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반적인 의생활 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안전 불안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umer Perception of Safety Anxiety on Overall Clothing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4 no.2, 2020년, pp.209 - 223  

박신영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이유리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김주연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고은경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consumers' perceived anxiety regarding how safe the clothing and lifestyle products are as well as influencing factors.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ministered online survey of 1,126 adult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nsumer anxiety about chemicals and hy...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7; Sah & Yeo, 2014), 의생활 제품에 초점을 맞추어 소비자의 안전 불안감을 알아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생활과 관련된 물리적인 제품의 위험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의생활 환경에 대한 소비자 안전 불안감 인식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의생활을 외모관리의 영역으로 확장하여 제품 연구 대상을 의류제품뿐만 아니라 외모관리 제품, 위생용품 등 신체에 맞닿을 수 있는 생활화학제품 영역으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총 3개의 연구문제를 통해 소비자 안전 불안감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을 고찰하고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 1은 의류, 섬유 및 외모관리 제품 등 의생활 환경 제품 영역별 소비자 안전 불안감과 전반적인 소비자 안전 불안감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총 3개의 연구문제를 통해 소비자 안전 불안감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을 고찰하고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 1은 의류, 섬유 및 외모관리 제품 등 의생활 환경 제품 영역별 소비자 안전 불안감과 전반적인 소비자 안전 불안감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문제 2는 소비자의 안전 불안감과 정보제공 원에 대한 신뢰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 연구 문제 1은 의류, 섬유 및 외모관리 제품 등 의생활 환경 제품 영역별 소비자 안전 불안감과 전반적인 소비자 안전 불안감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문제 2는 소비자의 안전 불안감과 정보제공 원에 대한 신뢰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마지 막으로 연구문제 3은 소비자의 개인 특성에 따라 안전 불안감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시장을 세분화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전반적인 의생활 환경에서 물리적인 제품의 위해 요소에 따른 소비자의 안전 불안감을 파악하여 소비자 안전에 대한 의류학의 기여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실무적으로 기업이 소비자의 안전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효과 적으로 수립하도록 하며 이는 기업의 커뮤니케이션채널 선정 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나아가, 제품 안전과 관련된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소비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의생활 및 생활화학제품 영역에 따른 소비자의 안전 불안감 수준의 차이를 규명하고 각 제품 영역별 소비자의 안전 불안감과 전반적인 소비자 안전 불안감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반적인 소비자 안전 불안 감에 따른 소비자의 의생활 및 생활화학제품 영역별 안전 불안감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이 다차원적인 속성을 가지는 신뢰성의 공통 요인은 진실성(trustworthiness)과 전문성(expertise)인데, 진실성은 신뢰 평가의 주요 요인으로 의도의 정직함, 공정함, 올바름 등으로 정의된다(Kim, 2008). 이에 본 연구는 정보제공원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전문성과 더불어 정직성, 공정성의 3가지 하위차원으로 분류하여 측정하고자 한다. 공정성이란 객관성, 중립, 균형 등의 의미를 포함하며 정보제공원이 얼마나 공정하게 일을 처리하는지에 관련된다(Berkowitz, 1997).
  • 정직성은 정보제공원이 소비자에게 거짓되지 않고 진실되게 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전문 성은 정보제공원이 해당 분야에서 전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한 정도를 의미한다(Ohanian, 1990). 또한 소비자 안전 제고를 위해 정부와 기업, 소비자가 노력해야하는 정도를 추가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소비자의 정보제공원 신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 또한 앞서 설명한 정보제공원과 관련된 선행연구 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의생활 및 생활화학제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요 정보원으로서 정부기관, 언론, 전문가 집단과 인터넷 카페/블로그로 구분하여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정부기관은 정부와 관련된 체계적인 기구를 통해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관을 말하며, 언론은 신문이나 TV 방송 등을 통해 정보를 전달해주는 전통적 대중매체를 의미한다.
  •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의 안전 불안감 수준에 따른 정보제공원, 즉 정부기관, 언론(신문/방송), 전문가 집단 및 인터넷 카페/블로그에 대한 신뢰 (공정성, 정직성, 전문성)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전반적인 의생활 환경에서 소비자의 안전 불안감을 완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내용 및 채널선정 등의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주관적 지각을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관심도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주관적 건강상태(subjective health status)는 개인이 평가하는 전반적인 건강상태로 자신의 건강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따라 개인의 건강상 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많은 선행연구에서 주관적 건강상태가 개인의 건강상태를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된 바 있다(Lewis & Riegel, 2010; Parker & Thorslund, 2007; Speake et al.
  •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주관적 지각(주관적 건강상태, 건강관심도) 수준에 따른 소비 자의 의생활 및 생활화학제품에 대한 안전 불안감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고 두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연령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소비자에게 보다 개인화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문제 1. 의생활 및 생활화학제품 영역별 소비자 안전 불안감이 전반적인 소비 자의 안전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연구문제 2. 소비자의 안전 불안감 수준에 따른 소비자의 정보제공원에 대한 신뢰도 차이를 파악한다.
  • 마지막으로 연구문제 3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의생활 및 생활화학제품 영역별 소비자의 안전 불안감 수준이 다른 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주관적 지각이 의생활 및 생활화학제품 영역별 소비자 안전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과 두 관계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전반적인 의생활 환경에서 물리적인 제품의 위험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소비자 안전 불안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 3개의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의생활 안전 불안감의 인식과 수준을 알아보고 안전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알아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전반적인 의생활 환경에서 물리적인 제품의 위험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소비자 안전 불안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 3개의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의생활 안전 불안감의 인식과 수준을 알아보고 안전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알아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첫째, 의류제품, 화학제품, 미용제품 및 위생용품으로 구분된 의생활 및 생활화학제품의 영역별 소비자 안전 불안감이 전반적인 소비자 안전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의류제품과 미용제품에 대한 소비자 안전 불안감은 전반적인 소비자 불안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화학제품과 위생용품에 대한 소비자 안전 불안감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식(주관적 건강상태, 건강관심도)에 따라 소비 자의 의생활 및 생활화학제품 영역별 안전 불안감 수준이 다른 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소비자는 자신의 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지할수록 모든 영역의 의생활 및 생활화학제품에 대한 안전 불안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효과적인 소비자의 안전 불안감 감소를 위해 의생활 환경 및 생활화학제품 영역별 불안감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고, 소비자 의생활 안전 불안감 수준에 따른 정보제공원 신뢰 수준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소비자의 주관적인 건강인 식과 개인적 특성에 따른 안전 불안감의 수준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그 영향 요인을 고려함으로써 소비자 안전 불안감 감소를 위한 정책적 자원들이 적재 적소에 전달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함을 제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Bauer, R. A. (1960). Consumer behavior as risk taking. In R. S. Hancock (Ed.), Dynamic marketing for a changing world (pp. 389-398). Chicago, IL: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2. Beck, U. (1997). Global risk politics. The Political Quarterly, 68(B), 18-33. doi:10.1111/1467-923X.00113 

