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채취지역에 따른 미역취 정유의 화학적 성분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s from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with Different Harvesting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3 no.3, 2020년, pp.257 - 265  

최향숙 (경인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olatile flavor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from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with different harvesting area. The essential oils obtained by the hydro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from the aerial parts of the plant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2-carene의 유도체인 4-hydroxymethyl-2-carene은 꽃향기와 과일향기에 기여하며, 이것의 아세테 이트는 herb-flower note에 기여한다고 하였다. 또한 멘톨을 합성하는 데에 (+)-3-carene을 사용함을 설명하는 등 carene 및 carane 유도체들을 이용한 향기 물질의 합성에 관해 보고 함으로써 carene 화합물의 향기산업에서의 중요성을 설명한바 있다. 또한 Uzarewicz 등(2000)은2-carene의 염소화 방법을 통하여 향기산업에 유용한 p-cymene, 1-isopropylene-4-methylbenzene 및 디테르펜을 생성할 수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 식품의 향기성분은 채취지역, 식용부위, 추출방법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채류의 향기성분은 구매 시 소비자들에게 중요한 선정 요인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라도와 제주도 두 지역에 서식하는 미역취로부터 정유성분을 추출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함으로써 향기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고흥산 미역취의 정유로부터 총 95종의 화합물(994.
  • 그러나 취나물에 대한 과학적인 성분 규명이나 화학적 조성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져 있지 않다(Tsuneatsu 등 1989; Hiroshi 등 1994; Hiroshi 등 1995; Jung 등 2007). 특히 미역취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고흥지역과 제주도 서귀포지역에서 채취한 미역취로부터 추출한 정유의 화학적 성분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향기성분은 식품 구매 시중요한 선정요인이 되므로, 정확한 향기성분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산채류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 특히 미역취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고흥지역과 제주도 서귀포지역에서 채취한 미역취로부터 추출한 정유의 화학적 성분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향기성분은 식품 구매 시중요한 선정요인이 되므로, 정확한 향기성분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산채류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고유 산채류의 식품소재로서의 활용도를 촉진하고, 새로운 신선 채소로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화학적 성분 등에 대한 체계화된 기초자료 조사가 수반되어야 하므로 본 연구는 새로운 식품소재 개발 및 국민 건강향상 측면에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국내 고유 식물자원인 산채류에 대한 인식 변화는?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한 개인의 건강 문제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건강에 이로운 자연 식품, 특히 야생에서 자란 식물성 식품소재의 기능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로 국내 고유 식물자원인 산채류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산채류의 경우 오래 전부터 건강식품으로 인식되고 있고, 산채류에 함유된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성분들을 중심 으로 항산화효과,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항돌연변이 효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Bae 등 2009).
미역취란 무엇인가? 미역취(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는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산과 들에 널리 자라는 높이 35~85cm인여러해살이 국화과 식물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가지를 뻗지 않는다.
미역취는 어떠한 약제로 활용가능한가?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자라는데 굵고 잔뿌리가 많으며, 꽃은 노란색으로 7~10월에 핀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민간에서 건위 및 이뇨제로 사용한다(Kim TJ 2009). 국화과 식물에는 우리나라 식생활에 상당히 중요한 산채류가 다수 포함되는데, 미역취, 개미취, 참취, 곰취, 한대리곰취, 수리취 등의 취나물류 외에도 쑥, 쑥부쟁이, 구절초, 민들레, 씀바귀 등도 국화과 식물이다(Kim TJ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l-Massarani SM. 2014. Phyt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sesquiterpene constituents from the marine red seaweed Laurencia: A review. Nat Prod Chem Res 2:1000147 

  2. Arctander S. 1969. Perfume and Flavor Chemicals. Allured Publishing Corporation Montclair 

  3. Arn H, Acree TE. 1998. Flavornet: A database of aroma compounds based on odor potency in natural products. Deve Food Sci 40:27 

  4. Bae JH, Yu SO, Kim YM, Chon SU, Kim BW, Heo BG. 2009. Physiologic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and their hyperplasia inhibition activity of cancer cell. J Bio-Environ Control 18:67-73 

  5. Baek JP, Mele MA, Choi IL, Yoon HS, Kim YS, Park WG, Kwon MC, Kang HM. 2015. Comparison of internal quality and volatile aromatic compounds in several Ligularia spp. Protected Hort Plant Fac 24:21-26 

  6. Cho IH. 2015. Volatile compounds of ginseng (Panax sp.):A review. Appl Biol Chem 58:67-75 

  7. Choi HS. 2012. A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haracteristics of chwi-namuls by terpenoid analysis. Korean J Food Nutr 25:930-940 

  8. Choi HS. 2016a. Chemical composition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ce Kitamura and the quantitative changes of major compounds by the harvesting season. Korean J Food Nutr 29:327-334 

