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브랜드의 온라인 상품기획 -자사몰 운영의 여성복 브랜드를 중심으로-
Online Product Planning in a Fashion Brand -Focused on the Brand of Women's Clothing Run by the Company's Mall-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24 no.3, 2020년, pp.69 - 84  

이수진 (서울여자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이금희 (서울여자대학교 패션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amples of online fashion product planning of domestic fashion brand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step-by-step problems in product planning, and to suggest product planning methods. This study consists of a literature study and a case study. The results...

주제어

표/그림 (1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 상품기획은 무엇인가? 패션 상품기획이란 매 시즌 새고운 상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과정으로, 패션 업체가 소비자의 수요를 예측하고 소비자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 시켜줄 수 있는상품을생산 하여 원화는 시기와 장소에 적정한 가격, 품질, 수량, 판촉을 제공하기 위한 기업 활동이라 할 수 있다(Choi, 2003). 패션기업에서 마케티 환경을 분석하여 소비자의 욕구와 브랜드 이미지에 맞는 상품을 기획하고 실제적인 데자인 전개를 진행하는 체계적인 과정을 거치는 상품 개발 프로세스라고 하며 상품이나 서비스를 새롭게 창조할 뿐 아나라 소비자와 소통 하는 과정까지도 포괄적인 의미의 데자인기획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Um & Jang, 2017).
코로나 19로 인해 포스트 코로나 이후 변화된 소비자 환경에서 고려해야 할 변수는 무엇인가? 이처럼 소비자들의 온라인을 통한 구매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의류와 패션 관련 상품이 온라인 매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에 온라인 유통에서 패션 상품군이 중요해졌다고 볼 수 있다. 더욱이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의 상품구매 및 온라인 유통이 늘고 있는 환경에서 온라인 상품의 기획은 포스트 코로나 이후 변화된 소비자 환경에서 고려해야 할 변수로 자리 잡았다.이렇듯 현재 패션 기업에서의 온라인 시장 확대는 피할 수 없는 현실로 주요 브랜드들의 자사몰이 온라인 통합 몰로 변하거나 온라인 전용 상표를 내보내는 등 온라인 신규 사업에 힘을 쏟고 있지만, 상품기획에서는 이전 의방식을 답습하고 있을 분유통 환경 변화에 따른온라인 상품의 기획과정은 체계화되어있지 않고 매우 미흡한실 정에서 진행되고 있다.
패션 유통환경이 다양한 온라인 채널을 도입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패션 유통은 중에서 2000년대 이전 백화점, 길거리 가게 중심의 오프라인 유통 중심을 이루다가 2000년대 이후 정보 통신의 발달과 인터넷의 등장으로 온라인 쇼핑이 활성화되고 2010년에 들어서는 스마트 폰의 영향으로 모바일, 사 회적을 통한 옴니채널(Omnia-channel)화가 가속화되면서 다양한 온라인 채널을 도입하게 되었다(Kim, 2018). 즉 정보기술의 발달과 인터넷 확산, 스마트 폰 등의 등장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넘나들며 상품의 검색 및 구매패턴이 변화하는가운데패 션 산업에서도 온라인 유통은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ce Trader. (2018, March 12). 온라인 마케팅 동향_의류.패션 [Online marketing report clothes fashion]. Retrieved March 20, 2019, from https://www.acetrader.co.kr/news/txView?seq374&page6§ionbrd 

  2. Ahn, S. (2019, August 20). 패션업계, 온라인몰 강화로 불황이긴다 [Fashion industry wins recession by strengthening online mall]. News2day. Retrieved August 30, 2019, from http://news2day.co.kr 

  3. Choi, M. (2003). An Analysis of merchandiser's operation process of women's character apparel fir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4. Collaboration. (n.d.). Retrieved July 8, 2019, from http://www.itnk.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243 

  5. Heo, Y. (2020, February 10). 2019년 국내 온라인 패션시장 13.4% 신장한 42조6천879억원 [Domestic online fashion market increased by 13.4% in 2019 to 42.68 trillion won]. FashionN. Retrieved July 11, 2020, from https://www.fashionn.com 

  6. Hong, S. (2019, April 19). 신 트렌드 '그레이네상스*' 활짝 [New trend 'Greynaissance*' wide open. Fashionbiz. Retrieved March 6, 2020, from https://m.fashionbiz.co.kr 

  7. Kunz, G. (2002). Merchandising: Theory, principles and practice. (Y. Jeon, Trans.). Seoul: Changzi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8). 

