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조경용 주요 지피식물의 생장 특성을 고려한 식재조합 및 혼식 적합성 평가
Evaluation of optimal planting combination consider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major landscaping groundcover plant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8 no.1, 2020년, pp.197 - 205  

한승원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장하경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관식재용 지피식물의 혼식 설계를 위하여 생활형이 다른 9종의 식물의 연중 생장 특성을 파악하고 식물들 간의 피복 특성을 분석하여 생활형에 따른 적정 식재조합을 도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단립형으로 초장 20 cm 이상 생장하는 둥굴레, 맥문동, 일월비비추는 4월 식재 후 60일 이내 생육이 증가한 후 형태를 유지하였다가 9월 이후 지상부가 퇴화하며 휴면기에 들어가는 경향을 보였고, 분지형으로 20 cm 이하로 생장하는 바위취, 패랭이꽃, 애기기린초는 4월 식재 후 9월까지 지속적으로 생장하다가 9월 이후 생장이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포복형으로 지면에 붙어서 생장하는 리시마키아는 식재 후 3개월 경과부터 급속한 생장을 보였으며 돌나물은 8월까지 서서히 생장하다가 온도가 하강하는 9월부터 지상부가 퇴화하는 특성을 보였다. 꽃잔디는 초반 생장은 좋았으나 개화기가 지나고 난 후에는 전반적인 생육발달이 더뎌져 식재 후 7개월 동안 11.0%의 낮은 생장 특성을 보였다. 이와 같이 각기 다르게 생장하는 9종의 식물들을 혼식하였을 때 피복하는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각 식물의 생장 특성이 피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초장이 10~20 cm 자라며 로제트형으로 자라는 형태와 포복형 식물들의 조합이 높은 피복률을 나타냈다. 식물별로는 포복형인 돌나물이 맥문동, 일월비비추, 패랭이꽃, 애기기린초, 꽃잔디 등이 가장 많은 식물들과 혼식하였을 때 생장이 증가하는 종이었다. 로제트형 중에서는 일월비비추가 애기기린초, 바위취, 리시마키아, 돌나물과 동반생장이 가능한 종이었고, 지표면에서 분지가 밀생하여 자라는 패랭이꽃은 잎이 밀생하지 않는 맥문동, 바위취, 리시마키아, 돌나물과 혼식이 유리한 경향을 나타났다. 이 결과는 식물의 생장형 분류 중 근경이 분지하는 종보다 땅위로 뻗는 줄기로 번식하거나 무근경으로 영양 생장하는 종이 다른 종들과 혼식하기에 좋은 유형이라고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purpose of designing companion planting of groundcover plants for ornamental uses, this study identified the y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nine species of different life forms, analyzed the coverag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lants, and suggested combinations of plants suitable for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생태공간 설계를 위하여 조경용 초화류 식물의 시기별 생장과 피복 특성을 파악하고 각 식물들이 혼식되었을 때의 피복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식물생장에 적합한 식재조합을 도출하여 지피식물 식재시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지피식물의 식재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안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tsushi K, N Takayuki, B Yukiko and M Takehiro. 2018. Ecological significance of different growth forms of purple Saxifrage, Saxifraga oppositifolia L. Arct. Antarct. Alp. Res. 31:27-33. 

  2. Darke R and DW Tallamy. 2014. The living landscape: Designing for beauty and biodiversity in the home garden. Timber Press, Portland, OR. 

  3. Groves RH and JD Williams. 1975. Growth of skeleton weed (Chondrilla juncea L.) as affected by growth of subterranean clover (Trifolium subterraneum L.) and infection by Puccinea chondrillina Bubak and Syd. Aust. J. Agric. Res. 26:75-83. 

  4. Hideo T and O Teruo. 1979. Ecological Research Method Course: Ecological Transition Research Method. Kyoritsu Publishing, Tokyo, Japan. pp. 43-49. 

  5. Jang HK. 2010. A study of planting models for extensive green roof system with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Ph.D. thesis. Seoul Woman's University, Seoul. 

  6. KABS (The Korean Association of Biological Sciences). 1998. Iwanami's dictionary of biology (Korean translation). Academybook, Seoul. p. 2068. 

  7. Ki UH. 2011. Landscape Illustrations of Wild Flower 365. Housing culture Co., Seoul. 

  8. Kim CH and H Myung. 2009. Four-year survey on transitions of the life form of plants after developing human-made wetlands along Boknaecheon of Juam lake. Korean J. Environ. Ecol. 23:30-40. 

  9. Kim JW and YK Lee.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science. Seoul, Korea. 

  10. Kim MH, JU Eo, SI Kwon and YJ Song. 2017. Flora and vegetation of hilly pasture in Daegwallyeong. Korean J. Environ. Biol. 35:398-412. 

  11. Kim MK and WK Sim. 2010. Suggestions for multi-layer planting model in Seoul area based on a cluster analysis and interspecific association. J. Korean Inst. Landsc. Architect. 38:106-127. 

  12. Kim MK. 2011. Multi-layer planting model based on analysis of natural plant structure. Ph.D.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3. Kim SM. 2014. A study on the irrigation management of the herbaceous flowers for landscaping in an artificial ground. M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4. Kraft NJB, PB Adler, O Godoy, EC James, S Fuller and JM Levine. 2015. Community assembly, coexistence and the environmental filtering metaphor. Funct. Ecol. 29:592-599. 

  15. Lee C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Korea. 

  16. Lee WC 1996a.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book, Seoul. 

  17. Lee WC. 1996b.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book, Seoul. 

  18. Niemera AX. 2012. Selecting Landscape Plants: Groundcovers. Virginia Tech., Blacksburg, VA. 

  19. Numata M. 1985. Weed Flora of Japan Illustrated by Colour. National Rural Education Association. Japan. 

  20. Oh KK and KJ Lee. 1986.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natural vegetation in Hoo-Won Changduk Palace. J. Korean Inst. Landsc. Architect. 14:27-41. 

  21. Park SG. 2017. A study on the layer planting models applicable to urban environments in Korea. MS. thesis. Gachun University, Seongnam, Korea. 

  22. Rainer T and C West. 2015. Planting in a Post-Wild World: Designing Plant Communities for Resilient Landscapes. Timber Press, Portland, OR. 

  23. Raunkiaer C. 1934. Life Form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harendon Press, Oxford, UK. 

  24. RDA. 2013. Growing Korean native flower: Agricultural Technology Assistan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Korea. 

  25. Sim WK and DI Lee. 2001. An analysis of Status quo on the multi-layer planting at the landscape planting area in apartments and neighborhood parks in Seoul metropolitan area. J. Korean Inst. Landsc. Architect. 29:140-151. 

  26. Twardowski CM, JL Crocker, JR Freeborn and HL Scoggins. 2012. Quantity and quality of cuttings as influenced by stock plant nutrition of herbaceous perennials. HortTechnology 22:89-93. 

  27. Uriseed. 2012. Technique development of new varieties of genus Dianthus and Coreopsis for export. Uriseed Company. Report No. TRKO201800000656.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ood. Sejong, Korea. 

  28. Wang RZ. 2004. Photosynthetic pathways and life form types for native plant species from Hulunbeier Rangelands, Inner Mongolia, North China. Photosynthetica 42:219-227. 

  29. Wilson JB and WG Lee. 1989. Infiltration invasion. Funct. Ecol. 3:379-3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