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근검은잎마름병균 Alternaria dauci에 대한 살균제 효과 검정 및 병원균 집단에 대한 저항성 검정
Detection of Fungicidal Activities against Alternaria dauci Causing Alternaria Leaf Spot in Carrot and Monitoring for the Fungicide Resistance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6 no.2, 2020년, pp.61 - 71  

도지원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민지영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김용수 (한중당근육종연구소) ,  박용 (한중당근육종연구소) ,  김흥태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당근검은잎마름병균인 Alternaria dauci KACC42997에 대해서 32개 살균제를 선발하여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다2'군, '다5'군, '사1'군, '마2'군, '마3'군에 속하는 살균제의 균사생장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Iminoctadine tris-albesilate를 제외한 '카'군에 속하는 보호살균제와 '다3'군에 속하는 pyraclostrobin은 병원균의 포자발아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균사생장 억제효과가 우수했던 숙신산탈수소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다2'군과 탈메틸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사1'군 살균제는 우수한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보여주면서도, 포자발아 억제효과는 저조하였다. 하지만 '다5'군에 속하는 fluazinam은 균사생장 억제효과뿐만 아니라 포자발아 억제효과도 우수하였다. 특별히 '다2'군에 속하는 fluxapyroxad를 100 ㎍/ml 처리한 경우, 배지 상에서 포자형성을 47.1% 억제하였다. 구미, 평창, 제주 등에서 분리한 검은잎마름병균 집단의 '사'군, '다'군, '마'군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 요인값을 비교하면, 제주 지역 병원균 집단의 저항성 요인값이 가장 낮았다. 평창 지역 균주 집단에서 '마2'군에 속하는 fludioxonil 저항성 균주가 2개 발견되었으며, 그들은 모두 iprodione과 procymidone에 대해서 교차저항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32 fungicides, it was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s on the mycelial growth of Alternaria dauci KACC42997 causing Alternaria leaf blight of carrot. Showing the results of the agar dilution method, the fungicides belonging to C2, C5, G1, E2, and E3 group were excellent in inhibiting mycelial gr...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지역 균주에 대한 살균제 반응 조사.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작용기작이 다른 다양한 살균제를 선발하여 당근검은잎마름병균에 대한 in vitro상에서의 다양한 작용 특성을 조사하여, 당근 검은잎마름병의 방제에 사용할 수있도록 제안하고, 또 주요한 살균제 그룹에 대한 포장 병원균의 저항성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기존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기준을 정하고자 하였다.
  • 살균제의 균사생장 억제 효과 조사.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ludioxonil 처리구에서 포자 형성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포자의 형태가 일부 변형된 원인은? 3). 이처럼 포자가 변형되는 원인은 fludioxonil의 작용기작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Fludioxonil은 병원균의 삼투압에 대한 신호전달을 저해하는 살균제로 알려져 있는데, 이런 작용기작이 새롭게 생성되는 A. dauci의 포자를 형태적으로 변형시켰을 것으로 추정한다. 따라서 이런 추론을 증명하기 위한 생화학적인 실험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Fig.
A. dauci 포자의 방제가 어려운 이유는? dauci는 최적 생장 조건에서 당근을 감염한 후 6?10일 안에 2차 전염원을 생성하며, 상대 습도가 낮을 때에는 생성된 포자가 바람을 타고서 다른 기주로 쉽게 전반되기 때문에 피해를 가속화시킨다(Langenberg 등, 1977; Strandberg, 1977). 또한, A. dauci의 포자는 내건성이 강하여 10% 정도의 포자는 수분 없이도 12시간까지 생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종자, 토양 혹은 병든 잎의 잔재물에서 월동할 수 있기 때문에 방제가 어렵다(Park 등, 2011; Pryor 등, 2002). 당근 검은잎마름병 방제 방법으로 수확 후 포장에서 병든 잎 제거, 토양의 질소 함량조절과 종자 온탕처리 등과 같은 경종적 혹은 물리적인 방제 방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가장 확실하고 신속하며 용이하게 방제할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살균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방제 방법이다(Ben-Noon 등, 2001; Bounds 등, 2006; Koch 등, 2010; Kwon 등, 2007; Lee 등, 2011; Westerveld 등, 2008).
당근 검은잎마름병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이런 당근을 재배하는 포장에서 생산성을 위협 하는 여러 가지 병해 중에서 Alternaria dauci가 일으키는 당근 검은잎마름병은 전 세계적으로 큰 피해를 입히는 병이다(Netzer와 Kenneth, 1969; Strandberg, 1993; Vintal 등, 1999). 검은잎마름병이 발생하게 되면, 당근에서 광합성이 감소하게 되어, 품질 저하와 수확량 감소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대규모 재배지에서 기계 수확할 때에는 지상부가 쉽게 잘려져 나가 수확량의 감소는 물론 노동의 곤란으로 이어지기도 한다(Ben-Noon 등, 2001; Dugdale 등, 2000; Strandberg, 1983). 국내에서도 2003년과 2004년에 국내 고랭지 재배지에서 당근 검은잎마름병이 70% 이상 심하게 발생하였고, 최근에는 가을 작형뿐만 아니라 봄 하우스 및 터널 작형에서까지 발생한다(Kwon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en-Noon, E., Shtienberg, D., Shlevin, E., Vintal, H. and Dinoor, A. 2001. Optimization of chemical suppression of Alternaria dauci, the causal agent of Alternaria leaf blight in carrots. Plant Dis. 85: 1149-1156. 

