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임시주거 거주학생들의 임시주거에 대한 태도 - 건축학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
An Attitude of Residents on College Temporary Housing - Focused on Students in Architectural Design Program - 원문보기

커뮤니티교육시설 :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 Community Education Facilities, v.27 no.2, 2020년, pp.3 - 13  

김덕수 (Dept. of Architecture, Hanbat National University) ,  권준범 (Dept. of Architecture, Sejong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negatively affecting college lif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gap between housing types, and to generate preliminary data for increasing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tudents who live in temporary housing(e.g., dormitory or one-room). The utiliz...

주제어

표/그림 (2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생활의 어려움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출신 지역별로 분석하고, 임시주거 유형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며, 현재 거주하는 임시주거 선택의 이유와 계속 거주 또는 이주 희망 이유를 분석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임시주거 계획에서 주거복지 증진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인들의 탐색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대학 기숙사와 원룸 계획을 위한 프로그램의 방향성과, 임시주거 거주학생들의 복지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는 임시주거의 물리적 개선을 위한 고려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 대학생활의 어려움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출신 지역별로 분석하고, 임시주거 유형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며, 현재 거주하는 임시주거 선택의 이유와 계속 거주 또는 이주 희망 이유를 분석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임시주거 계획에서 주거복지 증진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인들의 탐색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대학 기숙사와 원룸 계획을 위한 프로그램의 방향성과, 임시주거 거주학생들의 복지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는 임시주거의 물리적 개선을 위한 고려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다른 학생들과의 교류가 자연스럽게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적 배려를 통해 커뮤니티에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사회적 지원을 고려해야 하고, 안전하고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한 배치 및 평면계획을 하여 심리적 지원을 제공하는 배려 역시 필요하다.
  • 이상과 같은 문제의식에 의해 시작된 본 연구는 출신 지역별로 대학 생활의 어려움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주거형식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며, 임시주거 선택 및 계속 거주 이유와 이주 희망 이유를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임시주거 계획에서 만족도 증진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서 출신지 별로 차이점을 발견한 결과는 무엇인가? 대학생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서 출신지 별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대학생활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대전 출신 학생(3.68)보다 다른 지역 출신 학생(3.81)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부정적 인식의 정도는 대전 출신 학생들과 다른 지역 출신 학생들 간에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각각 2.75, 2.74). 세부 항목을 살펴보면, 대전 출신과 다른 지역 출신 학생들 모두에게서 대학생활에 대한 긍정적 인식 중에서 ‘즐거운’이라는 인식(각각 3.73, 3.87)이 ‘희망적’이라는 인식(각각 3.63, 3.76)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인식 중에서는 ‘궁핍한’(각각 2.99, 3.05)이 ‘외로운’(2.50, 2.44) 생활을 하고 있다는 인식보다 많이 발견되었다. 성별에서 발견되는 차이점을 보면 대전 출신 남학생들(3.78)이 여학생들(3.57)에 비해 긍정적으로 대학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반면에 다른 지역 출신의 경우에는 여학생들(3.87)이 남학생들(3.76)에 비해 대학생활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출신 지역별 성별간의 부정적 인식을 살펴보면 대전 출신 학생들은 남학생들(2.88)이 더욱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반면에 다른 지역 학생들에게서는 여학생들(2.87)의 부정적 인식이 두드러진다(Table 6).
청년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은 어떤시각에서 분석이 이루어지는가? 청년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분석은 취업과 결혼, 출산 및 양육, 그리고 노후대비를 포함한 다양한 시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직업 선택에 미치는 유교적 전통의 영향과 교육정도에 따른 임금의 격차와 같은 요인에 의해 세계적으로 우리나라 청년들의 대학 진학률은 높은 편이다.
기숙사 생활에 대한 긍정적 경험을 어떻게 제공할수 있는가? 기숙사는 거주 학생들의 학업 수행과 심리적 안정을 위한 긍정적 역할을 하여야 한다. 공용공간의 배치, 2인 1실이나 1인 1실형과 같은 단위공간의 평면계획을 고려하는 물리적 환경개선을 통해 기숙사 생활에 대한 긍정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1). 대학설립 운영규정 제4조 별표2에 따르면 기숙사는 교사시설 중 부속시설에 속해 있는 시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n, Jin-o and Je, Hae-seong, A case study on the common space in the dormitory buildings on campus. Journal of the KIEAE, 7(4), 2007. 

  2. Hur, Jinseon and Yang, Sehwa, Perceptions of privacy and territoriality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in dormitory room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18(8), 2002. 

  3. Kim, Mi-Hee and Oh, Ji-Young, University students' housing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dormitory.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6), 2008. 

  4. Kim, Won-Pil, Effects of physical living environment on the social interaction and perceived sense of community among students in university dormitor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22(5), 2015. 

  5. Lee, Oi Sun, Hong, Min-Joo & Gu, Hye-Ja,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life stress, depression and college adjustment residing in the dormitor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9), 2016. 

  6. Lee, Sun-Mi,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ymptom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university students by the type of reside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9), 2016. 

  7. Park, Hang-Ja et. al., A study on cause-and-effect analysis betwee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residential area at the university dormitory and the user satisfaction.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17(5), 2008. 

  8. Park, Hang-Ja et. al., A study on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for indoor space of university dormitory through the evaluation of user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8(2), 2007. 

  9. Park, Ui-Su and Cho, Young-Cha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s, psychological behaviors, and stress on the depression symptom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6), 2017. 

  10. Song, Byung-Ha and Roh, Ji-Woong, A study o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 a residence hal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0(1), 2004. 

  11. Yang, Sung-Yong et. al., A study on proper ratio calculation of university dormitory.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7(1), 2015. 

  12. Yeom, Dae-Bong and Park, Sung-Jin, A study on the effect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dormitories on resident students' dwelling satisfaction.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6(1), 2014. 

  13. Zhang, He Quan and Lee, Sung Pil, A study on finding uncomfortable factors in dormitory. Korea Science & Art Forum, 26,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