  3. Berkowitz, D. (1997). Social meanings of news: A text-reader.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4. Boksberger, P. E., Bieger, T., & Laesser, C. (2007).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perceived risk in commercial air travel. Journal of Air Transport Management, 13(2), 90-96. doi:10.1016/j.jairtraman.2006.10.003 

  5. Choi, I. (2005). 정보화시대의 사회적 불안의 특성과 변화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social anxiety in the information age]. Gwacheon: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6. Endler, N. S., Parker, J. D., Bagby, R. M., & Cox, B. J. (1991). Multidimensionality of state and trait anxiety: Factor structure of the Endler Multidimensional Anxiety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6), 919-926. doi:10.1037/0022-3514.60.6.919 

  7. Featherman, M. S., & Pavlou, P. A. (2003). Predicting e-services adoption: a perceived risk facets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59(4), 451-474. doi:10.1016/S1071-5819(03)00111-3 

  8. Freud, S. (1917). Eine schwierigkeit der psychoanalyse [Difficulty in psychoanalysis]. Imago, 5(1), 1-7. 

  9. Gewald, H., & Dibbern, J. (2009). Risks and benefits of business process outsourcing: A study of transaction services in the German banking industry. Information & Management, 46(4), 249-257. doi:10.1016/j.im.2009.03.002 

  10. Ha, J. Y., & Choi, E. Y. (2013). Health perception, health concer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5(3), 277-285. 