  9. Choi HS. 2016b. Analysis of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Korean J Food Nutr 29:153-161 

  10. Choi HS. 2017. Analyse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etasites japonicus (S. et Z.) Maxim essential oil and composition of the major compounds by crop year. Korean J Food Nutr 30:156-165 

  11. Choi HS, Sawamura M. 2000.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of Citrus tamurana Hort. ex Tanaka (Hyuganatsu). J Agric Food Chem 48:4868-4873 

  12. Dalton DR. 2017. The Chemistry of Wine: From Blossom to Beverage and Beyond. Oxford University Press 

  13. Fremy E. 1842. Memoire sur les produits de la saponification de l'huile de palme. J Pharmacie Chim XII:757 

  14. Heath HB, Reineccius G. 1986. Flavor Chemistry and Technology. pp.2-157. Macmillan 

  15. Hiroshi M, Shinji N, Koichi T, Hideji I. 1994. Conformational analysis of an antitumor cyclic pentapeptide, astin B from Aster tataricus. Tetrahedron 50:11613-11622 

  16. Hiroshi M, Shinji N, Koichi T, Hideji I. 1995. Solution forms of antitumor cyclic pentapeptides with 3,4-dichlorinated proline residues, astins A and C, from Aster tataricus. Chem Pharm Bull 43:1395-1397 

  17. Jang MR, Seo JE, Lee JH, Chung MS, Kim GH. 2010. Antibacterial action against food-borne pathogens by the volatile flavor of essential oil from Chrysanthemum morifolium flower. Korean J Food Nutr 23:154-161 

  18. Jensen RG, Hagerty MM, McMahon KE. 1978. Lipids of human milk and infant formulas: A review. Am J Clin Nutr 31:990-1016 

  19. Juell SMK, Hansen R, Jork H. 1976. Neue Substanzen aus atherischen Olen verschiedener Artemisia-Species, 1. Mitt.:Spathulenol, ein azulenogener Sesquiterpenalkohol. Arch Pharm 309:458-466 

  20. Jung KH, Choe BK, Hong SJ, Ban JY, Uhm YK. 2007. Decrease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 production by Ixeris dentata extract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J Meridian Acupoint 24:139-148 

  21. Kim NH, Do ST, Shin CH, Yu KH, Jung MS, Jung JY, Chae KS, Choi MJ. 2017. Biochemistry for Life Science. pp. 110-118. Jigu 

  22. Kim TJ. 2009. Wilds Flowers and Resources Plants in Korea. pp.9-176.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er 

  23. Lee KC, Sa JY, Wang MH, Han SS. 2012. Comparison of volatile aroma compounds between Synurus deltoides and Aster scaber leaves. Korean J Med Crop Sci 20:54-62 

  24. Lee ES, Lee JH, Kim JK, Kim GS, Kim YO, Soe JS, Choi JH, Lee ES, Noh HJ, Kim SY. 2011.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Korean J Med Crop Sci 19:217-226 

  25. Mendes S, Savio Nunes D, Marques MB, Tardivo RC, Cechinel Filho V, Simionatto EL, Wisniewski Jr A. 2008. Essential oil of Baccharis semiserrata, a source of spathulenol. Publ UEPG Ci Exatas Terra Ci Agr Eng Ponta Grossa 14:241-245 

  26. Nishida R, Shelly TE, Whittier TS, Kaneshiro KY. 2000. ${\alpha}$ -Copaene, a potential rendezvous cue for the mediterranean fruit fly, Ceratitis capitata? J Chem Ecol 26:87-100 

  27. Oh MH, Whang HJ. 2003. Chemical composition of several herb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1-6 

  28. Park JH, Lee JW, Kim HJ, Lee IS. 2005. Effects of Solidago virga-aurea var. gigantea Miq. root extracts on the activity and differentiation of MC3T3-E1 osteoblastic cel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929-936 

  29. Peter KV. 2004. Handbook of Herbs and Spices Vol. 2. Woodhead 

  30. Sadowska H, Gora J. 1982. Synthesis and odor properties of carene and carane derivatives. Perfumer & Flavorist 7:52-56 

  31. Tsuneatsu N, Shizuko H, Hikaru O, Tatsuo Y. 1989.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Aster tataricus L.f. II. Structures of Aster saponins isolated from the root. Chem Pharm Bull 37:1977-1983 

  32. Uzarewicz A, Scianowski J, Bakowska-Janiszewska J. 2000. Reaction of (+0)-3-carene and (+)-2-carene with t-butyl hypochlorite or N-chlorsuccinimide in the presence of free radical catalysts. Polish J Chem 74:777-783 

  33. Zhang S, Won YK, Ong CN, Shen HN. 2005. Anti-cancer potential of sesquiterpene lactones: Bioactivity and molecular mechanisms. Curr Med Chem Anticancer Agents 5:239-249 

  34. Ziaei A, Ramezani M, Wright L, Paetz C, Schneider B, Amirghofran Z. 2011. Identification of spathulenol in Salvia mirzayanii and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Phytother Res 25:557-5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