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기 치료받지 못한 우울증이 젊은 성인 남성의 자살 위험성 및 자살 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treated Depression in Adolescence on the Suicide Risk and Attempt in Male Young Adults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8 no.1, 2020년, pp.29 - 35  

양찬모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상열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치료받지 못한 우울증은 자살위험성을 높인다는 여러 선행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청소년기에 발병한 기분 장애가 치료받지 못한 경우 자살 위험성 및 자살 시도와 어떻게 연관되는지에 관한 연구결과는 거의 없어서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2017년 5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 단면연구로, unipolar 혹은 bipolar depression으로 진단된 260명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자가보고형 검사도구를 이용해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우울 및 자살 관련 특성을 평가하였다. 과거력 상 우울 삽화 치료 여부에 따라 untreated군과 treated 혹은 1st episode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두 집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임상적 특성을 비교했다. 다중 선형 회귀분석 및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자살 위험성 및 자살 시도의 예측 인자를 분석했다. 결 과 총 260명의 환자 중 untreated군 189명, treated 혹은 1st episode 군은 71명 이었으며 untreated군에서 자살 시도한 비율, 우울 점수, 자살 위험성 및 자살시도 횟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자살시도를 예측하는 인자로는 과거력 상 치료받지 못한 경우[Adjusted Odds Ratio (AOR)=4.19, 95% Confidence Interval (CI)=2.25~7.81, p<0.001]와 양극성 우울증의 진단(AOR=2.60, 95% CI=1.52~4.46, p<0.001)이었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기 우울증의 86.7%에서 치료를 받지 못했음이 확인되었고, 치료받지 못한 우울증은 높은 자살위험성과 연관되었다. 향후 청소년기 우울증의 조기 선별 뿐 아니라 적극적인 치료적 개입이 이루어 지도록 정책 수립이 필요하며 이와 관련한 후속 장기 추적관찰 연구가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Evidence regarding the association between untreated depression in adolescence and suicidal risk in male young adults is scarce. We aimed to assess the effect of untreated illness during adolescence on the suicidal risk and attempt after that first episode. Methods : As part of a cros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울감을 주소로 군 병원을 내원한 젊은 성인 남성 환자를 대상으로, 과거력 상 치료 여부에 따른 사회인구학적, 우울 및 자살 관련 특성을 비교했고, 자살 위험성 및 자살 시도의 예측 요인을 분석한 연구이다.
  • 하지만, 환자가 실제 정신건강의학과 치료까지 연결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정작 전문진료까지 연결되지 못한 다면 좋은 예후를 기대하기 어렵다. 저자들이 현재까지 확인한 바, 청소년기 첫 발병한 우울증이 치료받지 않은 경우 초기 성인기까지의 자살위험성 및 자살 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없기에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OECD. OECD Health Statistics 2016. Available at: https://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HEALTH_STAT. Accessed 08 Jan, 2020. 

  2.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8. Daejeon: Statistics Korea;2019. 

  3. Arsenault-Lapierre G, Kim C, Turecki G. Psychiatric diagnoses in 3275 suicides: a meta-analysis. BMC Psychiatry 2004;4:37. 

  4. Conwell Y, Duberstein PR, Cox C, Herrmann JH, Forbes NT, Caine ED. Relationships of age and axis I diagnoses in victims of completed suicide: a psychological autopsy study. Am J Psychiatry 1996;153:1001-1008. 

  5. Hawton K, Van Heeringen K. Suicide. Lancet 2009;373:1372-1381. 

  6. Korea Psychological Autopsy Center. Psychological Autopsy Report 2018. Available at: http://www.psyauto.or.kr/sub/notice_view.asp?mode&page1&direction&idx&bbsidbiNotice&editIdx730&SearchKeyALL&SearchStr. Accessed 08 Jan, 2020. 

  7. Korczak DJ, Goldstein BI. Childhood onset major depressive disorder: course of illness and psychiatric comorbidity in a community sample. J Pediatr 2009;155:118-123. 

  8. Ghio L, Gotelli S, Marcenaro M, Amore M, Natta W. Duration of untreated illness and outcomes in unipolar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Affect Disord 2014;152-154:45-51. 

  9. Altamura AC, Dell'Osso B, Berlin HA, Buoli M, Bassetti R, Mundo E. Duration of untreated illness and suicide in bipolar disorder: a naturalistic study. Eur Arch Psychiatry Clin Neurosci 2010;260:385-391. 

  10. Franklin JC, Ribeiro JD, Fox KR, Bentley KH, Kleiman EM, Huang X, Musacchio KM, Jaroszewski AC, Chang BP. Risk factors for suicidal thoughts and behaviors: A metaanalysis of 50 years of research. Psychol Bull 2017;143:187-232. 

