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상예보 기반 농촌유역 침수 위험도 예보를 위한 침수 확률 DB 구축
Establishment of Inundation Probability DB for Forecasting the Farmland Inundation Risk Using Weather Forecast Data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62 no.4, 2020년, pp.33 - 43  

김시내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전상민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현지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황순호 (R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최순군 (Climate Change and Agro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  강문성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Institute of Green Bio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reduce damage from farmland inundation caused by recent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risk of farmland inundation accurately. Inundation modeling should be performed by considering multiple time distributions of possible rainfalls, as digital forecasts of Korea Meteorolo...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선제적 침수 대책 마련을 위해 예보강우에 따른 침수확률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실제 동네예보 발생 시 사전에 구축한 데이터베이스 (DB)를 토대로 침수확률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예보시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 침수 위험도 예보를 위해 기상청 동네예보를 활용한 침수확률 DB 구축 기법을 개발하여 청미천 유역 단평지구를 대상으로 적용성을 평가하고, DB 기반 침수 위험도 예보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구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 침수 위험도 예보를 위해 예보강우에 따른 침수확률 DB 구축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청미천 유역에 대해 이를 적용하여 침수확률을 산정하고 DB를 구축하였다. 또한 침수확률 DB 기반의 침수 위험도 예보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구축하여 동네예보에 따른 침수확률지도를 웹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동네예보를 활용한 단기 농경지 침수 위험도 예보를 위해 침수 확률 DB 기반의 침수 위험도 예보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구축하였다. 침수 위험도 예보 시스템 프로토타입은 동네예보에 따른 침수확률지도를 웹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침수확률 DB 구축 기술의 적용 대상지로 청미천 중상류의 단평지구를 선정하였으며, 침수 모의를 위해 단평지구의 강우자료, 지형자료 및 청미천의 지형자료, 하천자료를 구축하였다. 강우자료는 2016년 6월부터 2019년 7월까지의 과거 기상청 동네예보자료를 활용하였으며 MRC모형을 사용하여 960개의 강우사상을 각각 100회씩 1시간 단위로 시간분해 하였다.

가설 설정

  • 배수개선사업의 설계기준에서는 침수의 기준을 24시간 이내 허용담수심 30 cm이상으로 규정하므로, 이 기준을 초과하는 농경지 수위 모의 결과에 대해서는 침수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침수가 발생하는 강우사상의 개수를 산정할 수 있으며, 침수 확률은 침수가 발생한 강우사상 개수를 총 모의 강우 개수로 나누어 산정하였다.
  • 56%)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구 전체를 하나의 광역 논으로 가정하여 농경지 수위 모의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경지 침수 예측에 있어 관측강우보다 단기 침수 예측에 좋은 방법은? 강우에 대한 유역 반응이 빠른 지역의 단기 침수 예측을 위해 관측강우를 사용할 경우 침수에 대한 충분한 대비가 불가능하므로 이를 위해서는 예보강우를 이용해 농경지 침수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Lee et al., 2011).
우리나라 풍수해는 어느 정도인가? 특히 해마다 풍수해로 농경지가 침수되거나 유실되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지난 10년 간 (2008∼2017)태풍 및 호우로 인하여 29,298 ha의 농경지가 침수되었으며, 이로 인해 1,336억 원에 달하는 피해액이 발생하였다 (MOIS, 2017). 따라서 농경지 침수피해는 농촌에서 발생하는 전체 피해규모의 약 60%를 차지하여 농가 경제 손실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Yoon, 2011; Lee, 2011).
발생 가능한 강우의 시간분포를 다중으로 고려한 확률 침수 모델링은 어떤 한계가 있는가? 하지만 다중 입력자료를 구축하고 모델링 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실제 침수 발생 시 일련의 침수모델링을 수행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르며, 재해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선제적 침수 대책 마련을 위해 예보강우에 따른 침수확률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실제 동네예보 발생 시 사전에 구축한 데이터베이스 (DB)를 토대로 침수확률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예보시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entre for Reserch on the Epodemiology of Disasters (CRED), 2018. Emergency events database (EM-DAT). 

  2. Choi, J. K., H. Y. Kim, and J. G. Son, 1997. A study on the outlet drain discharge from paddy fiel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e Engineers 39(2): 134-142 (in Korean). 

