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전 Mixing Tee에서의 고주기 열피로 평가
Evaluation of High Cycle Thermal Fatigue on Mixing Tee in Nuclear Power Plant 원문보기

한국압력기기공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ssure Vessels and Piping, v.16 no.1, 2020년, pp.22 - 29  

이선기 (동신대학교 에너지기계설비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nuclear power plants, there is a risk of thermal fatigue in equipment and piping affecting system soundness because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system accompanies in every operation and shutdown.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excess of the fatigue limit during the lifetime of plants, the f...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국부적인 열피로 발생 메커니즘의 하나인 고온수와 저온수의 혼합에 의한 배관 내부 유체 온도변동이 배관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국내 가동 중인 전 원전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국내 가동 중인 원전에서 고온-저온수 혼합에 따른 고주기 열피로에 노출된 계통은 앞에서 기술하였던 RHR 계통 및 정지냉각계통(Shut Down Cooling System, SDCS)에 해당된다.
  • 0m/s, 온도 177℃가 배관 내부에서 혼합되어 하류로 흘러가는 모델이다. 본 열유동 해석은 k-e난류모델을 사용하여 고온-저온수 혼합시 발생하는 온도 경계층의 대략적인 거동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수행하였다.
  • 본 평가에서는 상기의 성질을 고려하기 위하여 온도 변동에 대한 구조물의 주파수 응답함수로 정량화하여 평가한다(유체 온도변동 주기가 구조물의 응력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 혼합 후의 혼합 유체 열적 평형온도 T 현재 원전 설계시 고려하지 못했던 국부적인 열피로 발생 메커니즘이 점차 규명되고 있으며2,3,4,5) 본 논문에서는 국부적인 열피로 발생 메커니즘의 하나인 고온수와 저온수의 혼합에 의한 배관 내부 유체 온도변동이 배관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국내 가동 중인 전 원전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국내 가동 중인 원전에서 고온-저온수 혼합에 따른 고주기 열피로에 노출된 계통은 앞에서 기술하였던 RHR 계통 및 정지냉각계통(Shut Down Cooling System, SDCS)에 해당된다.

가설 설정

  • 합류전의 유체 온도차가 구조물에 생기는 온도와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평가. 이때의 온도차가 구조물의 피로한도와 대응한 온도차(판정 온도차) 미만일 것.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주기 변동의 경우 나타나는 열응력은 어떠한가? 구조물과 접해 있는 유체에서 온도변동이 발생하면 구조물 내부에서 온도 구배가 생겨 응력이 발생한다. 같은 유체온도의 진폭이라 해도 고주기 변동은 구조 쪽에서 응답이 어려우며, 저주기 변동의 경우에는 구조 내부에서 균일화됨으로써 온도변동에 의한 응력은 적게 된다. 즉, 응력은 온도변동의 어느 주파수에서 최대값을 갖게 된다.
가압기 밀림관이란? 가압기 밀림관(Surge Line)은 원자로 냉각재 계통의 가압기(Pressurizer)와 고온관(Hot Leg)을 연결하는 배관이며, 이 배관 내에서는 가압기 측의 고온 냉각재와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고온관(Hot Leg)측의 냉각재가 만나 배관 상하부간에 온도차가 항시 상존한다. 이 온도차에 의해 배관 구조물의 이상 변형, 지지구조물과의 접촉, 지지물 파손 등이 발생하였다.
고온수와 저온수의 혼합에 의한 배관 내부유체 온도변동이 배관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국내 가동 중인 원전에 대한 평과 결과 두 가지는? (1) 국내 원전의 잔열제거계통 및 정지냉각계통의 Mixing Tee 부위는 고온-저온 유체 혼합으로 인해 항상 고주기 열피로에 노출되어 있다. (2) Mixing Tee 부위에 대한 누적 피로계수는 1.0 미만을 나타내고 있어 고주기 열피로로부터 건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EPRI, 2001, "Interim Thermal Fatigue Management Guideline (MRP-24)", EPRI TR-1000701 

  2. EPRI, 1994, "Thermal Stratification, Cycling and Striping(TASCS)", EPRI TR-103581 

  3. Westinghouse Report, 1989, "Evaluation of Thermal Stratification for the VOGTLE Unit 2 Pressurizer Surge Line", WCAP-12218 

