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등급에 따른 X선조사야와 광조사야 간의 면적 및 중심점 오차 비교
Comparison of Center Error or X-ray Field and Light Field Size of Diagnostic Digital X-ray Unit according to the Hospital Grade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4 no.3, 2020년, pp.245 - 252  

이원정 (대전보건대학교 방사선(학)과) ,  송규리 (대전보건대학교 방사선(학)과) ,  신현이 (대전보건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병원 등급에 따른 X선조사야와 광조사야 간의 면적 차이와 중심점 오차를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써 피폭을 낮추고 화질 향상을 위해 정도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하였다. 00광역시에 소재한 10개 병원의 디지털 일반촬영장치 12대를 대상으로 X선조사야와 광조사야의 중심점을 측정하였다. 병원 등급별로는 대학병원(university hospital) 3대, 종합병원(general hospital) 3대, 병원(hospital) 4대, 의원(clinic)에서 2대를 실시하였다. 표준화된 모눈종이 위에 투명 플라스틱판을 붙인 후 철사(0.8mm)를 이용하여 각각 다른 넓이로 팬텀을 제작하였고, 팬텀 중앙에 철사로 중심을 표시하였다. 디지털 일반촬영장치 테이블 위에 팬텀을 위치시킨 후 수직으로 각 조사야 별로 노출 시킨 후 영상을 얻었다. 모든 영상은 SSD 100cm에서 동일한 노출 조건으로 획득하였고,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조사야 및 오차 길이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측정 데이터는 평균과 표준오차로 나타낸 후 SPSS ver.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의원이 X선조사야와 광조사야 간에 면적차이가 가장 적었고, 그다음 대학병원, 병원, 종합병원이 가장 컸다. 중심점 오차가 가장 적은 대학병원을 기준으로 의원 간에 통계학적인 유의한 중심점 오차 차이를 보였다(p=0.024). 중심점 오차는 36개월 미만 그룹이 36개월 그룹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적은 오차를 보였다(0.26 vs. 0.88, p=0.036). X선조사야와 광조사야 간에 면적 차이는 의원이 가장 적었고, 중심점 오차는 대학병원이 가장 적었다. 또한, 정도관리 후 사용기간이 짧은 병원이 중심점 오차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정도관리 항목에 따른 수시정도관리 도입이 필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quality control (QC) in order to reduce exposure and improve image quality by comparing the center-point (CP) of according to hospital grade and the difference between X-ray field (XF) and light field (LF) in diagnostic digital X-...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병원 등급에 따른 X선조사야와 광조사야 간의 면적 차이와 중심점 오차를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써 피폭을 낮추고 화질 향상을 위해 정도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하였다.
  • 위와 같은 일부 제한점이 있을지라도 본 연구에서는 높은 에너지의 방사선을 이용한 암치료 분야 연구[12]에서 주로 이루어지던 X선조사야와 광조사야 및 중심점 일치 여부에 대해 진단 분야에서 알아본 데 큰 의미를 갖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97782&efYd20170929#0000 

  2. Y. J. Heo, K. T. Kim, S. C. Noh, S. H. Nam, J. K. Park, "A Base Study on the Constancy Quality Control Test and Clause of Diagnosis Radiation Equip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8, No. 3, pp. 105-110, 2014. http://dx.doi.org/10.7742/jksr.2014.8.3.105 

  3. T. L. Fauber, M. C. Dempsey, "X-ray Field Size and Patient Dosimetry", Radiologic Technology, Vol. 85, No. 2, pp. 155-161, 2013. 

  4. S. K. Choi, "Change of the Scattered Dose by Field Size in X-ray Radiograph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3, pp. 198-203, 2013.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3.198 

  5. A. Groenewald, W. A. Groenewald, "A universal phantom suitable for quality assurance on X-ray imaging modalities", Acta Radiologica, Vol. 60, No. 11, pp. 1523-1531, 2019. http://dx.doi.org/10.1177/0284185119831685 

  6. S. Green, J. E. Palethorpe, D. Peach, D. A. Bradley, "Performance assessment of patient dosimetry services and X-ray quality assurance instruments used in diagnostic radiology",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Vol. 50, No. 1, pp. 137-52, 1998. http://dx.doi.org/10.1016/S0969-8043(98)00030-X 

  7. C. J. Hourdakis, "Determination of the diagnostic x-ray tube practical peak voltage (PPV) from average or average peak voltage measurements", Physics in Medicine and Biology, Vol. 56, No. 7, pp. 2199-217, 2011. http://dx.doi.org/10.1088/0031-9155/56/7/019 

  8. I. C. Im, S. H. Lee, "Evaluation to X-ray Tube Variable Beam Limiting Device Ability Test, Colimation and Beam Alignment Test of Diagnostic X-ray Uni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9, No. 3, pp. 250-255, 2009. http://dx.doi.org/10.5392/JKCA.2009.9.3.250 

  9. K. R. Dong, S. J. Lee, D. C. Kweon, E. H. Goo, J. E. Jung, K. S. Lee, "Actual Condition of Quality Control of X-ray Imaging System in Primary Care Institution: focused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Vol. 35, No. 1, pp. 34-42, 2010. 

  10. J. H. Park, I. C. Im, K. R Dong, S. S. Kang, "A Performance Evaluation of Diagnostic X-ray Unit Depends on the Hospitals Size",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Vol. 34, No. 1, pp. 31-36, 2009. 

  11. J. K. Park, "Medical Clinics' quality Management of X-ray Units in Gyeongbuk A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0, No. 9, pp. 267-275, 2010. http://dx.doi.org/10.5392/JKCA.2010.10.9.267 

  12. S. Hashimoto, Y. Fujita, T. Katayose, H. Mizuno, H. Saitoh, K. Karasawa, "Field-size correction factors of a radiophotoluminescent glass dosimeter for small-field and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beams", Journal of Medical Physics, Vol. 45, No. 1, pp. 382-390, 2018. http://dx.doi.org/10.1002/mp.1266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