  11. Harris, D. M., & Guten, S. (1979). Health-protective behavior: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0(1), 17-29. doi:10.2307/2136475 

  12. Hong, S. (2010). Studies of risk and politics of risk-From risk society to security society-. Ajou Law Review, 4(2), 223-242. doi:10.21589/ajlaw.2010.4.2.223 

  13. Jacoby, J., & Kaplan, L. B. (1972). The components of perceived risk. In M. Venkatesan (Ed.), SV - Proceedings of the Third Annu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pp. 382-393). Chicago, IL: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14. Kierkegaard, S. (1980). The concept of anxiety: A simple psychologically orienting deliberation on the dogmatic issue of hereditary sin (R. Thomte & A. Anderson, Tran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844) 

  15. Kim, E.-J., Hwang, S.-S., Park, J.-M., & Lee, H.-I. (2004). A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a group of middle aged men in K-Ku, Incheon city.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5(3), 408-418. 

  16. Kim, K. H., & Park, D. B. (2001).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benefit sought, satisfaction, and loyalty of green tea consumers: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6(4), 314-322. doi:10.7318/KJFC.2011.26.4.314 

  17. Kim, K. H., Yoo, H. J., & Song, E. (2017). An analysis on the structural model for consumer trust-anxiety-competency by source of information - Focused on chemical household products -. Crisisonomy, 13(3), 141-158. doi:10.14251/crisisonomy.2017.13.3.141 

  18. Kim, S. J. (2018, November 26). 美 의류 수출기업, 'Proposition 65' 대비하라 [Prepare for 'Proposition 65']. The Industry News. Retrieved from http://www.tinnews.co.kr/16110 

  19. Kim, Y.-K. (2008). Development of indeicators for evaluating the web credibility by goodness-of-fi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5(4), 185-204. doi:10.3743/KOSIM.2008.25.4.185 

  20. Ko, E. (2017). Rights of healthcare consumers and shared decision-making in medical servic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1. Lee, D. h. (2012). A study of contemporary consumers' anxiety and consumption conformity (Unpublished ma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2. Lee, D.-J., Park, J. Y., Lee, H., T., & Yu, B. H. (2008). The effects of trust dimensions on relationship commitment: the relative efficacy and effect symmetry. In A. Y. Lee & D. Soman (Eds.), NA -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ume 35 (pp. 457-466). Duluth, MN: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23. Lee, J.-H. (2017).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nsumer attitude, usage motive, health-consciousnes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 pursuant to foodservice nutrition information labeling system.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3(5), 129-139. doi:10.20878/cshr.2017.23.5.014014014 

  24. Lee, J.-Y., & Kim, K.-D. (2009).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nd concern for food safety among urban housewives.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6(6), 999-1007. 

  25. Lee, M.-C. (2009).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internet banking: An integration of TAM and TPB with perceived risk and perceived benefi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s, 8(3), 130-141. doi:10.1016/j.elerap.2008.11.006 

  26. Lewis, L. M., & Riegel, B. J. (2010). Determinants of perceived health in older adults with hypertension. Heart & Lung: The Journal of Cardiopulmonary and Acute Care, 39(1), 41-49. doi:10.1016/j.hrtlng.2009.06.010 

  27. Luo, X., Li, H., Zhang, J., & Shim, J. P. (2010). Examining multidimensional trust and multi-faceted risk in initial acceptance of emerging technologies: An empirical study of mobile banking services. Decision Support Systems, 49(2), 222-234. doi: 10.1016/j.dss.2010.02.008 

  28. Maller, R. G., & Reiss, S. (1992). Anxiety sensitivity in 1984 and panic attacks in 1987.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6(3), 241-247. doi:10.1016/0887-6185(92)90036-7 

  29. May, R. (1950). Toward an understanding of anxiety. Pastoral Psychology, 1(2), 25-31. doi:10.1007/BF01786110 

  30. Mayer, R. C., Davis, J. H., & Schoorman, F. D. (1995).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3), 709-734. doi:10.5465/amr.1995.9508080335 

