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지역 노인의 SNS활용 소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자기효능감과 고독감을 중심으로
Effect of Communication Program through SNS for the Rural Elderly's: Self Efficacy and Loneliness 원문보기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v.15 no.1, 2020년, pp.9 - 15  

박인숙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  문영실 (진주시 보건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martphone use to enhance self-efficacy and decrease loneliness in elders through communication using the SNS Program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25) or control group (25). Data w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NS활용 소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고독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실행한 후 효과를 검증하고, 노인 삶의 질 향상 및 건강 증진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가설 1. SNS활용 소통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이하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노인(이하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을 것이다.
  • 가설 2. SNS활용 소통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이하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노인(이하 대조군)보다 고독감이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통계청. 2020 서울 노인인구[Internet]. 서울: 한국 통계청,2019[cited 2020 march 16].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YL12501E&vw_cdMT_GTITLE01&list_id101&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GTITLE01 

  2. Jun HJ, Kim MY. The effects of internet use on depression in korean older men: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isol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6;36(2):443-455. 

  3.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NIA) (2015).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Available from: http://www.nia.or.kr,(accessed March, 12, 2016). 

  4. 신근영, 고재욱.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자본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지. 2017;17(9):255-26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255 

  5. Jun HJ, Kim MY. The influence of internet use on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Seoul,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2015;43(1):73-98. 

  6. Jang SY. The 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eople in rural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of Hanyang; 2011. 276 p. 

  7. 최윤희, 김정규. 스마트 기기 대화형 SNS 사용이 고령자 우울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018;37(2):165-176. 

  8. 황환, 이선혜. 노인의 고독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학회지. 2014;66(4):207-232. 

  9. Holwerda TJ, Deeg DJH, Beekman ATF, Tilburg TGV, Stek ML, Jonker C, et al. Feelings of loneliness, but not social isolation, predict dementia onset: result from the Amsterdam Study of the Elderly (AMSTEL).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2012;42(1):843-853. https://doi.org/10.1136/jnnp-2012-302755 

  10. 강월석, 김명숙, 고재욱. 스마트폰 정보 활용과 이용성과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지. 2013;33(1):199-214. 

  11. 이현희, 구상회. 고령자의 외로움 완화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방안. 한국지역정보학회지. 2011;14(2):105-121. 

  12. 정민숙, 이유리. 정보화 교육 참여노인의 인터넷 활용 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성인간호학회지. 2012;15(1):63-85. UCI: G704-000695.2012.15.1.004 

  13. 서상민. 스마트폰 활용 교육이 노인들의 자기효능감, 행복감,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융합정보논문지. 2019;9(5):165-171. https://doi.org/10.22156/CS4SMB.2019.9.5.165 

  14. 신지원, 권지성. 노인의 SNS 활동을 통한 소통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지. 2017;58(0):151-179. https://doi.org/10.16975/kjfsw.2017..58.006 

  15. 신이. 노인정보화 교육 참여자들의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노인종합복지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 숭실대학교; 2013. 115 p. 

  16. 윤현정.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용양시설 거주 노인의 우울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2017. 115 p. 

  17. Park YS. A study on the program of drawing picture for the senile generation (2) -focusing the relationship on the satisfaction degree of program leisure, the senile solitude, and the depression.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2014;17(3):103-111. 

  18. 이현주. 노년기 우울의 종단적 변화: 연령집단별 차이와 위험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지. 2013;61(1):291-318. https://doi.org/10.21194/kjgsw..61.201309.291 

  19.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1977. 604 p. 

  20. Russell DW, Peplau LA, Furguson ML. Developing a measure of lonelines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78;42 (1):290-294.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203_11 

  21. Russell DW, Peplau LA, Cutrona CE.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0;39(3):472-480. https://doi.org/10.1037/0022-3514.39.3.472 

  22. 김교헌, 김지환. 한국판UCLA 고독척도. 學生生活硏究. 1989;16:13-30. 

  23. 오명수, 김희숙. 통합활동 프로그램이 취약계층 여성독거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韓國保健看護學會誌. 2019;33(2):258-269. https://doi.org/10.5932/JKPHN.2019.33.2.258 

  24. 서명근, 민왕식, 김우진. 여가스포츠 참여노인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우울감 및 자아통합감의 구조적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017;18(3):408-417. 

  25. 이재임. 집단음악치료가 노인의 고독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전]: 대전대학교; 2017. p. 81. 

  26. 유성훈, 임상용, 박병훈. 노인건강증진 프로그램 참여가 자아존중감, 고독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011;17(0):1-14. 

  27. 이선영, 송종은, 손기철. 활동이론 기반 원예복지 프로그램에 의한 독거노인의 고독감 감소와 자기방임 예방.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2017;6(0):49-5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