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레이더 강수량과 PRMS 모형을 이용한 유출량 평가
Runoff assessment using radar rainfall and precipitation runoff modeling system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7, 2020년, pp.493 - 505  

김태정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연구개발실) ,  김성훈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연구개발실) ,  이성호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연구개발실) ,  김창성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연구개발실) ,  권현한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유역단위 수문해석을 목적으로 장기간 자료 확보가 용이하고 신뢰도가 확보된 지상관측소 강수량 자료를 강우-유출 모형을 활용하여 유출량을 평가하고 있다. 지상관측소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면적평균 강수량을 산정하는데 있어 일반적으로 지상관측소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Thiessen 다각형법을 널리 이용하고 있으나 지상관측소의 공간적 편중으로 인해 면적평균 강수량 산정과정에서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적으로 연속적인 강수량 관측이 가능한 기상레이더 자료를 이용하여 유역단위 면적평균 강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PRMS 모형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여 유출량을 평가하였다. 세부적으로 레이더 강수량의 편의 오차를 해결하기 위하여 G/R Ratio 기법을 적용하여 유역별로 레이더 강수량을 보정하였다. 레이더 강수량을 이용한 유출특성은 Thiessen 면적강수량을 이용한 유출의 통계적 특성을 현실적으로 재현하였다. 지상 관측소에 의존하여 생산하는 Thiessen 면적강수량에 비하여 레이더 강수량을 활용하는 것이 유역에 발생하는 강수의 공간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수문해석에서 정확도를 확보한 유출량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ainfall-runoff model has been generally adopted to obtain a consistent runoff sequence with the use of the long-term ground-gauged based precipitation data. The Thiessen polygon is a commonly applied approach for estimating the mean areal rainfall from the ground-gauged precipitation by assigni...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강수의 공간분포를 파악할 수 있는 레이더 강수량 활용성을 극대화하고자 ‘Ground True’ 개념을 연계하여 레이더 강수량을 활용한 장기 유출량 평가를 수행하 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1) ‘Ground True’ 개념으로 기상레이더 자료를 활용한 수문학적 연구는 대부분 정량적 강수량 예측 및 추정의 관점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의 공간적 특성을 현실성 있게 반영할 수 있도록 격자형태의 기상레이더 자료에서 강수량을 직접 추출하였다. 추출된 레이더 강수량은 지상 강수량과 높은 상관성을 확보하고 있다.
  • , 2019).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편의를 보정하기 위하여 Thiessen 면적강 수량과 레이더 강수량의 보정비율(correction factor)을 레이더 강수량에 일괄적으로 적용하여 보정하는 G/R Ratio 보정 기법을 적용하여 레이더 강수량을 보정하였다.
  • (2)에서 Q(m3/s)는 유출량, P(mm)는 강수량, ET(mm)는 증발산량이며 S(mm)는 적설, 차단, 불투수층의 지표 저류량, 토양수분양, 지하수 저수지 및 지표하 저수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출해석을 위하여 적용한 PRMS 모형의 개략적인 내용을 서술하였으며 PRMS 모형의 전반적인 개념과 모의과정은 Jung and Bae (2005) 및 Han et al. (2016)에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단위 유출해석을 목적으로 기존에 지상 관측소에 의존하여 산정된 면적평균 강수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강수현상의 시공간적 특성파악에 유리한 레이더 강수량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적으로 일단위 장기 유출모의에 활용되는 PRMS (Precipitation Runoff Modeling System) 모형을 이용하여 중권역별 유출분석을 수행하고 통계학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 (2016)은 불연속 Kernel-Pareto 확률분포 기반의 강우량 모의기법과 Sacramento 장기 유출모형을 연계하여 일단위 100년 기간의 강우량 시나리오를 입력 자료로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유출량으로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여 물수지 분석 등과 같은 수자원계획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Kang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even, K.J., Kirkby, M.J., Schofield, N., and Tagg, A.F. (1984). "Testing a physically-based flood forecasting model (TOPMODEL) for three UK catchments." Journal of Hydrology, Vol. 69, No. 1-4, pp. 119-143. 

  2. Bicknell, B.R., Imhoff, J.C., Kittle Jr, J.L., Jobes, T.H., and Donigian Jr, A.S. (1997).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User's manual for version 11. 

  3. Borga, M. (2002). "Accuracy of radar rainfall estimates for streamflow simul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267, No. 1-2, pp. 26-39. 

