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노 분말 복합체 형성을 통한 PVDF 기반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성능 향상 기술 동향
Recent Development in Performance Enhancement of PVDF-Nanopowder Composite-based Energy Harvesting Devices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27 no.3, 2020년, pp.247 - 255  

최건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박일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interest in technology for eco-friendly energy harvesting has been increasing.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is one of the most fascinating materials that has been used in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as well as micro-filters by utilizing an electrostatic effect. To enhance the performa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세라믹계, 탄소계, 무기금속 원소 및 금속 나노분말들을 이용하여 PVDF기반 나노 파이버 정전성 향상을 위한 나노제너레이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메커니즘들이 연구되었다. 그 중에서 본 논문에서는 PVDF에 ZnO[10], BaTiO3[11], ZnSnO3[12], Fe3O4[13], TiO2[14] 등의 무기물 나노 입자와 탄소나노튜브[15], 그래핀 양자점(graphene quantum dots; GQDs)[16]등의 탄소 나노 입자, 희토류 원소[17], silver nanowires[18] 등을 첨가하여 TENG 성능을 향상시켰던 서로 다른 메커니즘들에 대해 리뷰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들은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뿐 아니라, 향 후 응용이 가능한 정전성 나노 필터, 멤브레인 및 광촉매성 소재 등으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논문에서는 세라믹계부터 탄소계와 금속 나노 분말과의 복합화를 통해 PVDF 기반의 나노제너레이터의 성능향상 및 그 메커니즘 규명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에 관한 최신 연구들을 리뷰 하였다. 공통적으로 전기방사 과정에서 가해진 전기장에 의해 PVDF 소스 용액의 쿨롱 힘의 제어를 통해 나노 파이버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별 나노 파이버의 직경 변화에 의해 기인한 표면적 증가를 통해 나노제너레이터의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가설 설정

  • 5. The XRD pattern of (a) pristine PVDF and (b) TiO2/PVDF mats. (c) FT-IR spectra of PVDF powder and pristine PVDFand TiO2/PVDF ma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꾸준이 연구되는 배경은 무엇인가 최근 Internet of things(IoT) 기술 및 인공지능 기반 4차산업 혁명 기술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친환경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1-3]. 에너지 하베스팅이란 자연에서 버려지는 빛, 열, 기계적 에너지 등을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웨어러블 기기나 MEMS 등 IoT용 소형 소자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중 TENG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조건에 가장 부합할 수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중 하나로 정전 효과를 이용한 Triboelectric Nanogenerator(TENG)이 각광 받고 있다. TENG은 외부에너지원이 따로 필요하지 않으면서 일반적인 기계적 에너지는 물론이고 미세한 떨림도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3-6]. TENG 성능의 출력 향상을 위해서는 정전 효과를 일으키는 두 물질 간의 전자 친화도 차이가 커야 한다.
에너지 하베스팅이란 무엇인가 최근 Internet of things(IoT) 기술 및 인공지능 기반 4차산업 혁명 기술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친환경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1-3]. 에너지 하베스팅이란 자연에서 버려지는 빛, 열, 기계적 에너지 등을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웨어러블 기기나 MEMS 등 IoT용 소형 소자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최근 지구온난화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으로써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많은 주목을 받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Z. L. Wang: Sci. Am., 298 (2008) 82. 

  2. S. Chu, Y. Cui and N. Liu: Nat. Mater., 16 (2017) 16. 

  3. H. Yoon, H. Ryu and S. Kim: Nano Energy, 51 (2018) 270. 

  4. I. Park: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4 (2017) 102. 

  5. F. Fan, Z. Tian and Z. L. Wang: Nano Energy, 1 (2012) 328. 

  6. Z. L. Wang: Faraday Discuss., 176 (2015) 447. 

  7. D. Zhang, W. Liu, R. Guo, K. Zhou and H. Luo: Adv. Sci., 5 (2018) 1700512. 

  8. H. Luo, S. Chen, L. Liu, X. Zhou, C. Ma, W. Liu and D. Zhang: ACS Sustain. Chem. Eng., 7 (2018) 3145 

  9. Q. Zhang, V. Bharti and G. Kavarnos: Encyclopedia of Smart Materials, (2002). 

  10. J. Li, S. Chen, W. Liu, R. Fu, S. Tu, Y. Zhao, L. Dong, B. Yan and Y. Gu: J. Phys. Chem. C, 123 (2019) 11378. 

  11. K. Shi, B. Sun, X. Huang and P. Jiang: Nano Energy, 52 (2018) 153. 

  12. N. Soin, P. Zhao, K. Prashanthi, J. Chen, P. Ding, E. Zhou, T. Shah, S. C. Ray, C. Tsonos and T. Thundat: Nano Energy, 30 (2016) 470. 

  13. J. Im and I. Park: ACS Appl. Mater. Interfaces, 10 (2018) 25660. 

  14. M. M. Alam, A. Sultana and D. Mandal: ACS Appl. Energy Mater., 1 (2018) 3103. 

  15. H. Yu, T. Huang, M. Lu, M. Mao, Q. Zhang and H. Wang: Nanotechnology, 24 (2013) 405401. 

  16. G. Choi, S. Baek, S. Lee, F. Khan, J. H. Kim and I. Park: J. Alloys Compd., 797 (2019) 945. 

  17. H. Kim and I. Park: J. Phys. Chem. Solids, 117 (2018) 188. 

  18. S. Cheon, H. Kang, H. Kim, Y. Son, J. Y. Lee, H. Shin, S. Kim and J. H. Cho: Adv. Funct. Mater., 28 (2018) 1703778. 

  19. J. Fang, H. Niu, H. Wang, X. Wang and T. Lin: Energy Environ. Sci., 6 (2013) 2196. 

  20. L. Li, G. Wu, G. Yang, J. Peng, J. Zhao and J. Zhu: Nanoscale, 5 (2013) 4015. 

  21. L. Tang, R. Ji, X. Li, K. S. Teng and S. P. Lau: J. Mater. Chem. C, 1 (2013) 4908. 

  22. P. Adhikary, A. Biswas and D. Mandal: Nanotechnology, 27 (2016) 495501. 

  23. C. Harito, R. Porras, D. V. Bavykin and F. C. Walsh: J. Appl. Polym. Sci., 134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