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면적률과 투수포장 비율의 시계열 분석을 통한 경의선숲길의 물 순환체계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drologic Cycle along Gyeongui Line Forest Park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of Biotope Area Ratio and permeable ratio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3 no.3, 2020년, pp.105 - 119  

김미후 (동국대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오충현 (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ydrologic cycle environment of Gyeongui Line Forest Park, a linear city park, in order to improve hydrologic cycle systems in urban areas. The method of the study is the Biotope Area Ratio and the Permeable ratio survey. The study subject is the Gyeongui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선형 공원이 가지는 물 순환 환경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형공원이 가지는 물 순환 특성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선형공원 조성 및 관리를 위한 물 순환 체계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서울의 대표 선형공원인 경의선숲길을 대상으로 생태면적률과 투수율 산정 방법을 적용하여 과거(2000년)와 현재(2019년)의 물 순환 환경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 내 물 순환 체계 개선에 대한 대안을 도출하여 도시공원 조성 관리를 통한 물 순환 환경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B: Application standard of the park facility ratio in urban parks. http://www.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면적률(Biotope Area Ratio)이란? 도시에서 물 순환 기능을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지표로 생태면적률이 있다(Seoul city, 2018). 생태면적률(Biotope Area Ratio)은 전체 개발 면적 중 생태적 기능 및 자연 순환 기능을 가지고 있는 면적 비율이다. 생태면적률은 도시공간의 생태적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된다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도시인구 증가로 인한 문제점은? 1970년대 우리나라의 도시 거주 인구 비율은 40%였으나 2018년에는 전체 인구의 92%가 도시에 살고 있는 것으로 변화되었다1). 도시인구 증가로 인해 도시면적이 확대되고, 건축물의 밀도가 높아지게 되면서 교통량 증가, 쓰레기 문제, 주택 공급, 범죄, 소음 및 오염, 열섬 등 여러 가지 도시문제가 심화되었다. 도시화로 인한 녹지의 축소와 불투수 포장면적의 증가는 빗물의 토양 내 침투 및 저류량 감소, 지하수 함량 및 지하수위 저하, 하천의 건천화 등 도시 내 물 순환 체계의 교란도 가져왔다(Park et al.
선형공원이 생태네트워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선형공원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종합한 결과 선형공원은 접근성이 우수하고, 생태네트워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공원임을 알 수 있다. 선형공원이 가지는 이런 특성은 기본적으로 물 순환 환경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선형이라는 특성상 공원이 통과하는 다양한 지역의 물 순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hoi DA. 2013. A study on characteristic and utilization of urban green facilities as linear park: based on first generation metropolitan new towns. Master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Choi HS and Kim KG. 2009.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Water Circulation system for the Eastern Pangyo New Tow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3): 49-5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 Cho YD. 2017. A Study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inear Park: A Case Study of GyeonguiLine Forest Park. Master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4. Han NR. 2018. An effect analysis of urban forest formation on disused railway yards on the change of spatial structure in the surrounding area: focused on Gyeongui-Line Forest Park in Yeonnam-dong and Greenway Park in Gwangju. Master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5. Han YH and Choi YK. 2005. Maintenance of water cycle for ecological urban development: focusing on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Anyang: institute of national territory. (in Korean) 

  6. Jeong MS and Lim HJ. 2019. A Study of Evaluating Streetscape Green Environments to Improve Urban Street Green Spaces: A Case Study of Jeonju City. Jour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2(3): 55-7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Kullmann, Karl. 2011. Thin parks / thick edges: towards a linear park typology for (post)infrastructural sites.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6(2): 70-81. 

  8. Lee GG . Lee SH . Kim GH and Lee JH. 2011. Improvement of Biotope-Area-Ratio-Indicator and Appraisal System Applicable 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jects. Jour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4(5): 113-12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Lee JE. 2017. The Investigation of Residential Area Changes by the Provision of Urban Linear Parks.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pp. 2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Lee MH. 2009. Application of planning methods for the housing complexes using natural water cycle. Master dissertation, Semyung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Lee SY. 2013. A Study on Naturality of Urban Buddhist Temples in Modern Times applying Biotope Area Rate. Master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8-1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Lee YS . Cho DB and Ryu YK. 2017. Study on Urban Spatial Changes in Adjacent Area of Linear Urban Park Regenerated from Abandoned Railroad: Focused on Changes of Streets, Estates, Buildings, and Use of Area Adjacent to Gwangju Greenway.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8(5): 93-10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3. Los, F. and Grimshaw, T. 2010. Fifty million trees: Ontario has an ambitious plan to reforest the most populated part of Canada - despite the fact that it got out of the business of planting trees. Canadian Geographic. 130(3): 52-63.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Guidelines for Application of Ecological Area Ratio. (in Korean) 

  15. Oh HJ. 2017. The difference between residents and visitors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satisfaction in urban linear park: a case study of the Gyeongui-line forest park's Yeonnam-dong section. Master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6. Park EJ . Kang KY and Lee HJ. 2007. Improving the Function of Urban Green Space for Stormwater Management.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07(11): 3-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Park GH . Kim JC and Lee TW. 2013. A Study on Functionality and Accessibility of Linear Parks based on the Concept of 'Park Welfare'. Anya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pp.6. (in Korean) 

  18. Park HG. 2011. Study on the Us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in Gwangju Greenway Park. Master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Chonnam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9. Park JH . Lee DK . Kim HM . Sung HC . Jeon SW . Choi JY . Lee CS and Hwang SY. 2018. Analysis of the Status and Limitation of the Biotope Area Ratio on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1(1): 55-7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0. Seoul City. 2000. Urban Ecological Status Manual. (in Korean) 

  21. Seoul City. 2011. Gyeongui Line Park Construction Project. Basic plan service report. (in Korean) 

  22. Seoul City. 2015. Gyeongui Line Forest Road Park Construction Project. (in Korean) 

  23. Seoul City. 2016. Guidelines for operation of Biotope Area Ratio. (in Korean) 

  24. Seoul City. 2018.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Review of Urban Management Planning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pp. 32-33. (in Korean) 

  25. Seoul City. 2019. Construction drawings of Gyeongui Forest Line Park. (in Korean) 

  26. Yoon DW. 2017. Study on the Change of Adjoining Building and its Outdoor Space at Gyeonguilineforest.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in Korean) 

  27.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19. Detailed Rules for Operation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pp. 44. (in Korean) 

  28. http://data.nsdi.go.kr/dataset/15153 

  29. http://kosis.kr 

  30. https://map.kakao.com/ 

  31. http://map.vworld.kr 

  32. http://urban.seoul.go.kr 

  33. https://www.kict.re.kr 

  34. http://www.law.go.kr 

  35. http://www.newsmaker.or.kr 

  36. https://www.me.go.k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