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커싱 워크숍 경험을 통한 포커싱적 태도 훈련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Depiction of a Focusing Attitude Training Experience through a Counselor's Participation in Focusing Workshop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7, 2020년, pp.451 - 463  

주은선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서동신 (허그맘허그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 상담자의 포커싱 워크숍 경험을 통한 포커싱적 태도 훈련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적 묘사이다. 연구 참여자들이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시간, 장소, 상호작용)에 따라 삶의 이야기를 어떻게 경험하게 되는지, 그리고 그 경험의 의미는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결론은 한 상담자의 포커싱 훈련을 통한 자기 자신 경험과의 접촉(자기인식과정)은 심리치료과정에서 내담자 자신의 경험적 접촉을 촉진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내담자와 깊이 있는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었다. 포커싱 훈련을 통해 신체가 느끼는 '감각느낌'을 '있는 그대로' 느끼며 알아차리는 자기인식 과정인 포커싱적 태도는 자기 틀에서 벗어나 삶에 대해 다양한 관점을 가질 수 있는 자아확장의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 상담자의 포커싱 훈련을 통해 확보된 포커싱적 태도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고 앞으로 더욱 진전될 수 있는 포커싱 워크숍 준비를 위한 연구로써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narrative depiction of a focusing attitude training experience through a counselor's participation in focusing workshop. Through the story of life, the researchers explored how the participant experienced according to the three - 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time, place, inte...

주제어

표/그림 (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관계지향적인 정서를 바탕으로 하는 상담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이에 상담자 전문성향상을 위해 상담자와 내담자의 치료적 관계, 상담자 성장과 발달에 대한 많은 연구결과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선행연구 결과, 한국의 관계지향적인 정서적 특징을 감안하며 인간중심모형을 바탕으로 하는 상담자의 공감적인 상담 촉진관계의 중요성을 거론하고 있다[1-3]. 다음으로는 상담에서 부딪치게 되 는 복잡하고 힘든 상황을 직면하여 처리하기 위한 상담자의 자각과 인지적 발달의 필요성[4][5], 내담자를 민감하게 지각할 수 있는 상담자의 태도[6]등이 강조되고 있다.
포커싱이란 무엇인가? 최근 상담자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으로 포커싱 워크숍 프로그램이 있다. 포커싱이란 자기인식과 정서석 치유를 위해 신체에 집중하여, 신체가 느껴지는 것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는 과정이다. 이 때 신체에 느껴지는 느낌을 ‘감각느낌’이라 표현하며 이 ‘감각느낌’의 의미는 우리 내면에서 알아주거나 해소되지 않고 미해결된 상태로 남아있는 감정들을 뜻한다[13].
감각느낌과 관계를 맺으면서 신체의 느낌이 변화되는 경험엔 무엇이 있는가? 평소에 자각하지 못했던 ’감각느낌‘을 신체에 집중 하는 과정에서 그 ’감각느낌‘을 알아차리고 그 ’감각느낌‘과 관계 맺는 과정에서 우리는 신체의 느낌이 변화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의도하지도 않았는데, 신체적인 긴장이 완화되거나, 눈물을 흘리거나, 깊은 숨을 쉬게 되면서 편안함을 느끼게 되는 것 들이다. 이러한 과정을 헨드릭스(Hendricks)는 심리치료에서 하나의 ‘변화의 원동력’으로 보았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김창대, 권경인, 한영주, 손난희, "상담전공 내담자가 지각한 효과적인 상담자 요인," 상담학연구, Vol.10, No.1, pp.83-107, 2009. 

  2. 주은선, 이혜경, 주은지, "한국적 인본주의 상담 모형모색 -인본주의 상담자들의 자기-보고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9, No.3, pp.569-586, 2007. 

  3. 박애선, 황미구, "한국 상담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발전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4, pp.903-929, 2008. 

  4. T. M. Skovholt and M. H. Ronnestad, The evolving professional self: Stages and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Chichester, England: Wiley, 1992. 

