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 아미타불 및 관세음보살도에 나타난 문양을 응용한 아동 생활한복 디자인
Children's daily Hanbok design using the patterns in the Armita Buddhist paintings and Avalokitesvara of the Goryeo period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22 no.2, 2020년, pp.151 - 165  

장현주 (제주대학교 패션의류학과) ,  고순희 (제주대학교 패션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pattern of texture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pattern shown in the Amita Yeoraebul and the Avalokitesvara with symbolism suitable for children's clothing. In addition, the design and the manufacturing of a children's wearable Hanbok were attemp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색상은 실제 사진상에서 추출하는 것이 문제가 있음으로 원 유물에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되는 색상 중 오방색과 비교하여 유사색상을 찾아내어 이오방색을 다시 CMYK색상으로 변환하여 수치값으로 환산하여 제시했다. 그리고 문양의 모티브는 단순화 과정을 통해 실제 유물의 문양과 최대한 유사하게 표현하고자 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문화원형을 활용한 생활한복디자인 개발을 위해 여래도, 보살도를 비롯한 다양한 고려 불화 중 아동복 디자인에 응용하기 적합한 상징성을 가진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상을 선정했다.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상에 나타난 문양의 조형성을 분석한 후 이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텍스타일 패턴을 개발하고 DTP 출력하여 남녀 아동이 착용할 수 있는 생활한복을 디자인 하고자 한다.
  • 원피스는 민소매형태 이며 노란색 계열의 단색 면을 사용하여 문양 원단의 치마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했다. 목둘레에 레이스를 풍성하게 달고 앞 중심에는 레이스와 다양한 컬러의 장식단추를 달아 앙증 맞으면서 여성스럽고 사랑스럽게 표현하고자 했다. 후면에 상반신 전체 길게 트임을 주어 4개의 스냅단추를 달아 입고 벗기 편리하도록 했다.
  • 강우방(2007)의 연구에서 영기문은 신령스러운 기운을 표현한 다양한 무늬 일체를 말하며 곡선의 결합과 순환방식에 따라몇 가지 형태의 영기 문양을 제시하고 있다. 시대별 영기문의 형태 변천 등 앞으로 정확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되어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명칭인 당 초 문양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그리고 허선영(2008)은 당초문이 권운문, 인동문, 권초문 등 시대별로 명칭과 형태가 변천되며 추운 계절에도 잘 견디어 언제나 푸르고 잘 시들지 않아 장수와 태평성대를 상징한다고 한다.
  •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 복식에 나타난 문양을 응용한 텍스타일 패턴 및 이를 활용한 아동의 생활한복을 디자인하고자 한다.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작업은 Adobe CS5(Photoshop, Illustrator)와 TexPro 디자인 캐드를 사용하여 진행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문화원형을 활용한 생활한복디자인 개발을 위해 여래도, 보살도를 비롯한 다양한 고려 불화 중 아동복 디자인에 응용하기 적합한 상징성을 가진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상을 선정했다.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상에 나타난 문양의 조형성을 분석한 후 이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텍스타일 패턴을 개발하고 DTP 출력하여 남녀 아동이 착용할 수 있는 생활한복을 디자인 하고자 한다.
  • 여밈은 겉으로 보이지 않게 스냅단추 4개를 달았으며 넓은 치마폭으로 몸을 1/3정도 가릴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었다. 옷의 조화를 위해 깃과 고름은 남색계열의 단색 면을 사용하여 둥근 깃에 얇고 짧은 고름을 달아 밝고 경쾌한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했다. 귀갑문양은 장수, 벽사, 무병 등 상서로움을 상징 하는 문양으로 아동의 건강한 미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제작했다.
  • 한복의 일상복 및 캐주얼화, 전통한복의 현대 화가 주목받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고려 불화에 나타난 조형성을 이해하고 전통문화원형의 이미지를 최대한 유지한 채 전통문양의 현대적 활용을 시도하기 위해 아동에 적합한 상징적 스토리를 담은 한복패션상품을 개발한 것이다. 기본적 형태를 유지하며 활동성 및 위생성을 최대한 보장한 형태 및 소재로 개발했으며 아동들이 전통복식문화를 접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우방. (2007). 한국미술의 탄생. 서울: 솔출판사. 