  3. Jun, S. M., H. J. Lee, S. H. Hwang, J. H. Song, S. K. Choi, and M. S. Kang, 2019. General inundation modeling of paddy field districts considering drainage del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1(4):87-96 (in Korean). doi:10.5389/KSAE.2019.61.4.087. 

  4. Jun, S. M., J. H. Song, S. K. Choi, K. D. Lee, and M. S. Kang, 2018. Combined 1D/2D inundation simulation of riverside farmland using HEC-R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0(5): 135-147 (in Korean). doi:10.5389/KSAE.2018.60.5.135. 

  5. Jun, S. M., M. S. Kang, S. H. Hwang, J. H. Park, and J. H. Song, 2020.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prioritizing and evaluating rehabilitation of ungauged reservoirs considering climate change. Water 12(7): 1901. doi:10.3390/w12071901. 

  6. Kang, B., and S. Moon, 2010. Realtime streamflow prediction using quantitative precipitation model output. Journal of Korean Socieity of Civil Engineers 30(6):579-587. 

  7. Kim, C. G., S. W. Park, and S. J. Im, 2000. Runoff hydrograph synthesis from small watersheds considering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irrigated rice padd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e Engineers 42(6):56-62 (in Korean). 

  8. Kim, D. H., and S. M. Jang, 2017. A stochastic flood analysis using weather forecasts and a simple catchment dynamic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0(11): 735-743 (in Korean). doi:10.3741/JKWRA.2017.50.11.735. 

  9. Kim, D. H., S. K. Yoon, M. S. Kang, and K. D. Lee, 2016. Applicability of a multiplicative random cascade model for disaggregation of forecasted rainfal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8(5): 91-95 (in Korean). doi:10.5389/KSAE.2016.58.5.091. 

  10. Kim, J. H., W. J. Yoon, and D. H. Bae, 2005. Real-time application of streamflow forecast using precipitation forecas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8(1): 11-23. doi:10.3741/JKWRA.2005.38.1.011. 

  11.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12. A study on design standards of agricultural drainage. 11-1541000-001624-0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12. Lee, H. J., S. M. Jun, S. H. Hwang, S. K. Choi, J. H. Park, and M. S. Kang, 2020. Assessment of flood probability based on temporal distribution of forecastedrainfall in Cheongmicheon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e Engineers 62(1): 17-27 (in Korean). doi:10.5389/KSAE.2020.62.1.017. 

  13. Lee, J. J., 2011. Inter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3): 2-8 (in Korean). 

  14. Lee, S. J., C. S. Jeong, J. C. Kim, and M. H. Hwang, 2011. Long-term streamflow prediction using ESP and RDAPS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12): 967-974 (in Korean). doi:10.3741/JKWRA.2011.44.12.967. 

  15. Mandelbrot, B., 1974. Intermittent turbulence in self-similar cascades-Divergence of high moments and dimension of carrier. Journal of Fluid Mechanics 62(2): 331-358. 

  1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2. Guidelines for calculating the design floods (in Korean). 

  1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1. Master plan reports of Cheongmi stream (in Korean). 

  18.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OIS), 2018. Annual report of disaster 2017 (in Korean). 

  19. Muller, H., and U. Haberlandt, 2015. Temporal rainfall disaggregation with a cascade model: from single-station disaggregation to spatial rainfall.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20(11): 04015026. doi:10.1061/(ASCE)HE.1943-5584.0001195. 

  20. Muller, H., and U. Haberlandt, 2016. Temporal rainfall disaggregation using a multiplicative cascade model for spatial application in urban hydrology. Journal of Hydrology 556: 847-864. doi:10.1016/j.jhydrol.2016.01.031. 

  21. Park, J. H., S. W. Hwang, J. H. Song, and M. S. Kang, 2020. An alternative for estimating the design flood interval of agricultural reservoirs under climate change using a non-parametric resampling technique. Water 12(7):1894. doi:10.3390/w12071894. 

  22. Ryu, J. H., M. S. Kang, S. M. Jun, J. H. Park, and K. D. Lee, 2017, Future inund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the cheongmi stream watershed considering non-stationarity of precipi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9(1): 81-86 (in Korean). doi:10.5389/KSAE.2017.59.1.081. 

  23. US Army Corps of Engineers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2016. HEC-RAS hydraulic reference manual version 5.0. 

  24. Yoon, J. Y., 2011. Impacts and prospects of climate change on crop production, World Agriculture 125: 3-2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