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밀도검사에서 피검자의 장기선량 측정 및 차폐기구의 효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hielding Device and the Organ Dose of Subject During Bone Mineral Density 원문보기

방사선기술과학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3, 2020년, pp.187 - 194  

조용인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영상의학과) ,  김정훈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one mineral density is a examination to measure the amount of bone in patients with metabolic bone disease. It is a low dose, but may cause unnecessary exposure to the gonads and other organs located in the periphery when examining the lumbar and proximal femu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모의실험을 통해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골밀도 검사 시 환자의 인체 장기별 피폭선량을 평가하고, 3D 프린팅 재료를 이용한 차폐기구 사용에 따른 결정장기의 선량감소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검사 시 산란선의 영향은 검사 목적부위에 근접한 표재성 장기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며, 이러한 결정장기에 대한 피폭선량 감소를 위해 부위별 차폐기구 사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몬테카를로 전산모사를 통해 BMD검사 시 산란선에 의한 피검자의 장기 피폭선량을 확인하고, 산란선 방호를 위해 3D 프린팅 재료를 통한 방사선 차폐기구로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의료분야 내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방사선 차폐기구 적용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몬테카를로 전산모사를 통해 BMD검사 시 산란선에 의한 피검자의 장기 피폭선량을 확인하고, 산란선 방호를 위해 3D 프린팅 재료를 통한 방사선 차폐기구로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의료분야 내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방사선 차폐기구 적용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가상공간 내 모의실험을 통해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법을 이용한 골밀도검사에 대해 전산모사하고, 검사 시 인체 장기별 피폭선량을 산정함으로써 산란선에 대한 영향 평가와 주변 결정 장기에 대한 피폭선량 저감을 위한 3D 프린팅 차폐기구 사용에 따른 선량감소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중에너지 X선 흡수법을 이용한 골밀도검사 시 주변 장기 중 인체 표면에 근접한 장기인 유방, 생식선에 대해서는 산란선에 의한 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사 목적부분과 원거리에 있는 장기일수록 산란선에 대한 효과는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 최근 이준호 등의 연구에서는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골밀도검사 시 정도관리를 위한 팬텀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 또한 제시되고 있다[16]. 이처럼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의료분야에의 활용은 더 넓게 이뤄지고 있으며[17,18],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피폭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가에 따라 의료분야 내 3D 프린팅 재료를 이용한 차폐기구 사용에 대한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방사선 관계 및 작업종사자는 피검자의 의료피폭 저감화를 위해 검사 시 최적화된 검사 조건에 대한 사용과 적극적인 차폐기구 사용을 통해 불필요한 선량 저감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밀도검사란 ? 골밀도검사(Bone Mineral Density; BMD)는 골다공증, 골연화증과 같은 대사성 골질환 환자에 대해 인체 특정부위 즉, 뼈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서, 일반적으로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을 이용한다[3]. DEXA검사는 요추와 근위 대퇴골의 측정을 세계표준 검사방법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뛰어난 정확성과 짧은 검사 시간, 낮은 방사선량과 안정적인 보정, 적은 비용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4].
뼈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에서 주의할 사항은 ? DEXA검사는 요추와 근위 대퇴골의 측정을 세계표준 검사방법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뛰어난 정확성과 짧은 검사 시간, 낮은 방사선량과 안정적인 보정, 적은 비용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4]. 그러나 골밀도검사의 대상은 대다수 여성이며, 요추와 근위 대퇴골 검사 시 2차산란선에 의해 검사 부위 주변부에 위치한 생식선과 다른 장기에 대해 불필요한 피폭을 유발시킬 수 있다. 현재 골밀도검사와 같이 시행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검사에 대해서는 방사선 방호에 대한 부분을 다소 간과하고 있는 실정이다.
산란선의 영향과 대처 방안은 ? 본 연구는 모의실험을 통해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골밀도 검사 시 환자의 인체 장기별 피폭선량을 평가하고, 3D 프린팅 재료를 이용한 차폐기구 사용에 따른 결정장기의 선량감소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검사 시 산란선의 영향은 검사 목적부위에 근접한 표재성 장기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며, 이러한 결정장기에 대한 피폭선량 감소를 위해 부위별 차폐기구 사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DM 방식의 3D 프린팅 재료 중 ABS+W의 경우 가장 유효한 선량감소효과를 나타내었으며, Pb 대비 최대 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ICRP. Managing Patient Dose in Digital Radiology. ICRP Publication 93. Annals of the ICRP. 2004;34(1). 

  2. ICRP. 2007 Recomm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Publication 103, Annals of the ICRP. Pergamon Press, Oxford 2007;137(2-4). 

  3. Han MS, Cho DH. Correlation analysis of bmd in proximal femur and spine with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012 Sep;17(9):165-9. 

  4. Shin YR. Assessment of bone mineral dens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ediatric Endocrinology. 2006;11(2):123-30. 

  5. CHO Alliance. Medical 3D printing, bio-organ, and bio-material market conditions and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2017 Mar;ISBN 979-11-86934-06-7. 

  6. OsteoSys Co. Ltd. DEXXUM T User Manual, DOC. No. : OT08-2F7430-MUL-01 

  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s for Diagnostic Reference Levels in Plain Radiography. Medical Radiation Series, No.16, 2019. 

  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s for Diagnostic Reference Levels in Mammography. Medical Radiation Series, No.17, 2019. 

  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s for Diagnostic Reference Levels in Computed Tomography(CT). Medical Radiation Series, No.10, 2017. 

  10. Hackett D.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Retrieved from http://epublications.bond.edu.au/crn_physique/4 University of Sydney, 2017 Apr. 

  11. Guglielmi G, Link TM. Radiation exposure in X-raybased imaging techniques used in osteoporosis. European Radiology. 2010;20(11):2707-14. 

  12. Jung DR. Genital gland dose and reduction due to scattered radiation measured bone mineral density with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master's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2016. 

  13. Han CY. Evaluation of using breast shield to reduce the dose of breast by scattered radiation on bone densitometry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of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2013. 

  14. Karimian A, Hajarizadeh A. Assessment of the absorbed dose to organs from bone mineral density scan by using TLDs and the monte carlo method. Nuclear Technology & Radiation Protection. 2014;29(4):289-95. 

  15. Yoon JS. The study of radiation dose on BMD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master's thesis]. Daejeon: Eulji University of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2017. 

  16. Lee JH, Choi KY, Hong SY. Development of BMD Phantom using 3D Print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Radiology. 2019 Apr;13(2):185-92. 

  17. Park HH, Lee JY.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for hoffman brain phantom based on 3D printing technique.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19;42(6):441-6. 

  18. Ahn KS, Jung WC, Kim DH, Kim MS, Yoon DK, Shim JG, et al.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patient customized shielding block made with 3D printer in the skin cancer electron beam therapy.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19;42(6):447-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