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주택소비심리와 권역별 주택가격의 시계열적 관계분석
Time Series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Consumer Sentiment and Regional Housing Prices in Seoul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50 no.1, 2020년, pp.125 - 141  

양혜선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서원석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시 5대 권역을 대상으로 주택소비심리와 주택매매가격 간 시계열적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소비심리 변동이 권역별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그랜저인과(Granger Causality)모형과 VEC (Vector Error Correction)모형을 이용해 실증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주택소비심리와 권역별 주택가격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소비심리는 주택가격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택소비심리는 단기적으로 서울시 권역별 주택매매 가격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동남권 주택가격은 서울 주택소비심리 변화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에 따른 영향은 비동남권으로 전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동남권 이외 권역은 주택심리가 긍정적임에 따라 장기적으로 주택가격을 상승시키지만, 동남권은 보합세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권역별 상대적 기여도의 경우 대체로 아파트가격 변동은 인접권역 또는 경쟁권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주택소비심리와 서울시 권역별 주택가격이 상호 간 명확한 인과관계가 있다는 점과 권역 간에도 차별적인 주택소비심리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ime-series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consumer sentiment and housing prices in the five major districts in Seoul and also analyzed the effect of the housing consumer sentiment on housing prices using Granger Causality and VEC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s. To descri...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주택소비심리가 우리나라 최대 주택시장인 서울시의 하위시장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파악한 미시적 수준의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리요인이 서울시 권역별 주택가격과 어떠한 인과관계를 갖는지를 실증 분석함으로써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주택소비심리와 주택가격 간에 형성된 관계를 파악하고, 심리요인의 변동이 시차에 따라 주택가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처럼 여러 기간에 걸쳐 심리요인과 주택가격요인의 관계를 분석하게 되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내생성(Endogeneity)이 존재하게 된다.
  • 본 연구는 주택가격 변화에서 주택심리요인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 5개 권역을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했으며, 이를 통해 중요한 결과 및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향후 주택가격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통제변수를 추가로 활용해 실증분석을 수행한다면 또 다른 측면의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대의 주택시장이면서 주택가격 급등의 핵심지역인 서울시의 5대 권역 아파트를 대상으로 주택소비심리와 주택가격 간 시계 열적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소비심리 변동이 권역별 주택가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한 권역은 “2030 서울생활권계획” 에 제시된 5개 권역생활권인 도심권, 동북권, 동남권, 서북권, 서남권으로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여기서 C는 (N×1)상수벡터이며,  Φi는 현재 시점의 변수와 시차 변수들의 시차회귀계수인 ( N× N)의 행렬이고 εt는 (N×1)의 백색잡음과정으로  E(εt) = 0이며, 분산공분산행렬이 다음 수식 (2)와 같은 정 규분포를 한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벡터자기회귀모형이란? 즉, 다변량 시계열자료를 활용하게 되면 변수 간 상호작용이나 피드백(Feedback) 등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분석 결과에 대한 해석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벡터자기회귀모형(Vector Autoregressive Model: VAR)은 변수들의 상호의존성이 나 내생성을 고려하여 모형을 구축하는데 유용한 분석 방법이다(김명직・장국현  2009). 따라서 본 연구는 변수들의 내생성을 고려할 수 있는 VAR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우리나라 부동산시장이 지역별로 비동조화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수도권과 지방의 주택가격이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더 이상 특별한 일이 아니며 동일 지역일지라도 시・군・구 단위로 차별적인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인구 및 공간구조의 변화, 소득 증가 등 사회・경제적 여건이 바뀌면서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시장기능이 이동하고 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정재영・윤태권 2008; 박천규・김태환 2015; 김원준・서원석 2018).
부동산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 변화은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가? 이에 따라 소비자의 심리 변화는 부동산시장을 더욱 세분화・차등화시키는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지역에 따라 기대이익과 주거 편의성 등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서원석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im G, Kim K, Lee J. 2016.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s between House Sub-Market, Auction Market and Consumer Sentiment Survey of Housing Market: Focused on the Apartment Market in Seoul and Seoul Metropolitan Area. GRI Review. 18(1):147-167. 

  2. Kim DW, Yu JS. 2013. An Analysis on How Psychological Attitudes on the House Price Affect the Trading Volume. Housing Studies Review. 21(2):73-92. 

  3. Kim MJ, Jang KH. 2002. Financial Econometrics. Kyungmoonsa. pp. 373-374 

  4. Kim W, Seo W. 2018. The Impact of Space and Location Features on Regional Housing Market by New Development: Focused on Sejong City.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Society. 35(2):89-106. 

  5. Kim JH, Choi YY. 2016. The Impact of Consumer Sentiment on Housing Price by Regional Hierarchy.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50(2):185-195. 

  6. Kim HK, Lee MS. 2005. Time-Series Analysis. Kyungmoonsa. pp. 459-460. 

  7. Noh MJ, Yoo SJ. 2016. A Relationship between Sales Prices of APT and Consumer Sentiment.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89:3-13. 

  8. Moon KS. 1997. Vector Autoregressive model: VAR. Journal of Korean Official Statistics. 2(1):23-56. 

  9. Park CG, KIM TH. 2015. Analysis on the Predictive Power of the KRIHS Housing Market Survey Indices. Proceedings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2015:53-66. 

  10. Park CG, Lee Y. 2010. Analysis on the Predictive Power of the Housing Market Survey Indices.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16(1):131-146. 

  11. Seo WS. 2019.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Consumer Sentiment in Seoul and Metropolitan Housing Market. SH Urban Research & Insight. 9(2):31-47. 

  12. Yang HS, Kang CD. 2017. The Determinants of New Supply in the Seoul Office Market and their Dynamic Relationship.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47(2):159-174. 

  13. Lim JM, Lim MH. 2016.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gents Sentiment and Housing Market.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8(3):147-164. 

  14. Chun HJ. 2014. A Empirical Analysis on the Impact of the Consumer Sentiment on the Housing Marke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0(8):83-90. 

  15. Chung EC. 2010. Consumer Sentiment and Housing Market Activities: Impact on Sales Price of Housing.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nalysts Association. 16(3):5-20. 

  16. Chung JY, Yoon TK. 2008. A Study on the Preference Analysis of Apartment Purchaser using AHP Method.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8(3):51-58. 

  17. Cho TJ. 2014.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entiment index to the housing market. Housing Studies Review. 22(3):25-48. 

  18. Choi YG, Lee CM, Choi, MJ. 2004.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t Price and Expectations on Future Capital Gains in the Housing Market: Adaptive Expectation and Rational Expectation Hypotheses.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39(2):131-141. 

  19. Choi YY, Kim J, Cho, GC. 2017.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among interest rate, housing consumer sentiment and housing market using SVAR model.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95:3-20. 

  20. Asghar Z, Abid I. 2007. Performance of lag length selection criteria in three different situations. MPRA Paper 40042, University Library of Munich, Germany. 

  21. Engle R, Granger C. 1987.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Representation estimation and testing. Econometrica. 55:251-276. 

  22. Seo W, Kim LY. 2020. Investigating the ripple effect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market and residential migration in Seoul, South Korea. Sustainability. 12(1225):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