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18 no.2, 2020년, pp.207 - 215
백승우 (한국원자력연구원) , 이창화 (한국원자력연구원) , 윤달성 (한국원자력연구원) , 이성재 (한국원자력연구원)
The feasibility of rare earth (RE) removal process via oxidation reactions with UCl3 was investigated using the HSC Chemistry code to reduce the concentrations of RE in transuranic (TRU) products. The composition and thermodynamic data of TRU and RE elements contained in the reference spent fuel w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핵연료의 연소 후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의 구성은 무엇인가? | 우라늄 산화물 핵연료를 사용하는 경수로에서 핵연료의 연소 후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는 약 95%의 우라늄과 약1% 내외의 초우라늄(TRU, TRansUranium) 원소 및 4~5%의 핵분열생성물로 구성된다. TRU 원소와 핵분열생성물은 사용후핵연료의 발생열과 방사능의 대부분에 영향을 미치며 우라늄의 영향은 적다. | |
사용후핵연료로부터 TRU원소와 핵분열 생성물을 분리할 시 얻는 이점은 무엇인가? | TRU 원소와 핵분열생성물은 사용후핵연료의 발생열과 방사능의 대부분에 영향을 미치며 우라늄의 영향은 적다. 따라서 사용후핵연료로부터 TRU원소와 핵분열 생성물을 분리하면 고준위 폐기물의 양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분리된 TRU를 고속로에서 연소시키면 방사성 독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TRU 원소를 분리하기 위한 대부분의 기술은 핵확산저항성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
TRU원소의 RE함량을 낮게 유지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 그러나 TRU 원소와 함께 회수되는 RE 원소의 양이 많을 경우 고속로의 연료로 활용될 때 연료 봉의 건전성에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TRU원소의 RE함량은 가능하면 낮게 유지하여야 한다[10,11]. 따라서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고속로의 핵연료조건에 부합하는 TRU 생성물은 고속로의 금속연료로의 원료로 공급하고, 고속로의 핵연료 조건보다 RE원소가 많은 TRU 생성물은 파이로프로세싱 공정 내로 재순환하여 다시 처리하는 공정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RE 함량이 높은 TRU 생성물이 전해정련 공정의 양극으로 사용되면 전해정련 전해조에서의 RE 처리량이 증가하여 우라늄 회수 전해정련과 TRU회수 전해제련 공정에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
J.J. Laidler, J.E. Battles, W.E. Miller, J.P. Ackerman, and E.L. Carles, "Development of pyroprocessing technology", Prog. Nucl. Energy, 31(1-2), 131-140 (1997).
J.L. Willit, W.E. Miller, and J.E. Battles, "Electrorefining of uranium and plutonium: a literature review", J. Nucl. Mater., 195(3), 229-249 (1992).
K. Uozumi, M. Ilzuka, T. Kato, T. Inoue, O Shirai, T. Iwai, and Y. Arai, "Electrochemical behaviors of uranium and plutonium at simultaneous recoveries into liquid cadmium cathodes", J. Nucl. Mater., 325(1), 34-43 (2004).
T. Koyama, T.R. Johnson, and D.F. Fischer, "Distribution of actinides in molten chloride salt/cadmium metal system", J. Alloy. Compd., 189(1), 37-44 (1992).
S.X. Li, S.D. Herrmann, K.M. Goff, M.F. Simpson, and R.W. Benedict, "Actinide recovery experiments with bench-scale liquid cadmium cathode in real fission product-laden molten salt", Nucl. Technol., 165(2), 190-199 (2009).
T. Koyama, M. Ilizuka, N. Kondo, R. Fujita, and H. Tanaka, "Electrodeposition of uranium in stirred liquid cadmium cathode", J. Nucl. Mater., 247, 227-231 (1997).
T. Kato, T. Inoue, T. Iwai, and Y. Arai, "Separation behaviors of actinides from rare-earths in molten salt electro-refining using saturated liquid cadmium cathode", J. Nucl. Mater., 357(1-3), 105-114 (2006).
A.B. Cohen, H. Tsai, and L.A. Neimark, "Fuel/cladding compatibility in U-19Pu-10Zr/HT9-clad fuel at elevated temperature", J. Nucl. Mater., 204, 244-251 (1993).
J. Kim, B.O. Lee, C.B. Lee, S.H. Jee, and Y.S. Yoon, "Formation of intermetallic compound at interface between rare earth elements and ferric-martensitic steel by fuel cladding chemical interaction", J. Rare Earth, 30(6), 599-603 (2012).
S. Paek, D. Yoon, J. Jang, G.Y. Kim, and S.J. Lee, "Removal of rare earth elements from a U/RE ingot via a reaction with $UCl_3$ ", J. Radioanal. Nucl. Chem., 322(2), 495-502 (2019).
T. Koyama, K. Uozumi, M. Iizuka, Y. Sakamura, and K. Kinoshita, Pyrometallurgical data book, CRIEPI Research Laboratory Report No. T93033 (1994)
A. Ronie, HSC Chemistry 9.30. Qutotec Research Center, Finland (2017).
H.J. Lee, H.S. Im, and B.H. Won, Requirement of an integrated operational model for pyroprocessing,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TR-6445/2016 (2016).
H.S. Im, H.J. Lee, S. Yu, and J.H. Ku, Analysis of WITNESS-based integrated operational model for KAPF,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TR-6579/2016 (2016).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