  2. 강순제. (2015). 한국복식사전. 서울: 민속원. 

  3. 고승희. (2017). 한국의 불화문양. 경기: 지식산업사. 

  4. 고승희. (2000). 고려불화의 문양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고순희, 장현주. (2015). 한국 전통 나비매듭을 응용한 텍스타일 및 어린이 원복 디자인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7(1), 83-92. 

  6. 김혜진, 홍나영. (2015). 만 3-6세 유아의 성장을 고려한 한복 디자인 제안. 한복문화, 18(3), 95-111. 

  7. 김민지, 김순영. (2019). 후백제 기와문양을 응용한 영유아 생활한복 디자인 개발. 복식, 69(1), 91-108. 

  8. 김신혜, 김은정. (2018). 십이지(十二支) 동물을 활용한 생활한복 스타일의 유치원복 디자인 개발. 한복문화, 21(3), 81-95. 

  9. 김정희, (2009). 불화: 찬란한 불교 미술의 세계(테마 한국 문화사 07). 서울: 돌베개. 

  10. 문화관광부. (2001). 우리 옷 이천년. 서울: 미술문화. 

  11. 배리듬, 윤은영, 김은정. (2016). 한국 전통 복식조형미를 응용한 국내 유치원 졸업예복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9(1). 107-118. 

  12. 심연옥. (2010). 고려불화에 표현된 복식문양 연구. 한복문화, 13(2), 128. 

  13. 이명숙. (2012). 한국공예품에 표현된 봉황문양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1), 179. 

  14. 이미경. (2001). 고려불화에 나타난 연화문양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주원, 이병화. (2011). 온라인 시장분석을 통한 아동 한복 확대 방안 연구. 한복문화, 14(2), 61-74. 

  16. 임영주. (1983). 韓國紋樣史: 韓國美術 樣式의 흐름. 서울: 미진사. 

  17. 임영주. (1998). 한국전통 문양 2. 장생.오복.사랑의 상징문양. 서울: 예원. 

  18. 위혜주. (2004). 고려불화법의에 표현된 장식문양.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자현. (2017). 불화의 비밀. 서울: 조계종출판사. 

  20. 장현주. (2016). 고구려 고분벽화의 별자리를 응용한 유아동 신한복 디자인 개발. 한복문화, 19(4), 59-76. 

  21. 장현주, 고순희. (2013). 효제문자도의 효자도(孝字圖)를 응용한 텍스타일 및 어린이 원복 디자인 개발. 한국디자인포럼, 41, 311-320. 

  22. 장현주, 김소희. (2017). 고구려 고분벽화의 해.달문양을 응용한 유.아동 신한복 디자인 개발. 한복문화, 20(3), 23-34. 

  23. 절강대학. (2018). 고려화전집 1 구미장품권. 중국: 절강대학출판사. 

  24. 정수진. (2015). 유치원복 디자인의 색채 선호감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3), 621-632. 

  25. 전성연. (2018). 천연염색 소재를 이용한 유치원복디자인 개발 I.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3), 523-532. 

  26. 최진, 도월희, 김은정. (2019). 유아동 한복치수 체계에 관한 연구; 0세-12세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생활과학 연구소, 29(1), 89-102. 

  27. 한국 지식백과 미의 재발견 용어모음. 자료검색일 2019. 12. 5, 자료출처 http://www.terms.naver.com 

  28. 한국의 미 7. (1994). 고려불화. 서울: 중앙일보사. 

  29. 허균. (2002). 전통문양. 서울: 대원사. 

  30. 허선영. (2008). 고대 한.중 인동당초문양 명칭과 형태의 재고. 동아시아고대학, 18, 1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