244. 

  10. al-Yahya, M. A., Rafatullah, S., Mossa, J. S., Ageel, A. M., Parmar, N. S. and Tariq, M. (1989) Gastroprotective activity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 in albino rats. Am. J. Chin. Med. 17: 51-56. 

  11. Kim, S. J., Kim, S. H., Lim, Y. L., Kim, Y. G. and Park, K. Y. (2014) Inhibitory effects of ginger and beopje ginger on DSS-induced colitis in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477-484. 

  12. Yang, H. J., Kim, M. J., Qiu, J. Y., Zhang, T., Wu, X., Jang, D. J. and Park, S. (2019). Rice porridge containing welsh onion root water extract alleviates osteoarthritis-related pain behaviors, glucose levels, and bone metabolism in osteoarthritis-induced ovariectomized rats. Nutrients. 11: 15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