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변화 물질을 함유한 하이볼륨 슬래그 시멘트 복합재료의 압축강도와 인장특성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Properties of High Volume Slag Cement Composite Incorporating Phase Change Material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8 no.2, 2020년, pp.183 - 189  

강수태 (대구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최정일 (전남대학교 바이오하우징연구소) ,  이방연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상변화물질을 혼입한 슬래그 다량 치환 시멘트 기반 섬유보강 복합재료의 압축 및 인장성능을 실험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활성화제인 수산화칼슘과 팽창제의 양에 따라 4가지 배합을 결정하였고, 밀도, 압축강도 및 인장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4가지 배합 모두 51MPa 이상의 압축강도와 3.2% 이상의 인장연성이 나타났다. 수산화칼슘과 팽창제는 압축 및 인장성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절한 혼합을 통하여 강도, 연성, 균열패턴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ressive and tensile properties of high volume slag cement-based fiber-reinforced composite incorporating phase change material. Four mixture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calcium hydroxide and expansive admixture,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상변화물질을 혼입한 슬래그 다량 치환 시멘트 기반 섬유보강 복합재료의 압축 및 인장성능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특허 슬래그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활성화제의 양과 팽창제의 혼입량에 따른 거동을 조사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기능 건축재료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상변화물질을 혼입하고 슬래그를 다량 함유한 시멘트 기반 섬유보강 복합재료에서 슬래그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알칼리활성화제 중의 하나인 수산화칼슘과 수축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팽창제가 압축 및 인장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에너지를 저장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따라서 건축물에 사용되는 재료의 열용량을 향상시키는 것을 건축물에서 냉난방으로 사용되는 에너지량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이다. 열에너지를 저장하는 방법은 화학반응에 의해 에너지가 방출되거나 흡수되는 화학에너지(chemical energy), 물질의 상태가 바뀌지 않고 온도를 높이거나 낮아지는 현열(sensible heat), 물체의 상이 변하면서 흡수하거나 방출되는 잠열(latent heat)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다(Jeon et al. 2013).
상변화물질의 온도에 따른 상태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상변화물질은 분자식 C17H36의 n-Heptadecane이 97% 이상인 파라핀계열 제품을 사용하였다. 상변화 온도는 22℃이고, 상변화 온도보다 낮을 경우 고체 상태, 높을 경우 액체 상태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잠열 용량은 200kJ/kg이고, 비열 용량은 2kJ/kg이다.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의 특징은 무엇인가? 2013). 이중 상이 변하면서 에너지가 흡수되거나 방출되는 잠열 현상이 나타나는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은 특정 온도에서 고체가 액체가 되거나 액체가 고체로 변하면서 에너지가 흡수되거나 방출되는 현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원하는 온도에서 에너지의 방출과 흡수를 조절하기 용이한 재료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구조물의 에너지 사용 저감을 목적으로 다양한 상변화물질 혼입에 따른 에너지 저감현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Tyagi and Buddhi 2007; Pomianowsk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i, J.I., Park, S.E., Cha, S.L., Lee, B.Y. (2019). Effects of type of synthetic fiber on material properties of cementless composi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7(3), 255-261 [in Korean]. 

  2. Choi, J.I., Park, S.E., Lee, B.Y., Kim, Y.Y. (2018). Tensile properties of polyethylene fiber-reinforced highly ductile composite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100MPa clas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0(5), 497-503 [in Korean]. 

  3. Jeon, J., Lee, J.H., Seo, J., Jeong, S.G., Kim, S. (2013). Application of PCM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 to reduc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Journal of Thermal Analysis and Calorimetry, 111(1), 279-288. 

  4. JSCE. (2008). Recommendation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s with Multiple Fine Cracks(HPFRCC). Japan: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5. Kwok, A.G., Rajkovich, N.B. (2010). Addressing climate change in comfort standards, Building and Environment, 45(1), 18-22. 

  6. Kwon, S.J., Kang, S.T., Choi, J.I., Lee, B.Y. (2016). Compressive and tensile behavior of polyetylene fiber reinforced composite according to silica sand and fly ash,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4(1), 25-30 [in Korean]. 

  7. Levermore, G. (2008). A review of the IPCC assessment report four, part 1: the IPCC process and greenhouse gas emission trends from buildings worldwide, Building Services Engineering Research and Technology, 29(4), 349-361 

  8. Marin, P., Saffari, M., de Gracia, A., Zhu, X., Farid, M.M., Cabeza, L.F., Ushak, S. (2016). Energy savings due to the use of PCM for relocatable lightweight buildings passive heating and cooling in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Energy and Buildings, 129, 274-283. 

  9. Pomianowski, M., Heiselberg, P., Zhang, Y. (2013). Review of thermal energy storage technologies based on PCM application in buildings, Energy and Buildings, 67, 56-69. 

  10. Shin, K.J., Lee, S.C., Kim, Y.Y. (2019). High ductile fiber reinforced concrete with micro fibe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3(2), 92-98 [in Korean]. 

  11. Soares, N., Costa, J.J., Gaspar, A.R., Santos, P. (2013). Review of passive PCM latent heat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s towards buildings' energy efficiency, Energy and Buildings, 59, 82-103. 

  12. Tyagi, V.V., Buddhi, D. (2007). PCM thermal storage in buildings: a state of art,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1(6), 1146-1166. 

  13. Zavrl, E., Stritih, U. (2019). Improved thermal energy storage for nearly zero energy buildings with PCM integration, Solar Energy, 190, 420-4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