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파종전처리가 차나무 종자의 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oaking Treatments on Emergence of Tea (Camellia sinensis) Seed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5 no.2, 2020년, pp.156 - 160  

심두보 (하동녹차연구소) ,  전승호 (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웰빙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차나무 종자의 교배육종에 위한 품종 육성의 체계적인 기술확립을 위해 과산화수소 등 다양한 파종전처리를 통하여 차나무 종자의 출아율 및 유묘 소질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1. 무처리구의 출아율은 36.7%로 나타났고, 염기성 조건(pH 10)에서는 출아율이 26.7%로 가장 낮은 발아율을 보인 반면, 100 mM 과산화수소에서 가장 높은 65.0% 출아율을 보였다. 2. 출아율과 출아율지수는 처리에 따라 유의성이 나타났으며, 평균출아일수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3. 처리간의 평균출아일수는 과산화수소(10, 100 mM)와 물리적 충격 처리구에서 가장 짧은 46.5~47.0일이 소요되었으며, 출아율지수는 100 mM 과산화수소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1.363 d-1m-1을 보였다. 4. 파종 60일 후에 묘 소질에서의 초장, 엽수, 엽장 및 엽폭 모두 조사에서 100 mM 과산화수소 처리구에서 9.1 cm, 4.4개 5.5 cm, 3.1 cm로 가장 크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mergence and early growth changes of stratification condition of tea (Camellia sinensis) seeds were investigated in 7 treatments (control, pH 4, pH 10, 70% ethanol (EtOH), 10 mM H2O2, 100 mM H2O2, and physical shock (5.9 J)). Ethanol treatment was toxic and did not induce emergence. The emergence 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차나무 종자의 교배육종을 위한 품종 육성의 체계적인 기술확립을 위해 과산화수소 등 다양한 파종전처리를 통하여 차나무 종자의 출아율 및 유묘 소질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bass, S. M. and H. I. Mohamed 2011. Alleviation of adverse effects of drought stress on common bean (Phaseolus vulgaris L.) by exogenous application of hydrogen peroxide. Bangladesh J. Bot. 41 : 75-83. 

  2. Bezbaruah, H. P. 1999. Origin and history of development of tea. Global advances in tea science. Aravali Books Int. (P) Ltd. pp. 383-392. 

  3. Cho, K. H., A. Jo, T. Tsuge, J. C. Kim, R. M. Kim, H. S. Yoon, and G. T. Kim. 2010. Comparative analsis of local green tea in Korea by STS-RFLP. J. Life Sci. 20 : 1415-1419. 

  4. Gregorio, B. E., A. H. Jose, and D. V. Pedro. 2012. Role of $H_2O_2$ in pea seed germination. Plant Signal. Behav. 7 : 193-195. 

  5. Jeong, B. C., Y. S. Song, Y. H. Moon, S. G. Han, and J. K. Bang. 2006. Shortening period of clonal tea tree breeding in Korea. J. Kor. Tea Soc. 12(3) : 93-99. 

  6. Kelly, K. M., J. Van Staden, and W. E. Bell. 1992. Seed coat structure and dormancy. Plant Growth Regul. 11 : 201-209. 

  7. Kim, J. T. 1996. Science and culture of tea. Borim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57-248. 

  8. Kim, J. W., S. N. Kwack, H. K. Choi, G. H. Shin, J. H. Kim, and J. S. Han. 1999. Investigation of pollen characteristices by storage methods of Korean wild teas. J. Kor. Tea Soc. 5(2) : 59-65. 

  9. Kim, Y. G. 2000. The status and prospect of Korean green tea industry. J. Kor. Tea Soc. 6(2) : 41-64. 

  10. Lu, H. and V. J. Higgins. 1999. The effect of hydrogen peroxide on the viability of tomato cells and of the fungal pathogen Cladosporium fulvum. Physiol. Mol. Plant Pathology. 54 : 131-143. 

  11. MIFAFF.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12. Park, Y. G. 2007. Strategy of gene conservation of Camellia sinensis in Korea. 2007. J. Kor. Tea. Soc. 13(1) : 125-140. 

  13. Shim, D. B., K. E. Song, C. Y. Park, S. H. Jeon, J. G. Hwang, E. J. Kang, J. C. Kom, and S. I. Shim. 2018. Effects of hydrogen peroxide on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sorghum (Sorghum bicolor). Korean J. Crop Sci. 63(2) : 140-148. 

  14. Siddiqui, I. A., V. M. Adhami, M. saleem, and H. Mukhtar. 2006. Beneficial effects of tea and its polyphenols against prostate cancer. Mol. Nutr. Food Res. 50 : 130-143. 

  15. Willson, K. C. and M. N. Clifford. 1992. Tea cultivation to consumption. Chapman & Hall. pp. 209-210. 

  16. Yang, H. B., S. C. Lee, S. L. Kim, M. S. Lee, J. H. Lee, Y. G. Kim and K. J. Song. 2008. Effect of seed storage and sowing 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of tea (Camellia sinensis). J. Kor. Tea. Soc. 14(2) : 155-16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