  8.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8). 2018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국문 요약보고서 [2018 internet usage report]. Retrieved June 11, 2018, from https://https://www.kisa.or.kr/public/library/etc_View.jsp?regno0011990 

  9.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017, June 15). 온라인 쇼핑 이용현황과 구매 행태 분석 [Analysis of online shopping usage and purchasing behavior]. Seoul: KISDI. 

  10. Kim, J. (2018, June 18). 10분 만에 이해하는 국내 온라인 패션 유통 히스토리 [Domestic online fashion distribution history that understand in 10 minutes]. Fashion Seoul. Retrieved April 6, 2019, from http://fashionseoul.com/159069 

  11. Kim, M. (2020, February 16). "온라인 쇼핑 이용하니 편하네" 중.장년층 일상 바꾼 코로나19 [It's convenient to use online shopping -Covid-19 has changed the daily life of middle-aged people-]. Kyungbook Mail. Retrieved July 11, 2020, from https://www.kbmaeil.com/ 

  12. Lee, S., & Lee, E. (1998). 의류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와 구매행동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behavior of apparel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2(5), 617- 627. 

  13. Lee, H., & Jung, S. (2010). 뉴 패션 머천다이징 실제 [New fashion merchandising]. Seoul: Kyohakyongusa. 

  14. Lee, I., & Cho, K. (2008). A study on product planning of knitwear commodity.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1), 1-15. 

  15. Lee, J. (2020, July 9). 온라인 쇼핑에 눈 뜬 '어덜트 시니어를 잡아라' ['Catch adult seniors' opened for online shopping]. Apparelnews. Retrieved July 11, 2020, from http://www.apparelnews.co.kr 

  16. Lee, K. (2012). Fashion design sensibility. Seoul: Kyunchoonsa. 

  17. Lee, W. (2018, July 6). 온라인 쇼핑 마켓, 2022년 190조 규모로 급팽창 [Online shopping market to 190 trillion won in 2022]. Fashionbiz. Retrieved from March 5, 2019, from https://www.fashionbiz.co.kr 

  18. Logo Play Case. (n.d.). Retrieved July 8, 2019, from https://www.lfmall.co.kr/product.do?cmdgetProductDetail&PROD_CDDLTS9C605S2&etag1003_A011_E043&etag20&etag3173&etag420804 

  19. Nathalie, N. (2016). 끌리는 온라인 마케팅 [Attracted online marketing]. (S. Park, Trans.). Seoul: Gilbut. (Original work published 2012). 

  20. Online Exclusive (n.d.). Retrieved July 10, 2020, from http://www.idlookmall.com/display/promotionEvntDetail.do?MALL_DIVN_CDZA01&CONTS_CD&MKDP_ID86E11A488247B5DAF18F 

  21. Park, H., & Kim, H.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attitudes and clothing purchasing mot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 22(7), 872-881. 

  22. Seo, E. (2009).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merchandising process at home and abroad -With focus on the woman's wear career marke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23. Style Edit. (2020, July 1). Retrieved July 10, 2020, from http://www.idlookmall.com/style/styleEditDetail.do?currentPage0&recordsPerPage9&STYLE_NO749 

  24. Um, S., & Jang, Y. (2017). 패션상품 디자인 기획 [Fashion design planning]. Seoul: Kyomunsa. 

  25. Yim, L. (2019). A study on new-hanbok styling of online shopping mall.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3(4), 68-85. doi:10.12940/jfb.2019.23.4.68 

  26. Yoo, A. (2019). A study of the distribution channel of O2O -Focused on fashion compan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