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박람회 참여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치매발병 불안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Anxiety of Dementia Development in the Elderly Participation in Local Expo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7, 2020년, pp.41 - 49  

송환 (초당대학교 뷰티디자인학과) ,  김혜숙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박람회에 참여한 노인을 대상으로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 및 치매발병 불안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9년 지역박람회 참여자 중 65세 이상 노인 43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은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월수입, 경제적 상태 등 융합적 요인이 53.0% 정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발병 불안감소와 건강증진행위의 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지역사회 행사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노인들이 지역사회 행사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거나 홍보 노력을 기울려야 할 것이며, 노인들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프로그램 참여로 사회 관계망을 맺을 수 있고, 이를 통해 건강증진행위 향상과 치매발병 불안이 감소되어 노인의 삶의 질이 향상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for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s fair to identify the factors of the convergent impact of perceived health conditions,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dementia anxiety on the quality of health-related life. The research subjects were surv...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박람회 참여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 및 치매발병 불안이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융합적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역박람회 참여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치매발병 불안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박람회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 및 치매발병 불안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연구의 목적은 지역박람회 참여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 및 치매발병 불안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융합적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Life expectancy and disability adjusted life expectancy[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 ?idx_cd2758 

  2. H. S. Kim. (2017). Effect of Pain, Nutritional Risk, Loneliness, Perceived Health Statu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7), 207-218. DOI : 10.15207/JKCS.2017.8.7.207 

  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survey of the elderly.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December. Report No. 2014-61. 

  4. Y. B. Kim & S. H. Lee. (2018). Effects of the Elderly's Health Statuses, Health Behavior, and Social Relations on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cusing on Family Typ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9(3), 310-321. DOI : http://dx.doi.org/10.12799/jkachn.2018.29.3.310 

  5. J. Y. Kim, S. G. Lee & S. K. Lee.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471-484. 

  6. J. Yeom. (2016). A longitudinal study of life satisfaction trajectory among older adults: Comparing rural to urban areas in Korea.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26(1), 157-200. 

  7. J. Liang. (1986). Self-reported physical health among aged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41, 248-260. 

  8. J. H. Yeom, J. S. Park & D. H. Kim. (2012).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2(4), 1101-1118. UCI : G704-000573.2012.32.4.009 

  9. C. J. Chang. (2017). Structural relationship of subjective health, ability to work, participation on economic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305-310.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7.8.10.305 

  10. C. G. Kim & M. S. Sung. (2002).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People: Perceived Conception of Health and Family Suppor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9(1), 133-143, 

  11. D. H. Lee. (2020). A Convergence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Health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3), 95-100. https://doi.org/10.15207/JKCS.2020.11.3.09 

  12. S. N. Walker, K. R. Sechrist & N. J. Pender. (1987).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1. 

  13. K. W. Lee & A. L. Kim. (2018). Senior Citizens' Relationships between Dementia Knowledge, Dementia anxiety,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in community. Korea Society for Wellness, 13(4), 357-367. DOI : 10.21097/ksw.2018.11.13.4.357 

  1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16). http://www.kihasa.re.kr 

  15. N. G. Kang. M. S. Yoo, M. S. Song & M. A. You. (2015). Original Article: The Effect of Knowledge on Dementia and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among the Korean Older People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10(3), 9-19. UCI : G704-SER000008861.2015.40.3.011 

  16. J. S. Yoon, K. D. Sun & W. Y. Shin. (2016).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Future Time Perspe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6(4), 1191-1206. 

  17. H. G. Yoon & D. H. Kim. (2011). An analysis of the relation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health status, satisfaction of leisure and quality of life of the senior citizen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0(4), 219-230. 

  18. S. M. Moon. (2017).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socioeconomic, health-related,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6), 259-271. DOI: https://doi.org/10.14400/JDC.2017.15.6.259 

  19. Ware, J. E. (1979). Health perception questionnaire Instrument for measuring nursing practice and other care vaiables. hyattsville, Maryland.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publication, 1(1), 158-16. 

  20. Y. A. Hong. (2003). The effect of health screening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1. Ware JE, Jr M, Kosinski DM, & Turner-Bowker BG. (2002). How to score version 2 of the SF-12 health survey: with a supplement documenting version 1.Boston Massachusetts: Quality Metric Incorporation; 267. 

  22. J. H. Yeom & Y. S. Min. (2020). Convergence Study on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Rural Older Adul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elf-rated Health.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0(1), 109-119. https://doi.org/10.22156/CS4SMB.2020.10.01.109 

  23. A. R. Park & K. S. Jeong. (2017). Influence of Subjective Health Status, Social Activity and Family Support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 a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3), 212-221. DOI : 10.5392/JKCA.2017.17.03.212 

  24. M. S. Sung & B. S. Song. (2004).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Degree of Life Satisfaction in Rural Elderly Peopl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1(1), 82-91. 

  25. Y. I. Park, J. S. Park, H. S. Yoon, N. H. Kim & J. H. Chun. (2017). Level and Related Characteristics of Phobia (Fear) for Dementia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4), 829-839. DOI : 10.35873/ajmahs.2017.7.4.078 

  26. H. K. Kim, H. J. Lee & S. M. Park. (2010).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279-292. 

  27. Birren, J. E. (1964). The psychology of ag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8. Maddox, G. (1962). Some Correlates of Differences in Self-assessment of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Gerontology, 17, 180-185. 

  29. Engle, V. (1986). The Relationship of Movement and Time to Older Adult's Functional Health.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9, 123-129. 

  30. H. J. Choi, J. E. Koh, O. H. Ahn, H. G. Kim & S. J. Yang. (2018). Community Health Nursing II. Seoul : Hyunmoon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