  4. Cherkauer, D.S. (2004). "Quantifying ground water recharge at multiple scales using PRMS and GIS." Ground Water, Vol. 42, No. 1, pp. 97-110. 

  5. Ghafouri-Azar, M., and Bae, D.H. (2019). "Analyzing the variability in low-flow projections under GCM CMIP5 scenarios."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33, No. 15, pp. 5035-5050. 

  6. Han, J.H., Ryu, T.S., Lim, K.J., and Jung, Y.H. (2016). "A review of baseflow analysis techniques of watershed-scale runoff mode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8, No. 4, pp. 75-83. 

  7. Hasan, M.M., Sharma, A., Mariethoz, G., Johnson, F., and Seed, A. (2016). "Improving radar rainfall estimation by merging point rainfall measurements within a model combination framework."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97, pp. 205-218. 

  8. Jung, I.W., and Bae, D.H. (2005). "A study in PRMS applicability for Korean river basi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8, No. 9, pp. 20-27. 

  9. Kang, N.R., Joo, H.J., Lee, M.J., and Kim, H.S. (2017). "Generation of radar rainfall ensemble using probabilistic approach."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0, No. 3, pp. 155-167. 

  10. Kim, B.S., Kim, H.S., and Yang, D.M. (2010). "Comparison of spatial distributions of rainfall derived from rain gages and a radar." Journal of Wetlands, Vol. 12, No. 1, pp. 63-73. 

  11. Kim, J.P., and Kim, G.S. (2011).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trends of precipitation effectiveness ratio and runoff data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8, pp. 683-694. 

  12. Kim, S.H., Nam, W.S., and Bae, D.H. (2019). "An analysis of effects of seasonal weather forecasting on dam reservoir inflow predic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2, No. 7, pp. 451-461. 

  13. Kim, S.J., Kim, S.J., and Chae, H.S. (2000). "Application of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3, No. S1, pp. 20-27. 

  14. Kim, T.J., Kwon, H.H., and Lima, C. (2018). "A Bayesian partial pooling approach to mean field bias correction of weather radar rainfall estimates: Application to Osungsan weather radar in South Korea." Journal of Hydrology, Vol. 565, pp. 14-26. 

  15. Kim, T.J., Lee, D.R., and Kwon, H.H. (2017). "Assessment of merging weather radar precipitation data and ground precipitation data according to various interpolation meth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0, No. 12, pp. 849-862. 

  16. Kim, T.J., So, B.J., Ryou, M.S., and Kwon, H.H. (2016). "Development of dam inflow simulation technique coupled with rainfall simulation and rainfall-runoff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9, No. 4, pp. 315-325. 

  17. Kwon, H.H., Sivakumar, B., Moon, Y.I., and Kim, B.S. (2011). "Assessment of change in design flood frequency under climate change using a multivariate downscaling model and a precipitation-runoff model."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25, No. 4, pp. 567-581. 

  18. Leavesley, G.H. (1984). "Precipitation-runoff modeling system: User's manual."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Vol. 83, No. 4238. 

  19. Marshall, J.S., and Palmer, W. Mc K. (1948). "The distribution of raindrops with size." Journal of Meteorology, Vol. 5, pp. 165-166. 

  20. Na, U.Y., Cho, E.S., Lee, J.W., and Yoo, C.S. (2017). "Mean-field-bias correction of the rainfall forecasts using backward storm track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7, No. 1, pp. 253-263. 

  21. Rui, X.P., Qu, X.K., Yu, X.T., Lei, Q.L., and Fan, Y.L. (2019). "Quantitative rainfall estimation using weather radar based on the improved kalman filter method." Applied Ecology and Environmental Research, Vol. 17, No. 1, pp. 369-381. 

  22. Rosenbrock, H. (1960). "An automatic method for finding the greatest or least value of a function." The Computer Journal, Vol. 3, No. 3, pp. 175-184. 

  23. Smith, J.A., Baeck, M.L., Villarini, G., Welty, C., Miller, A.J., and Krajewski, W.F. (2012). "Analyses of a long-term, high-resolution radar rainfall data set for the Baltimore metropolitan reg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8, No. 4. 

  24. Yoon, Y.N, Kim, J.H., Yoo, C.S., and Kim, S.D. (2002). "A runoff parameter estimation using spatially distributed rainfall and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rainfall errors on runoff comput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5, No. 2, pp. 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