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평가시스템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블록형 언어와 텍스트형 언어 간 자기효능감의 차이
Differences in self-efficacy between block and textual language in programming education using online judge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23 no.4, 2020년, pp.23 - 33  

장원영 (교육부) ,  김성식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온라인 저지는 학습자가 제출한 소스의 컴파일과 실행, 문제 해결 여부에 대한 즉각적인 교정적 피드백을 제공하며 평가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온라인 저지가 텍스트형 언어 만을 제공하고 있어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언어 선택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저지용 블록형 언어를 개발하여 고등학교 수업에 적용하고, 블록형 언어 집단과 텍스트형 언어 집단 간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검정 결과, 블록형 언어 집단은 텍스트형 언어 집단 보다 '혐오경험극복 능력기대'가 더 높았고, 텍스트형 언어 집단은 사전-사후 검사에서 '활동시작 능력기대'와 '활동지속 능력기대'가 유의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블록형 언어의 경우 차후 프로그래밍 활동에 대한 효능감에 효과가 있으며, 텍스트형 언어는 활동의 시작 단계와 진행 단계에서 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는 점을 함의한다. 본 연구는 고교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블록형 언어와 텍스트형 언어의 적용과 관련하여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설계의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line judge provides compilation, execution, and immediate feedback on the source submitted by the learner, and ensures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but it's difficult to select the languag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because most of them provide only textual langua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래밍의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블록형 언어와 텍스트형 언어의 블랜디드 수업’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고교 프로그래밍수업에서 블록형 언어와 텍스트형 언어의 적용과 관련하여 자기 효능감의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설계의 기초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고교 단계에서 블록형 언어와 텍스트형 언어를 모두 지원하는 온라인 저지를 활용하여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하고, 블록형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과 텍스트형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 간 자기 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반고 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비동질통제집단 사전 사후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저지를 활용한 고교 단계의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블록형 언어와 텍스트형 언어를 적용하고, 집단 간 자기 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 연구문제 : 온라인 저지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블록형 언어와 텍스트형 언어가 학습자의 자기 효능감에 차이를 가져오는가?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저지에 적용 가능한 블록형 언어를 개발하여 텍스트형 언어와 함께 고교 단계의 프로그래밍 수업에 적용하고, 자기 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해 봄으로써 고교 단계의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블록형 언어와 텍스트형 언어의 적용과 관련하여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설계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 온라인 저지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블록형 언어를 사용한 집단과 텍스트형 언어를 사용한 집단 간 자기 효능감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교육부 (2015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세종: 교육부. 

  2. 김자미 (2016). 한일간 교사양성제도의 비교 및 현황 분석을 통한 중등 정보교사 양성제도 개선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3), 35-53. 

  3. 김자미 (2017). 해외의 교원양성 체제 비교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5), 49-59. 

  4. 文部省(일본) (2017). 유치원, 초.중학교 신 학습지도 요령. 東京: 文部省. 

  5. 文部省(일본) (2018). 고등학교 신 학습지도 요령. 東京: 文部省. 

  6. 교육부 (2015b).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세종: 교육부. 

  7. 교육부 (2015c). 2015 개정 과학계열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20, 세종: 교육부. 

  8. 심재권.채정민 (2018). 블록 프로그래밍 환경 기반 온라인 평가 시스템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4), 1-10. 

  9. Hong Kong Olympiad in Informatics, retrieved from http://judge.hkoi.org (2020.6.14.). 

  10. 전용주 (2019). 정보교육을 위한 HUSTOJ 기반 오픈소스 온라인 저지 시스템 커스터마이징 방향 탐색. 창의정보문화연구, 5(1), 53-61. 

  11.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ctice Hall. 

  12. 김아영.조영미 (2001). 학업성취도에 대한 지능과 동기 변인들의 상대적 예측력. 교육심리연구, 15(4), 121-138. 

  13. 김아영 (2004).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교육방법연구, 16(1), 1-39. 

  14. Kurnia, A., Lim, A., & Cheang, B. (2001). Online judge. Computers & Education, 36(4), 299-315. 

  15. Leal, J. P., & Moreira. N. (1998). Automatic Grading of Programming Exercises. Technical Report. Universidade do Porto. 

  16. Forsythe, G. E., & Wirth, N. (1965). Automatic grading programs. Communications of the ACM, 8(5), 275-278. 

  17. 장원영.김성식 (2014). 알고리즘 자동평가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 프로그래밍 학습 효과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4), 26-34. 

  18. Wasik, S., Badura, J., Laskowski, A., & Sternal, T. (2018). A Survey on Online Judge Systems and Their Applications, ACM Computing Surveys, 51(1), 3:1-3:34. 

  19. 임형석 (2007). ACM-ICPC 문제의 출제 및 채점 과정. 정보과학회지, 25(7), 52-55. 

  20. 김성식.오소희.정상수 (2018). 자료구조 수업에서 온라인 자동평가용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문제은행 개발 및 적용.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4), 11-20. 

  21. Sphere online judge, retrieved from http://spoj.com/ranks/languages (2020.6.14.). 

  22. 최연희 (2001). 아동의 귀인유형과 학습된 무기력 자기효능감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3. Sherer, M. & Maddux, J. E.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51, 663-671. 

  24. 정탁희 (1987). 수업 외 학습시간 투입의 동기요인과 효과 분석 연구. 박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