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먹노린재(Scotinophara lurida)의 발생생태와 온도의존 발육모형
Developmental Ecology and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Model of Scotinophara lurida (Heteroptera: Pentatomidae)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8 no.2, 2020년, pp.251 - 261  

최덕수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연구소) ,  김효정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연구소) ,  오상아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연구소) ,  이진희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연구소) ,  조아해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연구소) ,  마경철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친환경 벼 재배지역 위주로 피해가 점차 확대되는 먹노린재(Scotinophara lurida) 방제기술 개발을 위하여 발생생태 및 온도의존 발육모형을 산출하였다. 2019년도 먹노린재 월동 후 생존율 조사결과 총 224마리 중 167마리가 생존하여 생존율은 72.8%였다. 먹노린재 월동성충은 논에 6월 중하순부터 발생하고, 7월 상순에 산란하고, 8월 중하순에 1세대 성충이 발생한다. 온도의존 발육모형을 구하기 위하여 18, 21, 24, 27, 30℃ 14L:10D 조건의 항온기에서 온도별, 발육단계별 발육기간을 조사하였다. 18, 21, 24, 27, 30℃의 온도조건에서 알에서 성충이 될 때까지의 기간은 각각 119.8, 73.1, 53.5, 39.4, 82.0일로 27℃에서 가장 발육이 잘 되었다. Excel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온도와 발육속도와의 관계를 2차 다항식으로 분석하여 회귀곡선을 얻었고 이를 근거로 발육단계별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를 산출하였다. 알에서 5령 약충까지 먹노린재 발육영점온도는 17.9℃, 유효적산온도는 380.2DD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velopmental ecology and temperature-dependent growth model were calculated to develop the Scotinophara lurida control technology, which is mainly affected by environmentally friendly rice cultivation. The survival rate of S. lurida after overwintering in 2019 showed that 167 of 224 survived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5)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그 후 추가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논에서 먹노린재의 시기별 발생량 조사, 월동장소와 월동 후 생존율 조사, 그리고 온도의존 발육모형을 산출하여 발생예측 및 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2018년부터 2019년까지 2년 동안 수행한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 친환경 벼 재배지역 위주로 피해가 점차 확대되는 먹노린재(Scotinophara lurida) 방제기술 개발을 위하여 발생생태 및 온도의존 발육모형을 산출하였다. 2019년도 먹노린재 월동 후 생존율 조사결과 총 224마리 중 167마리가 생존하여 생존율은 7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먹노린재의 분포지역은? 피해증상은 주로 논둑 가장자리에서 나타나는데 이화명충 피해양상과 유사하며 피해가 심한 포기는 초장이 짧아지고 분얼이 억제되어 마른 잎이 많이 발생된다(Kawata, 1978). 먹노린재는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중국, 필리핀, 대만, 인도, 동남아시아에 분포하고 있다(Zhang, 1985; Tomohide et al., 1993).
벼 먹노린재의 정의는? 벼 먹노린재는 노린재목 노린재과 먹노린재속에 속하는 해충으로 성충은 전체가 광택이 없는 검정색으로 월동성충이 본답으로 이동하여 낮에는 벼 포기 아래부위에서 줄기를 흡즙하여 피해를 준다. 피해증상은 주로 논둑 가장자리에서 나타나는데 이화명충 피해양상과 유사하며 피해가 심한 포기는 초장이 짧아지고 분얼이 억제되어 마른 잎이 많이 발생된다(Kawata, 1978).
벼 먹노린재는 벼 포기에 대해 어떤 피해증상을 나타내는가? 벼 먹노린재는 노린재목 노린재과 먹노린재속에 속하는 해충으로 성충은 전체가 광택이 없는 검정색으로 월동성충이 본답으로 이동하여 낮에는 벼 포기 아래부위에서 줄기를 흡즙하여 피해를 준다. 피해증상은 주로 논둑 가장자리에서 나타나는데 이화명충 피해양상과 유사하며 피해가 심한 포기는 초장이 짧아지고 분얼이 억제되어 마른 잎이 많이 발생된다(Kawata, 1978). 먹노린재는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중국, 필리핀, 대만, 인도, 동남아시아에 분포하고 있다(Zhang, 1985; Tomohid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Cho, J. R., M. H. Lee, H. S. Kim, and K. S. Boo. 2004. Induction and termination of the reproductive diapause in the black rice bug, Scotinophara lurida Burmeister. Korean J. Appl. Entomol. (spring symposium abstract). p. 134. 

  2. Kawata, A. 1978. Dictionary of disease and pests in crops. Yang Hyeon Dang. p. 299. 

  3. Kim, H. S., S. T. Kim, M. P. Jung, and J. H. Lee. 2005.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model of Scotinophara lurida (Heteroptera: Pentatomidae). Korean J. Appl. Entomol. (spring symposium abstract). p. 169. 

  4. Lee, K. Y., K. S. Ahn, H. J. Kang, S. K. Park, and T. S. Kim. 2001. Host plants and life cycle of rice black bug, Scotinophara lurida Burmeister (Hemiptera: Pentatomidae). Korean J. Appl. Entomol. 40: 309-313. 

  5. Lee, K. Y., S. K. Park, K. S. Ahn, and B. R. Choi. 2004. Overwintering site and seasonal occurrence of the rice black bug Scotinophara lurida (Hemiptera: Pentatomidae) in the rice paddy field. Korean J. Appl. Entomol. 43: 291-296. 

  6. Tomohide, Y., M. Takai, I. Yamashita, M. Kawamura, and T. Kawasawa. 1993. A field guide to Japanese Bugs. pp. 220-221. 

  7. Zhang, S. H. 1985. Economic insect fauna of China (Hemiptera 1). Science press. pp. 84-85. 

  8.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 http://ncpms.rda.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