  2. Bounds, R. S., Hausbeck, M. K. and Podolsky, R. H. 2006. Comparing disease forecasters for timing fungicide sprays to control foliar blight on carrot. Plant Dis. 90: 264-268. 

  3. Dugdale, L. J., Mortimer, A. M., Isaac, S. and Collin, H. A. 2000. Disease response of carrot and carrot somaclones to Alternaria dauci. Plant Pathol. 49: 57-67. 

  4. Hirooka, T., Kasahara, H., Miyagi, Y. and Kunoh, H. 1990a. Effects of the systemic fungicide flutolanil on morphology of Rhizoctonia solani following inhibition of succinate oxidation. J. Pestic. Sci. 15: 47-53. (In Japanese) 

  5. Hirooka, T., Miyagi, Y., Araki, F. and Kunoh, H. 1990b. Biological mode of action of flutolanil in its systemic control of rice sheath blight. Phytopathology 79: 1091-1094. 

  6. Hyun, J.-W., Lee, S.-C., Ihm, Y.-B., Kim, D.-H., Ko, S.-W. and Kim, K.-S. 2001. Protective effect of iminoctadine tris(albesilate) and kresoxim- methyl fungicides to citrus postharvest diseases caused by Penicillium spp. Korean. J. Pestic. Sci. 5: 37-44. (In Korean) 

  7. Koch, E., Schmitt, A., Stephan, D., Kromphardt, C., Jahn, M., Krauthausen, H.-J. et al. 2010. Evaluation of non-chemical seed treatment methods for the control of Alternaria dauci and A. radicina on carrot seeds. Eur. J. Plant Pathol. 127: 99-112. 

  8. Korean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9. Guidelines for Crop Protection Agents. Samjung Press, Seoul, Korea. 256 pp. 

  9.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0. URL http://kosis.kr/index/index.do [10 May 2020]. 

  10. Kwon, M. Ryu, K. Y., Kim, J. S. and Shin, G. Y. 2007. Occurrence pattern of pests in carrot fields and effect of plant debris removal after harvest at highland area. Korean J. Hortic. Sci. 25: 316-321. (In Korean) 

  11. Langenberg, W. J., Sutton, J. C. and Gillespie, T. J. 1977. Relation of weather variables and periodicities of airborne spores of Alternaria dauci. Phytopathology 67: 879-883. 

  12. Lee, J. E., Yeoung, Y. R., Kwon, S. B. and Kim, B. S. 2011. Screening of seed treatment agents against leaf blight and black root rot for carrot organic cultivation. Res. Plant Dis. 17: 148-154. (In Korean) 

  13. Lee, S. M., Min, J. and Kim, H. T. 2017. Fungicide selections for control of chili pepper stem rot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using an agar dilution method. Korean. J. Agric. Sci. 44: 339-347. (In Korean) 

  14. Motoba, K., Uchida, M. and Tada, E. 1988. Mode of antifungal action and selectivity of flutolanil. Agric. Biol. Chem. 52: 1445-1449. 

  15. Netzer, D. and Kenneth, R. G. 1969. Persistence and transmission of Alternaria dauci (Kuhn) Groves & Skolko in the semi­arid conditions of Israel. Ann. Appl. Biol. 63: 289-294. 

  16. Park, K.-H., Yun, H.-J., Ryu, K.-Y., Yun, J.-C., Kim, S.-R., Kim, W.-I. et al. 2011.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conidial germination of Alternaria dauci. Res. Plant Dis. 17: 381-385. (In Korean) 

  17. Pryor, B. M., Strandberg, J. O., Davis, R. M., Nunez, J. J. and Gilbertson, R. L. 2002. Survival and persistence of Alternaria dauci in carrot cropping systems. Plant Dis. 86: 1115-1122. 

  18. Steinfeld, U., Sierotzki, H., Parisi, S., Poirey, S. and Gisi, U. 2001. Sensitivity of mitochondrial respiration to different inhibitors in Venturia inaequalis. Pest. Manag. Sci. 57: 787-796. 

  19. Stepanovic, M., Jevremovic, S., Rekanovic, E., Mihajlovic, M., Milijasevic-Marcic, S., Potocnik, I. et al. 2015. In vitro sensitivity of Alternaria solani to conventional fungicides and a biofungicide based on tea tree essential oil. Pestic. Phytomed. 30: 25-33. 

  20. Strandberg, J. O. 1977. Spore production and dispersal of Alternaria dauci. Phytopathology 67: 1262-1266. 

  21. Strandberg, J. O. 1983. Infection and colonization of inflorescences and mericarps of carrot by Alternaria dauci. Plant Dis. 67: 1351-1353. 

  22. Strandberg, J. O. 1993. Alternaria leaf blight. Bad news for carrot production everywhere. Carrot Count. 1: 24-25. 

  23. Vintal, H., Ben-Noon, E., Shlevin, E., Yermiyahu, U., Shtienberg, D. and Dinoor, A. 1999. Influence of rate of soil fertilization on Alternaria leaf blight (Alternaria dauci) in carrots. Phytoparasitica 27: 193-200. 

  24. Westerveld, S. M., McKeown, A. W. and McDonald, M. R. 2008. Relationship between nitrogen fertilization and Cercospora leaf spot and Alternaria leaf blight of carrot. HortScience 43: 1522-15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