  31. Mohr, P., Harrison, A., Wilson, C., Baghurst, K. I., & Syrette, J. (2007). Attitudes, value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predict acceptance of genetic engineering and applications of new technology in Australia. Biotechnology Journal: Systems & Synthetic Biology.Nanoblotech.Medicine, 2(9), 1169-1178. doi:10.1002/biot.200700105 

  32. Murray, K. B. (1991). A test of services marketing theory: Consumer information acquisition activities. Journal of Marketing, 55(1), 10-25. doi:10.2307/1252200 

  33. Newsom, J. T., McFarland, B. H., Kaplan, M. S., Huguet, N., & Zani, B. (2005). The health consciousness myth: implications of the near independence of major health behaviors in the North American population. Social Science & Medicine, 60(2), 433-437. doi:10.1016/j.socscimed.2004.05.015 

  34. Ohanian, R. (1990).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celebrity endorsers' perceived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attractiveness. Journal of Advertising, 19(3), 39-52. doi:10.1080/00913367.1990.10673191 

  35. Olatunji, B. O., Deacon, B. J., & Abramowitz, J. S. (2009). Is hypochondriasis an anxiety disorder?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4(6), 481-482. doi:10.1192/bjp.bp.108.061085 

  36. Park, S. A., & Song, K. J. (2005).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psychological adaptation.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1(2), 1-29. 

  37. Parker, M. G., & Thorslund, M. (2007). Health trends in the elderly population: Getting better and getting worse. The Gerontologist, 47(2), 150-158. doi:10.1093/geront/47.2.150 

  38. Reiss, S., & McNally, R. J. (1985). Expectancy model of fear. In S. Reiss & R. R. Bootzin (Eds.), Theoretical issues in behavior therapy (pp. 107-121). San Diego, CA: Academic Press. 

  39. Reynolds, B., & Seeger, M. W. (2005). Crisis and emergency risk communication as an integrative model.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0(1), 43-55. doi:10.1080/10810730590904571 

  40. Sah, J. (2012). A study on consumer anxiety about food-technological risk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1. Sah, J. Y., & Yeo, J. S. (2014). Levels of consumer anxiety and its determinants: Focus on genetically-modified foods, food additives, and mad cow diseas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5(1), 145-172. 

  42. Schurr, P. H., & Ozanne, J. L. (1985). Influences on exchange processes: Buyers' preconceptions of a seller's trustworthiness and bargaining toughn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1(4), 939-953. doi:10.1086/209028 

  43. Sego, T., & Stout, P. A. (1994). Anxiety associated with social issues: the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an antecedent construct. In C. T. Allen & D. R. John (Eds.), NA -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ume 21 (pp. 601-606). Provo, UT: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44. Shin, C.-Y., & Lee, M.-H. (2001).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anxiety on clothing benefits sough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1(2), 79-92. 

  45. Siegrist, M., & Cvetkovich, G. (2000). Perception of hazards: The role of social trust and knowledge. Risk Analysis, 20(5), 713-720. doi:10.1111/0272-4332.205064 

  46. Speake, D. L., Cowart, M. E., & Pellet, K. (1989).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2(2), 93-100. doi:10.1002/nur.4770120206 

  47. Taylor, J. W. (1974). The role of risk in consumer behavior: A comprehensive and operational theory of risk taking in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38(2), 54-60. doi:10.1177/002224297403800211 

  48. Wang, J. S., & Lee, H. J. (2011). 과학기술인식의 다원성과 영향 요인: 유전자변형식품(Genetically Modified Food: GM Food)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Multi-dimensionality of perceptions on science technology and its determinants: The case of public perceptions on genetically modified food (GM food)]. Journal of Governmental Studies, 17(1), 145-185. 

  49. Yoo, J. S. (2018, May 31). "7월 1일 전안법 시행, 가이드북 확인하세요" ["Enforcement of the safety management act on electrical and household Goods on July 1. Check the guidebook"]. MTN. Retrievd from http://news.mtn.co.kr/newscenter/news_viewer.mtn?gidx20180531105802866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