  4. NRC, 1988, "Thermal stress in piping connected to reactor coolant system", NRC Bulletin 88-08 

  5. Sun-Ki Lee, 2016, "Review for Thermal Stratification on Piping System in Korea Nuclear Power Plant", Trans. of the KPVP, Vol.12 No.02, pp.1-8 

  6. Hag-Ki Yeom, Man-Heung Park, Sang-Nung Kim, 1996, "The Unsteady 2-D Numerical Analysis in a Horizontal Pipe with Thermal Stratification Phenomena", Journal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Vol.28 No.1, pp.27-35 

  7. H. K. Yeom, M. H. Park, 1996, "Unsteady Thermal Stratified Flow and Heat Transfer in a Horizontal Feedwater Pipe", KSME Journal(B), Vol.20 No.2, pp.680-688 

  8. J. C. Jo, Y. I. Kim, B. K. Min, K. M. Oh, S. K. Choi, 1998, " Numerical Analysis of Thermally Stratified Flow in the Pressurizer Surge Line", Korea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Proceeding, pp.133 

  9. J. C. Jo, S. J. Cho, Y. I. Kim, J. Y. Park, S. J. Kim, S. K. Choi, 2001, "Prediction of Transient Temperature Distributions in the Wall of Curved Piping System Subjected to Internally Thermal Stratification Flow", KSME Proceeding, pp.474-481 

  10. Jong Chull Jo, Hoon-Ki Choi, 2002, "Numerical Analysis of Conjugate Heat Transfer in a Curved Piping System Subjected to Internal Stratified Laminar Flow", Journal of Compute Fluids Eng., Vol.7 No.3, pp.35-43 

  11. Jong Chull Jo, Byung Soon Jim, Hoon Ki Choi, 2002, " Three Dimensional Heat Transfer Analysis of a Thermally Stratified Pipe Flow", Proceeding of The Second National Congress on Fluids Engineering, pp.103-106 

  12. S. K. Lee, H. Lee, T. R. Kim, B. N. Kim, 1998, "Evaluation of Thermal Stratification on Surge Line in Kori Nuclear Power Plant Unit 4", Korea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Proceeding, pp.857-863 

  13. Dho-In Song, Young-Don Choi, Min-Su Park, 2001, "Experimental Research for Identification of Thermal Stratification Phenomena in the Nuclear Power Plnat Emergency Core Coolant System(ECCS)", KSME Proceeding, pp.735-740 

  14. Seong-Min Han, Yong Don Choi, Min Soo Park, 2006, "Study of Thermal Stratification into Leaking Flow in the Nuclear Power Plant, Emergency Core Coolant System", Korea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18 No.3, pp.202-210 

  15. Jeong Soon Park, Young Hwan Choi, Kuk Hee Lim, Sun Hye Kim, 2010, "Thermal Cycling Screening Criteria to RCS Branch Lines in Domestic Nuclear Power Plant", Trans. of the KPVP, Vol.6 No.2 pp.54-60 

  16. Sun-Hye Kim, Jae-Boong Choi, Jung-Soon Park, Young-Hwan Choi, Jin-Ho Lee, 2013, "A Coupled CFD-FEM Analysis on the Safety Injection Piping Subjected to Thermal Stratification",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45 No.2, pp.237-248 

  17. Man-Heung Park, Kwang-Chu Kim, Seung-Chul Lee, 2006, "A Study on the Mitigation Schemes of Thermal Stratification Phenomenon in a Branch Piping", Korea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18 No.7, pp.603-611 

  18. M. H. Park, K. C. Kim, K. H. Kim, 2003, "An Analysis on Thermal Stratification in Residual Heat Removal System Piping of Nuclear Power Plant", KSME Proceeding, pp.1597-1602 

  19. Sun-Ki Lee, Sang-Kook Lee, Wook-Ryun Lee, Hwan-Hee Lee, Tae-Ryong Kim, 2004, "Evaluation of High Cycle Thermal Fatigue Caused by Mixing Flow at RHR System", Korea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Proceeding, pp.1-15 

  20. JSME, 2003, "Assessment guide lines for high cycle thermal fatigue of piping system", JSME S 0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