  5. Neufeldt, Supervision Strategies for the First Practicum, Alexandria, VA: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1999. 

  6. 주은선, 진정한 사람되기, 서울: 학지사, 2009. 

  7. 백미현, 유현실, "상담경력에 따른 상담자 발달수준과 소진의 관계: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Vol.13, No.6, pp.3191-3205, 2012. 

  8. 임고운, 김지현, "상담자 발달수준 및 역전이 활용과 상담성과," 상담학 연구, Vol.9, No.3, pp.987-1006, 2008. 

  9. 심흥섭, "상담자의 교육분석," 인간이해, 제12권, pp.59-63, 1991. 

  10. 박선영, 상담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의 개인생활에 관한 연구: 상담자의 개인 치료유무, 인간관계에서 나타나는 실제모습, 가족에게서 받은 정서적 경험, 전반적인 삶에 대한 만족도, 현재 일상생활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1. 심흥섭,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12. 박영미, 엄정혜, 정신아, 최명식, 신혜란, "대학상담소 레지던트 상담자의 수련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인간이해, Vol.35, No.1, pp.107-128, 2014. 

  13. 주은선, 포커싱 체험심리치료: 내 마음의 지혜와 선물, 서울: 학지사, 2011. 

  14. Ann Weiser Cornell, Focusing in Clinical Practice: The Essence of Change, W.W. Norton & Company, New York.London, 2013. 

  15. 김순영, 배성만, 주은선, "상담자의 상담경력에 따른 상위인지 자각과 포커싱적 태도가 역전이 관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Vol.16, No.2, pp.157-178, 2015. 

  16. 주은선, 김효정, 김설화, "상담자의 진정성과 작업 동맹과의 관계: 역전이 관리 능력을 통한 포커싱적 태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제38권, 제4호, pp.235-268, 2019. 

  17. 주은선, 박영현, "포커싱 훈련을 받은 상담자들의 상담에서의 실제관계에 관한 경험연구,"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Vol.57, pp.55-78, 2017. 

  18. 홍영숙, "관계적 탐구'로서의 내러티브 탐구," 질적탐구, 제5권, 제1호, pp.81-107, 2019b. 

  19. D. J. Clandinin and F. M. Connelly, Narrative Inquiry :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2000. 내러티브탐구, 소경희 외(역), 서울: 교육과학사, 2007. 

  20. 주은선, "수퍼비젼 관계형성 실행경험에 대한 내러티브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9, pp.619-636, 2017 

  21. J. Dewey,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Collier Books, 1938. 

  22. D. J. Clandinin and M. S. Murphy, "Looking ahead," In D. J. Clandinin (Ed.), Handbook of narrative inquiry: Mapping a methodology pp.634, Thousand Oaks, CA: Sage, 2006. 

  23. D. J. Clandinin and F. M. Connellly, "Personal experience methods," In N. K. Denzin & Y.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1994. 

  24. 염지숙,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교육인류학연구, Vol.6, No.1, 2003. 

  25. 주은선, 조영임, 김단비, 강유진, "우울증 경험과 회복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7, pp.505-526, 2017. 

  26. C. E. Watkins, "Countertransference: Its impact on the counseling situat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63, No.6, pp.356-359, 1985. 

  27. 주은선, 신설애, 김병선, 김주영, "한국판 포커싱적 태도 척도 개정판의 개발 및 타당화," 대한스트레스학회 스트레스 연구, 제24권, 제1호, pp.23-33, 2016. 

  28. 장유진, "상담의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질적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2, pp.539-568, 2015. 

  29. 주은선, 임민아, "한국판 신체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 pp.256-265, 2019. 

  30. 주은선, 김주영,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유아교사의 창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1, No.2, pp.1-18, 2014. 

  31. 주은선, 신설애, "사회불안 체험 모델 제안을 위한 기초 연구," 인문사회 21, Vol.9, No.3, pp.543-558,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