  11. Bhak Y, Jeong HO, Cho YS, Jeon S, Cho J, Gim JA, Jeon Y, Blazyte A, Park SG, Kim HM, Shin ES, Paik JW, Lee HW, Kang W, Kim A, Kim Y, Kim BC, Ham BJ, Bhak J, Lee S. Depression and suicide risk prediction models using bloodderived multi-omics data. Transl Psychiatry 2019;9:262. 

  12. Large MM. The role of prediction in suicide prevention. Dialogues Clin Neurosci 2018;20:197-205. 

  13. Han C, Jo SA, Kwak JH, Pae CU, Steffens D, Jo I, Park MH. Valid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Korean ver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Ansan Geriatric study. Compr Psychiatry 2008;49:218-223. 

  14. Sheehan DV, Lecrubier Y, Sheehan KH, Amorim P, Janavs J, Weiller E, Hergueta T, Baker R, Dunbar GC.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M.I.N.I.):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tructured diagnostic psychiatric interview for DSM-IV and ICD-10. J Clin Psychiatry 1998;59 Suppl 20:22-33. 

  15. Yoo SW, Kim YS, Noh JS, Oh KS, Kim CH, NamKoong K, Chae JH, Lee GC, Jeon SI, Min KJ, Oh DJ, Joo EJ, Park HJ, Choi YH, Kim SJ.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Anxiety Mood 2006;2:50-55. 

  16. Oh DJ, Park JY, Oh M, Kim K, Hong J, Kim T, Han JW, Kim TH, Kim KW. Suicidality-based prediction of suicide attempts in a community-dwelling elderly population: results from the Osan Mental Health Survey. J Affect Disord 2015;184:286-292. 

  17. Baldessarini RJ, Tondo L, Pinna M, Nunez N, Vazquez GH. Suicidal risk factors in major affective disorders. Br J Psychiatry 2019;215:621-626. 

  18. Yeh HH, Westphal J, Hu Y, Peterson E, Williams L, Prabhakar D, Frank C, Autio K, Elsiss F, Simon G, Beck A, Lynch F, Rossom R, Lu C, Owen-Smith A, Waitzfelder B, Ahmedani B. Diagnosed Mental Health Conditions and Risk of Suicide Mortality. Psychiatr Serv 2019;70:750-757. 

  19. Judd LL, Schettler PJ, Akiskal HS, Maser J, Coryell W, Solomon D, Endicott J, Keller M. Long-term symptomatic status of bipolar I vs. bipolar II disorders. Int J Neuropsychopharmacol 2003;6:127-137. 

  20. Zhang L, Yu X, Fang YR, Ungvari GS, Ng CH, Chiu HF, Li HC, Yang HC, Tan QR, Xu XF, Wang G, Xiang YT. Duration of untreated bipolar disorder: a multicenter study. Sci Rep 2017;7:44811. 

  21. Shen H, Zhang L, Xu C, Zhu J, Chen M, Fang Y. Analysis of Misdiagnosis of Bipolar Disorder in An Outpatient Setting. Shanghai Arch Psychiatry 2018;30:93-101. 

  22. Stensland M, Schultz J, Frytak J. Diagnosis of unipolar depression following initial identification of bipolar disorder: A common and costly misdiagnosis. J Clin Psychiatry 2008;69:749-758. 

  23. Demyttenaere K BR, Posada-Villa J, Gasquet I, Kovess V, Lepine JP. Prevalence, Severity, and Unmet Need for Treatment of Mental Disorders i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Mental Health Surveys. JAMA 2004;291:2581-2590. 

  24. Han KM, Won E, Paik JW, Lee MS, Lee HW, Ham BJ. Mental health service use in adults with suicidal ideation with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Korean population. J Affect Disord 2016;193:339-347. 

  25. Mojtabai R, Olfson M, Han B. National Trends in the Prevalence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Pediatrics 2016;138:e20161878. 

  26. Neufeld SAS, Dunn VJ, Jones PB, Croudace TJ, Goodyer IM. Reduction in adolescent depression after contact with mental health services: a longitudinal cohort study in the UK. Lancet Psychiatry 2017;4:120-127. 

  27. Corrigan PW. The impact of stigma on severe mental illness. Cogn Behav Pract 1998;5:201-222. 

  28. Livingston JD, Boyd JE.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internalized stigma for people living with mental illnes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oc Sci Med 2010;71:2150-2161. 

  29. Pagura J, Fotti S, Katz LY, Sareen J. Help seeking and perceived need for mental health care among individuals in canada with suicidal behaviors. Psychiatr Serv 2009;60:943-9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